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연극인의 성폭력 대응 경험 연구 : 구조와 역량을 중심으로
A study on Women Theater Artists' Experiences of Responding to Sexual Violence: Focusing on Structure and Capacity
- 주제어 (키워드) 미투 운동 , 성폭력 대응 , 여성 연극인 , 연극계 성폭력 , 여성 문화예술인 , 문화예술계 성폭력 , 연극계 구조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강선경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8958
- UCI I804:11029-000000078958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이 연구는 연극계에 3년 이상 종사한 여성 연극인 중 피해자 또는 조력자의 위치에서 성폭력에 대응한 경험이 있는 여성 연극인 20인을 심층 면접하여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미투 운동으로 다른 피해자의 사례를 접하면서 자신의 피해 경험을 성폭력으로 재해석하거나, 가해자의 범행 부인을 반박하거나 피해를 공론화한 피해자에 대한 보복성 고소를 막기 위해, 가해자의 상습성을 인지하여 재발을 방지하고자 하는 등의 동기로 대응을 결심하였다. 대응의 방법으로는 공론화, 소송, 예술인 권리보장 절차, 조직 내 사건 처리 등이 있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이 대응 과정에서 제도를 활용하면서 겪은 어려움으로는 증인 확보와 진술 과정의 고통, 법률조력의 미비, 조직 내 규정과 절차의 부재, 대학의 무책임한 대응과 백래시, 절차 종결 후 발현되는 심리적 후유증 등이 있었다. 2차 피해로는 언론의 신상 유포와 악성 댓글, 가해자의 협박, 보복성 고소와 해고, 낙인으로 인한 배제 등이 있었으며, 이해관계인의 가해자 비호와 왜곡된 평판에 대한 불안으로 고립의 위험을 느끼기도 하였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대응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적 역량을 발휘하였다. 개인의 경험 을 페미니스트 관점으로 재해석하고, 사건 해결의 목표와 공공의 성평등 의제를 도출 하였으며, 체화된 연극계의 위계질서와 통제 규범에 거리를 두는 능동성을 발휘하고, 피해자와 조력자의 경계를 넘나들며 상호돌봄으로 피해 후의 일상을 재구축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극계의 구성원으로 성폭력 사건에 연루된 책임을 성찰하고 연대의 확 장을 도모하며 변화를 지향하는 자기 서사를 구축하였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은 대응 과정에서 성폭력 대응을 저해하는 연극계의 구조를 통찰 하였다. 가해자를 업계에서 배제해야 피해자와의 분리가 가능한 네트워크 조직으로 구성된 활동 구조, 가해자의 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연극을 명분으로 이루어지는 가스라이팅, 배우에 대한 고정관념과 성적 재현으로 성폭력을 합리화하는 관행 등이 성폭력을 은폐하는 구조로 지목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연극계 공동체의 구성원이자 성폭력 문제의 해결을 요구하는 여성 시민으로 자신의 권리를 인식하는 여성 연극인의 의식화 과정이 연극계의 불평등 구조 개선의 가능성을 담지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사회복지적 함 의로는 연극계 성폭력 대응을 촉진할 수 있는 성폭력 가해자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제재, 예술 단체를 위한 성폭력 사건 처리 지침 개발 및 조사 인력 지원, 예술지원기관 내 고충상담창구와 사건처리절차 운영, 성적 재현 연습과 공연에 관한 지침 개발과 전문인력 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more목차
I. 서론 3
1. 연구 배경 및 문제제기 3
2. 연구 목적 5
II. 문헌 검토 6
1. 미투 운동의 정치성 6
2. 문화예술계 반성폭력 운동의 성과 7
3. 문화예술계의 폐쇄성 논의의 한계 9
4. 선행연구 11
III. 연구 방법 13
1. 질적 연구 13
1) 자료의 수집과 분석 14
2) 연구자의 경험과 위치 14
2. 연구참여자 16
1) 연구참여자 명단 16
2) 연구참여자 관계도 18
3) 연구참여자 사례 요약 19
IV. 연구 결과 25
1. 대응 동기와 방법 25
1) 대응의 동기 26
2) 대응 방법 31
2. 대응 과정의 어려움 35
1) 제도 활용의 어려움 36
2) 2차 피해 46
3) 고립에 대한 불안 51
3. 대응 과정에서 발휘한 사회적 역량 53
1) 사건 해결을 공공의 의제로 제시 53
2) 문제를 해결하는 능동성과 상호돌봄 58
3) 변화를 지향하는 자기 서사를 구축 63
4. 성폭력 대응을 저해하는 연극계의 구조 67
1) 가해자를 업계에서 배제해야 분리가 가능한 활동 구조 68
2) '연극'이라는 이름의 가스라이팅 75
3) 배우가 갖는 취약성 85
V. 결론 및 제언 93
1. 연구결과 요약 93
2. 연구의 사회복지적 함의 94
3.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 제언 99
VI. 참고문헌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