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관계 트라우마를 경험한 대학생이 지각한 정서인식명확성과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 : 자기자비와 용서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in university students with Interpersonal Trauma: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Forgiveness
- 주제어 (키워드) 대인관계 트라우마 , 정서인식명확성 , 자기자비 , 용서 , 트라우마 후 성장 , Interpersonal Trauma , Emotional Clarity , Self-Compassion , Forgiveness , Post-Traumatic Growth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한기백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8929
- UCI I804:11029-00000007892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대인관계 트라우마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의 정서인식명확성이 트라우마 후 성장을 예측함에 있어 자기자비와 용서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317명의 자료를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 트라우마를 경험한 대학생이 지각한 정서인식명확성과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과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에서 용서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과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용서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관계 트라우마 사건에 대해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할수록 자신을 친절히 돌보는 자기자비가 높아지고, 자기자비가 높아질수록 용서가 높아지면서 심리적인 성장이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임상적 함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more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elf-compassion and forgivenes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in university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A survey was conducted to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and data from 317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the SPSS PROCESS Macro.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compass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in university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Second, forgiveness showe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self-compassion and forgiveness have both sequential and ful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s individuals become more adept at recognizing their emotions regarding interpersonal trauma events, their self-compassion increases, and as self-compassion increases, forgiveness increases, leading to psychological growth. Lastly, the significanc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more목차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6
1. 대인관계 트라우마 6
(1) 대인관계 트라우마의 개념 6
(2) 대학생의 대인관계 트라우마 8
2. 트라우마 후 성장 10
(1) 트라우마 후 성장의 개념과 모델 10
(2) 트라우마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14
3. 정서인식명확성 15
(1) 정서인식명확성의 개념 15
(2) 정서인식명확성과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 17
4. 자기자비 18
(1) 자기자비의 개념 18
(2)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의 관계 20
(3) 자기자비와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 21
5. 용서 22
(1) 용서의 개념 22
(2) 정서인식명확성과 용서의 관계 26
(3) 자기자비와 용서의 관계 27
(4) 용서와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 28
6. 정서인식명확성, 자기자비, 용서,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 29
(1) 정서인식명확성, 자기자비,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 29
(2) 정서인식명확성, 용서,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 30
(3) 정서인식명확성, 자기자비, 용서,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 31
Ⅲ. 연구문제 및 가설 33
1. 연구문제 및 가설 33
2. 연구모형 34
Ⅳ. 연구방법 35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절차 35
2. 측정 도구 36
(1) 대인관계 트라우마 경험 36
(2) 정서인식명확성 37
(3) 자기자비 38
(4) 용서 39
(5) 트라우마 후 성장 40
3. 분석방법 41
Ⅴ. 연구결과 42
1. 사전 분석 42
(1) 인구통계학적 특성 42
(2) 대인관계 트라우마 경험 유형 빈도 분석 44
(3) 대인관계 트라우마 사건 발생 시기와 경과 기간 45
(4) 대인관계 트라우마 사건 발생 당시 고통 및 최근 고통 정도 46
(5) 누적된 대인관계 트라우마 경험 수의 빈도분석 46
2. 변인 간 차이 검증 및 상관분석 47
(1) 성별에 따른 트라우마 후 성장 관련 변인들의 차이 47
(2) 대인관계트라우마경험관련변인들과트라우마후성장의상관분석 48
(3) 트라우마 후 성장 관련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48
3. 매개모형 검증 51
Ⅵ. 논의 및 제언 55
1. 논의 및 결론 55
2. 연구의 의의 및 임상적 함의 57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0
참고문헌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