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과 정서조절 유연성에 대한 포괄적 이해 : 정서조절 변산성, 레퍼토리, 정서조절노력 및 표현 유연성을 중심으로
Toward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Dep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Flexibility: Focused on Emotion Regulation Variability, Repertoire, Regulatory effort, and Expression Flexibility
- 주제어 (키워드) 정서조절 , 정서조절 유연성 , 우울 , emotion regulation , emotion regulation flexibility , depress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현식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8983
- UCI I804:11029-00000007898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우울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는 정서조절 유연성의 부족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정서조절 유연성의 개념적 정의 및 측정 방법은 연구 별로 상이하여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주요 정서조절 유연성 지표들을 산출하여, 우울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정서조절 유연성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조절전략과 조절능력의 영역에서 정서조절 유연성 지표를 산출함으로써 우울과 정서조절 유연성 간 관계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또한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의 조절 유연성에 대한 지표들을 따로 산출하여, 정서가에 따른 정서조절 유연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20~39 세 사이의 성인 총 414 명을 대상으로 정서조절전략의 유연한 사용을 확인하기 위해 제작한 시나리오 질문지, 유연한 정서조절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정서표현 유연성 척도,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 척도, 특성 불안 척도를 온라인 상으로 실시하였다. 시나리오 질문지의 경우, 가상의 시나리오를 읽고 난 후 느낀 긍정 및 부정정서에 대해 8개의 긍정정서조절전략(긍정 반추, 가라앉히기, 사고억제, 향유하기, 표현억제, 감정공유, 정서표현, 주의분산)과 8 개의 부정정서조절전략(반추, 사고억제, 표현억제, 재평가, 수용, 사회적 지지, 주의분산, 정서표현)을 어느 정도로 사용하여 조절할 것인지 응답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정서조절 변산성, 레퍼토리, 정서조절노력 등 전략 영역에서의 정서조절 유연성 지표를 산출하였다. 정서조절능력 영역에서는 정서표현 유연성 척도를 통해 표현 유연성, 증대능력, 억제능력 등의 지표를 산출하였다. 각각의 정서조절 유연성 지표들과 우울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분석에서 참가자의 불안 수준을 통제하였다. 분석 결과, 개별적인 정서조절전략은 모두 우울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았으나, 정서조절 유연성 지표들은 우울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는 특정한 정서조절전략의 일관된 효과성보다 정서조절 유연성이 우울의 발생 및 유지에 더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 정서조절능력 영역에서는 긍정정서의 표현을 증대시키는 능력이 우울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정서조절전략 영역에서는 긍정정서조절전략 간 변산성이 우울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긍정정서 표현을 증대시키는 능력의 부족이나 긍정정서를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들을 사용하지 못하는 정서조절 기술의 결여가 우울과 관련되는 중요한 정서조절 유연성의 측면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정서조절 유연성의 능력과 전략 사용이라는 두 가지 영역과 긍정 및 부정의 정서가를 고려하여 정서조절 유연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우울의 예방 및 치료적 개입 시 긍정정서를 유연하게 조절하는 능력 및 기술의 향상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에는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초록 (요약문)
One of the key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is the lack of emotion regulation(ER) flexibility. However,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measurements of ER flexibility are heterogeneous between studies, leading to greater confus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R flexibility that significantly predict depression by calculating various key ER flexibility indicators. Specifically, by calculating ER flexibility indicators in the domains of ER strategies and ER abilities, we aim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R flexibility. Additionally, separate indicators for the regulation flexibility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were obtained to examine the impact of emotion-specific regulation flexibility on depressi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14 adults aged 20 to 39 completed an online survey including a scenario questionnaire designed to assess the flexible use of ER strategies, Flexible Regulation of Emotional Expression(FREE) Scale to assess flexible ER abilities,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and Trait Anxiety Inventory. In the scenario questionnaire, participants read hypothetical scenarios and reported the extent to which they would use eight positive ER strategies(positive rumination, dampening, thought suppression, savoring, expression suppression, emotion sharing, emotion expression, distraction) and eight negative ER strategies(rumination, thought suppression, expressive suppression, reappraisal, acceptance, social support, distraction, emotion expression) to regulate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they felt. Using these responses, we assessed ER variability, repertoire, and regulatory effort as ER flexibility indicators in the strategic domain. Regarding ER abilities, we measured expressive flexibility, enhanced ability and suppression ability through the FREE scale.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ER flexibility indicators and depression, controlling for participants’ anxiety levels in all analyses.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 ER strategies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depression, but ER flexibility indicators did. This suggests that ER flexibility might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occurrence and maintenance of depression than the consistent effectiveness of specific ER strategies. Specifically, in the domain of ER abilities, the ability to enhance positive emotion expression, and in the domain of ER strategies, between-strategy variability for positive emotion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depression. This indicates that a lack of ability to flexibly enhance positive emotion expression or a deficit in the emotional regulation skills to use various strategies to regulate positive emotions are important aspects of ER flexibility related to depress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impact of ER flexibility on depression by considering both the domains of regulatory strategy use and abilities, as well as emotional vale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the ability and skills to flexibly regulate positive emotions should be a focus in the preven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of depression. Lastly, the study discusses its limitations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more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Ⅱ. 이론적 배경 8
1. 우울과 정서조절 8
2. 정서조절 유연성 10
3. 정서조절 유연성 지표 13
1) 정서조절 변산성 13
2) 레퍼토리 15
3) 정서조절노력 16
4) 정서표현 유연성 17
Ⅲ. 연구문제 및 가설 20
Ⅳ. 연구방법 21
1. 참가자 21
2. 측정도구 22
1) 시나리오 질문지 22
(1) 시나리오 질문지 제작 및 예비연구 22
(2) 시나리오 질문지 구성 및 측정방법 25
2) 정서표현 유연성 척도 27
3)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 척도 28
4) 특성 불안 척도 28
3. 정서조절 유연성 지표 산출 29
1) 정서조절 변산성 29
2) 레퍼토리 30
3) 정서조절노력 31
4) 정서표현 유연성 31
4. 자료분석 33
Ⅴ. 결과 34
1. 개별 정서조절전략과 우울 34
2. 전반적 정서조절 유연성과 우울 37
3. 긍정정서조절 유연성과 우울 38
4. 부정정서조절 유연성과 우울 41
Ⅵ. 논의 43
1. 결과 및 논의 43
2.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47
참고문헌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