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의료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이 성찰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of Professional Identity to Reflective Capacity in Medical Social Workers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의료사회복지사의 성찰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전문직 정체성과 성찰 역량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한의료 사회복지사협회에 회원으로 등록된 의료사회복지사이며,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65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3부를 제외한 262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찰 역량의 수준을 고려하기 위해 변수의 특성에 따라 T-Test 및 ANOVA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연령과 경력이 높을 수록 성찰 역량의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수인 전문직 정체성과 종속변수인 성찰 역량 및 각 하위요인 간의 크기와 방향을 살펴보고 다중공선성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상관관계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모든 상관관계는 기준치보다 낮게 나왔으며, 정(+)의 방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모델1 성찰 역량에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전문직 정체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하위요인 중 전문조직활용, 공동체 의식, 자율성, 소명 의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모델2 실천(성찰역량)에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직 정체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전문조직 활용 및 자율성과 소명 의식이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모델3 사고(성찰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전문직 정체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며, 하위요인 중 전문조직 활용과 공동체 의식 그리고 소명의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모델4 태도 및 감정(성찰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한 결과, 전문직 정체성이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하위요인 중 공동체 의식과 자율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사회복지사의 성찰 역량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전문직 정체성이 선행해야 함을 밝혀냈다. 뿐만 아니라, 이론적 차원에서는 전환학습이론을 지지하였으며, 실천적 차원에서 성찰 역량을 증진하기 위해 교육훈련 등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밝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의료현장 내에서 성찰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more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ramework for enhancing the reflective capacity of medical social workers.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reflective capacity was specifically analysed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medical social workers registered as members of the Korean Medical Social Workers Association. A total of 265 respondents completed the survey, and 262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three non-respons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o consider the level of reflection capacit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Test and ANOVA tes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Second,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dependent variable, reflective capacity, and each sub-factor to identify multicollinearity. As a result, all correlations were lower than the threshol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ositive direction.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reflection capacity in Model 1. The results show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mong the sub-factors, professional use of specialized organization, community spirit, autonomy, and calling consciousness had positive effects. Fourth,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Model 2 practices(reflection capacity). The results show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among the sub-factors, use of specialized organization, autonomy and calling consciousness had a positive effect. Fifth, we explored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Model 3 reflective thinking (reflection capacity). The results show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mong the sub-factors, use of specialized organizations, community spirit and calling consciousness had positive effects. Sixth, the factors that positively influenced Model 4 attitudes and affect (reflective capacity) were explored, and professional identity was found to be a positive influence. In addition, the sub-factors of community spirit and autonom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fessional identity is an important condition for promoting reflective capacity in medical social workers. Moreover, at the theoretical level, they supported the theory of transformative learning, and at the practical level, they suggested the need for education and training to enhance reflection skill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identifi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stud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strategies for improving reflection skills in medical practice.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1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문제 6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7
제1절 의료사회복지 7
1. 의료사회복지개념 7
2.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시각과 역할갈등 9
3. 의료사회복지사의 시대별 역할 변화 14
제2절 성찰 역량 19
1. 성찰 개념 19
2. 역량 중심의 관점에서의 성찰역량 23
3. 성찰역량 구성요소 25
제3절 전문직 정체성 28
1. 전문직 정체성의 개념 28
2. 전문직 정체성의 이론 및 구성요소 33
3. 의료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 39
제4절 선행연구 고찰 42
1. 의료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 관련 선행연구 42
2. 성찰역량 관련 선행연구 45
제3장 연구 방법 51
제1절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51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51
1. 종속변수 52
2. 독립변수 52
3. 통제변수 55
제3절 연구의 분석틀 57
1. 연구모형 57
2. 연구가설 58
제4절 자료 분석 방법 60
제4장 연구 결과 62
제1절 인구사회학적 특성 62
제2절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 정규성 검증 및 상관분석 65
1. 성찰역량의 기술통계 분석 65
2. 전문직 정체성의 기술통계 분석 66
3. 주요 변수들의 정규성 검증 67
4. 주요 변수들 간의 평균 차이 검정 68
5. 주요 변수의 상관관계 79
제3절 전문직 정체성과 성찰 역량의 관계 80
제4절 가설 검증 90
제5장 결론 및 제언 99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99
제2절 제언 104
제3절 사회복지 실천 함의 109
제4절 연구의 제한점 110
참고문헌 11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