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정부 조직진단 모형 연구 : 조직 건강성 관점으로
A study on the government organization diagnosis model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a perspective on organizational health
- 주제어 (키워드) 조직 건강성 , 조직진단 , 조직진단 모형 , 4차 산업혁명 , 정부 조직 , 지능형 정부; Organizational health , Organizational diagnosis , Organizational diagnosis model ,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Government organization , AI-Government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조대근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행정·법무·환경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8975
- UCI I804:11029-00000007897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따라 지능형 정부 구현 등 정부 조 직관리에 부합(附合)하기 위하여 정부 조직의 변화 양상을 고찰한 후 조직 건 강성(organizational health) 관점으로 정부 조직진단 모형을 구현하는데 목적 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문헌 자료 등을 바탕으로 일반 조직과 달리 무형 (無形)의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며 영속성(永續性)이란 특징을 갖는 정부 조직 을 진단하기 위하여 결과 중심의 효과성(effectiveness) 관점이 아니라 조직의 상태(state)를 진단할 수 있는 조직 건강성(organizational health) 관점이 필요 한 문제 인식과 기존 조직 건강성 진단지표가 조직 구성원의 행태적인 측면에 치중한 한계점 등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정부 조직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기 위하여 조직 건강 성(organizational health) 개념을 정부 조직의 3가지 주요 구성요소(조직 구 조․조직 구성원․외부 환경)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제시한 3가지 건강 조건(신체적․정신적․사회적)과 원용(援用)하여 정의한 후 다음과 같이 조직 진단 모형을 구현하였다. 첫째, 정부 조직의 하드웨어(hardware) 측면인 조직 구조가 최적의 상태 (state)일 때 신체적으로 건강한 조직(physical health)으로 보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애자일(agile) 조직 운영방식 등의 변화 양상을 반영하여 진단지표로 통합성․비공식성․분권성의 3가지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진단항목을 구성하 였다. 둘째, 정부 조직의 소프트웨어(software) 측면인 조직 구성원이 최적의 상태 (state)일 때 정신적으로 건강한 조직(mental health)으로 보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디지털을 기본으로 하는 행정체계의 전반적인 혁신(digital by design) 등 변화 양상을 반영하여 진단지표로 혁신에 대한 수용성․변혁적 리더십․혁 신적 조직문화의 3가지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진단항목을 구성하였다. 셋째, 정부 조직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원활하게 상호작용할 때 사회적으로 건강한 조직(social well-being health)으 로 보고, 정부 주도가 아닌 민간이 중심이 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과 집단지성을 통한 협력적 거버넌스가 중시되는 변화 양상 등을 반영하여 진 단지표로 소통․협력․신뢰의 3가지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진단항목을 구성하 였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문제 인식과 연구 내용, 결과 등을 바탕으로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정부 조직이 추진 중인 지능형 정부를 통한 국민의 삶의 질 제고 를 위하여, 정부 조직이 최적의 상태(state)로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행정기 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과 「정부조직관리지침」의 정부 조직진단 목적 을 조직 효과성(effectiveness)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정부 조직의 상 태, 즉 조직 건강성(organizational health) 관점으로의 개정이 수반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진단지표 및 진단항목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향후 정부 조 직진단 시 적용 또는 개별적인 사례연구로 보완 사항 등을 도출하고 후속 연 구를 통하여 보다 세부적인 진단사항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more초록 (요약문)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ing patterns of government organizations, such as the implementation of AI governmen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align with optimal government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to implement a government organizational diagnostic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health. Through a review of prior studies and literature, it was found that unlike general organizations, government organizations provide intangible public services and require a perspective on organizational health rather than effectiveness to diagnose the state of the organization. The limitations of existing organizational health diagnostic indicators, which focus on the behavioral aspects of organizational member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health is implemented by integrating the three main components of government organizations, namely organizational structure, organizational members, and external environment, with the three concepts of health defin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namely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First, regarding the hardware aspect of government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structure is considered optimal when it reflects physical health, taking into account changes such as the agile operation of organization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dicators such as integration, informality, and decentralization were derived and diagnostic items were constructed accordingly. Second, regarding the software aspect of government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members are considered mentally healthy when they are in optimal condition, reflecting changes such as the overall innovation of administrative systems based on digitaliz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dicators such as acceptance of innov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were derived and diagnostic items were constructed accordingly. Third, when government organizations actively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interact smoothly, they are considered social well-being health. Reflecting changes such as a new paradigm where the private sector, rather than the government, takes the lead, emphasizing collaborative governance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Indicators such as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trust were derived and diagnostic items were constructed accordingly.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and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visions should be undertaken not only with a focus on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organiz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on the Organization and Staffing of Government Agencies」 and the 「Government Organization Management Guidelines」 but also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government organiz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implementing an AI-Government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citizens, which is being pursued by government organization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espite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acknowledges its limitations in not empirically validating the diagnostic indicators and items. Therefore, it suggests deriving improvements for application in government organizational diagnosis and conducting individual case studies for validation in future research.
more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5
1. 연구 범위 5
2. 연구 방법 5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6
제1절 4차 산업혁명과 정부 조직 6
1. 4차 산업혁명의 개념 6
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정부 조직 ·8
제2절 조직진단 및 진단모형 12
1. 조직진단의 정의 12
2. 조직진단 모형의 의미 15
3. 조직진단 모형의 필요성 ·17
제3절 조직진단 기준으로서의 조직 건강성 ·18
1. 조직 효과성의 한계 및 조직 건강성의 필요성 18
2. 조직 건강성 진단지표의 한계점 및 진단모형 구현 ·25
제3장 조직 건강성 진단지표 및 진단항목 49
제1절 신체적 건강 49
1. 신체적 건강의 정의 및 구성요소 49
2. 4차 산업혁명과 신체적 건강 ·50
3. 신체적 건강의 진단지표 및 진단항목 ·54
제2절 정신적 건강 56
1. 정신적 건강의 정의 및 구성요소 56
2. 4차 산업혁명과 정신적 건강 ·58
3. 정신적 건강의 진단지표 및 진단항목 ·61
제3절 사회적 건강 63
1. 사회적 건강의 정의 및 구성요소 63
2. 4차 산업혁명과 사회적 건강 ·65
3. 사회적 건강의 진단지표 및 진단항목 ·70
제4장 조직 건강성 진단모형 72
제5장 결론 ·75
제1절 요약 ·75
제2절 제언 및 한계 76
참고문헌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