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내현적 자기애와 적대적 귀인편향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Displaced Aggression : Mediating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Hostile Attribution Bias

초록 (요약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내현적 자기애와 적대적 귀인편향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전위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적대적 귀인편향의 역할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내현적 자기애와 적대적 귀인편향을 매개로 전위공격성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설정하고 이를 자료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한 국내 만 18세에서 만 29세 이하의 남녀 대학생 총 390명의 자 료를 SPSS 22.0과 Mplus ver.7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내현적 자기애, 적대적 귀인편향, 전위 공격성은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녀의 성별에 따라 주요 변인들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자녀의 성별과 부모의 성별에 따라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 적 통제에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는데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적대적 귀 인편향의 매개효과를 분석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내현적 자기애를 통해 전위 공격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적대적 귀인편향을 통한 매개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내현적 자기애와 적대적 귀인편향을 순차적으로 매 개하여 전위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게 나왔다. 종합하면, 본 연구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타인의 시선과 평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내 현적 자기애의 수준이 높아지고, 그로 인해 애매하고 모호한 사회적 상황에서도 적 대적 귀인편향을 활성화하여 높은 전위공격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학문적 의의 및 상담적 함의, 연구의 장, 단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ole of covert narcissism and hostile attribution bias in the pathway of influence from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to displaced aggress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xamining the direct and indirect pathways through which covert narcissism and hostile attribution bias mediates the influe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displaced aggression was analyzed. An online survey data from a total of 390 (N=390)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ged 18 to 29 attending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2.0 and Mplus ver. 7.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aternal an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covert narcissism,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displaced aggression. Second,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main variables based on the child's gender and a paired samples t-test to determine differences in paternal an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based on the child's and parent's gender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the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directly affected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covert narcissism. However, the mediation pathway through hostile attribution bi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isplaced aggression was not significant. Fourth,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fluenced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pathway from covert narcissism to hostile attribution bias.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exacerbates covert narcissism, which makes individuals more sensitive to others' views and evaluations. The heightened sensitivity to other’s criticism and negative evaluation activates hostile attribution bias in ambiguous social situations, ultimately leading to increased displaced aggression. Las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cluding research and counseling implications.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included in the discussion.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Ⅱ. 이론적 배경 6
1. 부모의 심리적 통제 6
2. 전위공격성 7
2.1. 전위공격성 7
2.2.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전위공격성 10
3. 내현적 자기애 11
3.1. 내현적 자기애 11
3.2.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내현적 자기애 13
3.3. 내현적 자기애와 전위공격성 13
4. 적대적 귀인편향 14
4.1. 적대적 귀인편향 14
4.2.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적대적 귀인편향 15
4.3. 내현적 자기애와 적대적 귀인편향 16
4.4. 적대적 귀인편향과 전위공격성 17
5.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현적 자기애, 적대적 귀인편향, 전위공격성의 관계 18
Ⅲ. 연구 문제 및 연구모형 20
Ⅳ. 연구 방법 21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1
2. 측정 도구 23
2.1. 한국판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 23
2.2. 내현적 자기애 척도 24
2.3. 적대적 귀인편향 척도 26
2.4. 전위공격성 척도 26
3. 자료처리 및 분석 27
Ⅴ. 연구 결과 29
1. 기술 통계 29
2. 측정모형 검증 32
3. 구조모형 검증 35
Ⅵ. 논의 40
1. 결과 요약 및 논의 40
2. 의의 및 시사점 45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7
참고문헌 5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