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장년층의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초록 (요약문)

중장년층의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과 의료비 지출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특히 만성질 환의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고령에서의 복합 만성질환 이환에 대한 주의 가 필요한 중장년층의 건강 관리와 만성질환 예방에 대한 해결책이 시급하다. 경제생활로 올바른 건강관리와 만성질환 예방이 쉽지 않은 중장년층의 건강관 리 수단으로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기 술이 주목 받고 있다. 관련 연구는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 연구는 기술적 요 인 외에 사용자의 건강 신념이나 개인적 특성 요인 등은 충분히 고려하지 않 았으며, 사용률이 높은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성질환의 예방 및 건강 관리가 필요한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건강 신념 및 개인적 특성 요인과 사용의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중장년층의 애플리케이션 사용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설계와 마케팅 전략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더 나 아가 중장년층의 건강 관리 행태를 개선하고, 의료비 절감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과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기반으로 건강신념과 개인적 특성 요인을 독립변인으로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국의 40세 이상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 션 사용자 3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조사법을 실시하였으며, 통계 프로그램 SPSS 25.0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검증을 통해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질환 보유 여부에 따라 각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 결과, 만 성질환을 보유한 집단이 지각된 민감성과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사용 의도가 높다고 나타났다. 둘째, 지역과 학력에 따라 각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 결과, 특별시, 광 역시에 거주하는 집단이 개인혁신성과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사용의 도가 높았으며, 고학력일수록 건강자기효능감, e-헬스 리터러시, 개인혁신성,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사용의도가 높았다. 셋째, 인구학적 특성을 통제한 후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각된 심각성, 건강관심도, e-헬스 리터러시 순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 션 사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만성질환의 발병률이 가장 높아지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건강신념과 개인적 특성 요인이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사용의도에 주 는 영향에 대해 확인했다는 것에 연구의 확장성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중 장년층이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 해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질병의 위험을 경감하고 예방 및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안내하는 것이 필요하며, e-헬스 리터러시와 건강관심 도가 높지 않은 이들을 위한 차별화된 건강 증진 정책 및 사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more

초록 (요약문)

As chronic diseases and medical expenses surge due to an aging population, there is an urgent need to address health management and chronic disease prevention, especially among middle-aged adults. This group faces a high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and struggles to maintain proper health management due to economic activities.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usable anytime and anywhere, are emerging as a solution. However, existing research has focused mainly on technical factors, neglecting users' health belief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has primarily targeted younger population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among middle-aged adults. The goal is to suggest ways to increase application usage, improve application design and marketing strategies, and ultimately enhance health management and reduce medical expenses.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users aged 40 and above,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s with chronic diseases exhibited higher perceived sensitivity and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Second, Residents of metropolitan areas and those with higher education levels showed greater personal innovativeness, health self-efficacy, e- health literacy, and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perceived severity, health interest, and e-health literacy positively influenced th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forming middle-aged adults about the benefits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in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It also emphasizes the need for targeted health promotion policies for those with lower e-health literacy and health interest.

more

목차

제 1장 서론 3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
제 2절 연구의 목적 6
제 2장 이론적 고찰 7
제 1절 중장년층과 만성질환의 관련성 7
제 2절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12
(1) 디지털 헬스케어 12
(2)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15
(가) 모바일 헬스케어의 정의 15
(나)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정의 17
(다)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현황 20
제 3절 기술수용모델 27
(1) 기술수용모델과 주요 개념 27
(2)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선행연구 검토 29
제 4절 건강신념모델 31
(1) 건강신념모델과 주요 개념 31
(2) 건강신념모델을 활용한 선행연구 검토 33
(가) 지각된 위협 33
(나) 건강자기효능감 33
(다) e-헬스 리터러시 35
제 5절 개인적 특성 37
(1) 건강관심도 38
(2) 건강정보지향 40
(3) 개인혁신성 41
제 6절 연구문제 및 가설 42
제 3장 연구방법 45
제 1절 연구방법 및 내용 45
제 2절 주요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46
(1)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사용의도 47
(2) 지각된 민감성 47
(3) 지각된 심각성 47
(4) 건강 자기효능감 48
(5) e-헬스리터러시 48
(6) 건강관심도 48
(7) 건강정보지향 48
(8) 개인혁신성 49
(9) 일반적 특성 49
제 3절 분석방법 49
제 4장 분석결과 51
제 1절 응답자 특성 51
(1)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51
제 2절 연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53
(1) 주요 변수의 타당성 검증 53
(2) 주요 변수의 신뢰도 분석 56
(3)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57
(4) 주요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 58
제 3절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 검증 60
(1) 만성질환 보유 여부에 따른 주요 변수의 차이 60
(2) 지역에 따른 주요 변수의 차이 61
(3) 학력에 따른 주요 변수의 차이 63
(4) 인구학적 특성 통제 후 독립변수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위계적 회귀분석 66
제 5장 결론 및 논의 69
제 1절 연구결과 69
제 2절 연구의 의의 73
제 3절 연구의 한계점 77
[참고문헌] 7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