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국 청년의 연애·가족·젠더에 관한 연구 : 디지털 공간에서의 '수은애' 현상을 중심으로

Study on Romance, Family, and Gender among Chinese Youth: Focusing on the Phenomenon of 'Soo Eun Ae' in Digital Spaces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중국 청년들의 수은애 현상 - 디지털 공간에서 연애와 사랑을 표현하는 문화 - 과 그것의 사회·문화적 함의에 관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고는 중국 청년들의 연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사회적 요인들은 무엇이며, 연인 관계에서 발생하는 젠더 갈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탐구하였다. 또한, 중국 청년들이 연애와 사랑을 경험하면서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와 가치관의 변화를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대사회의 연애와 사랑, 중국의 연애와 가족, 디지털 공간에서의 연애 문화, 성 역할 고정관념 및 젠더 갈등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인터넷 민족지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중국 청년들의 ‘수은애’ 현상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디지털 공간에서 연애와 사랑을 표현하는 수은애 현상은 연 인 간의 호혜성을 드러내는 행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호혜성은 ‘적극적 호혜성’과 ‘소극적 호혜성’으로 구분되었으며 적극적 호혜성은 수은애를 연인 간의 ‘의무’이자 ‘하나의 절차’로 인식하는 태도를 의미하며, 소극적 호혜성은 연인 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자 수은애를 하지만 본인 스스로는 수은애를 하고 싶지 않은 상황을 의미한다. 둘째, 중국 커플들에게 수은애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는데, 낭만과 행복을 표현하는 ‘친밀성의 수은애’, 관계의 안정과 사회적 인정을 통한 신뢰 구축을 중시하는 ‘진정성의 수은애’, 연인의 선물과 외모를 드러내는 ‘과시성의 수은애’, 사랑 표현의 의미를 재고찰하는 ‘성찰성 의 수은애’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다양한 형태의 수은애가 존재함에도 불 구하고, 수은애 문화의 기저에는 소비사회의 낭만적 유토피아를 과시하고자 하는 중국 청년들의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은 연인과의 관계에서 고정된 성 역할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연인 관계에 부모 세대가 영향을 미치는 부분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중 국 사회에서는 연애와 결혼을 연속적으로 인식하는 부모 세대와 그렇지 않은 자녀 세대 간의 인식 차이로 인하여 가족(특히 부모)이 연애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상황들이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참여자들 중 일부는 연인 관계 에서 겪은 다양한 경험과 감정들을 바탕으로 자기 자신을 성찰적으로 사유하기도 하였으며, 연애를 통해 삶의 태도가 더욱 성숙해지는 모습들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디지털 공간에서 사랑을 표현하는 중국 청년들의 수은애 현상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감정과 생각, 가치관, 태도 등을 고찰하여 중국 청년의 연애 문화를 학술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Soo Eun Ae" among Chinese youth—the culture of expressing romance and love in digital spaces—and its socio-cultural implications. Specifically, this paper explores the main social factors influencing young Chinese people's romantic relationships and how gender conflicts manifest within these relationships. Additionally, it examines how Chinese youth perceive changes in their self-understanding and values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love and romance. To this end, the study reviews previous research on contemporary romance and love, romantic relationships and family in China, the culture of romance in digital spaces,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 conflicts. Through internet ethnography and in-depth interviews, the "Soo Eun Ae" phenomenon among Chinese youth is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Soo Eun Ae" phenomenon, which expresses romance and love in digital spaces, is identified as an act revealing reciprocity between partners. This reciprocity is divided into "active reciprocity," where "Soo Eun Ae" is perceived as an "obligation" and a "procedure" between partners, and "passive reciprocity," where individuals perform "Soo Eun Ae" out of a sense of duty to their partner but do not personally wish to engage in it. Second, for Chinese couples, "Soo Eun Ae" manifests in various forms, such as "intimacy Soo Eun Ae," which expresses romance and happiness; "authenticity Soo Eun Ae," which emphasizes trust-building through relationship stability and social recognition; "profilicity Soo Eun Ae," which showcases gifts and appearances; and "reflexivity Soo Eun Ae," which reconsiders the meaning of expressing love. Third, despite the diverse forms of "Soo Eun Ae," the underlying culture is characterized by Chinese youth's attitudes towards showcasing a romantic utopia within a consumer society. Fourth, participants experienced economic burdens and conflicts related to fixed gender roles within their relationships, and the influence of parental generations on romantic relationships was evident. Particularly in Chinese society, there is a disparity between parental generations, who perceive romance and marriage as a continuum, and younger generations, leading to negative parental influences on romantic relationships. Fifth, some participants reflected on themselves based on their various experiences and emotions within their romantic relationships, showing a more mature attitude towards life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love.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cademically analyzes the romantic culture of Chinese youth by multidimensionally examining the "Soo Eun Ae" phenomenon, which expresses love in digital spaces, and considering their emotions, thoughts, values, and attitudes.

more

목차

I. 들어가며 1
II. 이론적 배경 4
1. 현대사회의 연애와 사랑 4
1) 친밀성(intimacy) 6
2) 진정성(authenticity) 7
3) 과시성(profilicity) 9
4) 성찰성(reflexivity) 11
2. 중국에서의 연애와 결혼 12
1) 변화하는 중국 사회의 연애 문화 12
2) 연애와 결혼에 대한 세대 간 인식 차이 14
3) 디지털 공간의 연애 문화와 수은애 16
3. 성 역할 고정관념과 젠더 갈등 20
III.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22
1. 연구방법 22
1) 인터넷 민족지 23
2) 심층 인터뷰 23
2. 연구대상 24
1) 중국 SNS 플랫폼 24
2) 인터뷰 참여자 27
IV. 경험분석 30
1. 사회적 관계로서의 연애 30
1) 상호호혜적 의무 30
2) 친구들의 평판과 연애 긴장 32
3) 연애 관계의 발전 35
4) 연애와 결혼 41
2. 디지털 소비사회에서의 과시적 연애 45
1) 디지털 공간에서의 수은애 45
2) 소비사회에서 낭만적 유토피아 58
3. 연애와 젠더 갈등 63
1) 연인 간 고정된 성 역할과 갈등 63
2) 부모-자녀 세대의 젠더 인식 차이와 갈등 66
4. 연애와 성찰성 69
1) 변화의 계기와 반성 69
2) 가치관 변화와 자기성장 71
V. 나가며 75
1. 연구 의의 75
2. 연구 한계 77
참고문헌 7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