검색 상세

숏폼 동영상 콘텐츠를 통한 사회적 시청이 온라인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Social Viewing through Short-form Video Content on Online Social Capital: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초록 (요약문)

최근 숏폼은 빠른 정보 전달과 이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쉽게 유도함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소셜미디어와는 다른 정보성 숏폼 동영상 콘텐츠 선택에 있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중요해지는 디지털 환경에서 숏폼 이용자의 사회적 시청이 온라인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숏폼은 이전의 소셜미디어와 달리 이용자 개인이 동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더욱 활발하게 공감을 경험 할 수 있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그러한 공감이 사회적 시청과 온라인 사회적 자본 간의 관 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 조사 기업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숏폼 이용자의 사회적 시청이 온라인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소극적 정보 수용은 교량적 사회자본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반면 적극적 정보 확산은 결속적 사회자본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 개인의 공감이 사회적 시청과 온라인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4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극적 정보 수용에서 인지적 공감의 상상하기가 높은 이용자일수록 결속적 사회자본을 증가시키고, 적극적 정보 확산에서 인지적 공감의 상상하기가 높은 이용자일수록 교량적 사회자본을 증가시키는 데 상당한 요소임을 밝혔다. 본 연구는 숏폼을 통한 사회적 시청이라는 커뮤니케이션 행위가 사회적 관계 형성 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숏폼의 긍정적인 사회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향후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ocial viewing of informational short-form videos on online social capital in a digital environment emphasizing active interactions. Unlike traditional social media, short-form videos facilitate frequent and active empathy through video creation and sharing. The study explores the mediating role of empathetic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viewing and online social capital. Using data from an online survey by a professional research fir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indicate passive information reception positively affects bridging social capital, while active information dissemination significantly impacts bonding social capital. mediating effect of empathy findings show that users with higher imaginative empathy enhance bonding social capital through passive reception and bridging social capital through active dissemin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crucial role of social viewing in forming social relationships and reevaluates the positive social value of short-form videos, sugges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제2장 이론적 배경 5
1.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정의와 현황 5
2. 숏폼을 통한 사회적 시청 8
3. 커뮤니케이션 행위에 따른 사회적 시청 유형 11
4. 사회적 시청과 온라인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이해 12
5. 숏폼에서 공감의 역할 16
제3장 연구가설 21
제4장 연구방법 22
제1절 연구대상 22
제2절 분석방법 22
제3절 측정문항 23
제5장 연구결과 30
제1절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30
제2절 측정 도구의 타당성 검증 33
제3절 주요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분석 37
제4절 연구가설 검증 39
1. 숏폼을 통한 사회적 시청과 공감경험이 온라인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39
2. 숏폼을 통한 사회적 시청이 공감경험에 미치는 영향 41
3.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44
제6장 결론 및 논의 52
제1절 연구결과 논의 및 함의점 52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55
[참고문헌] 5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