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 :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비교경향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among College Students: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 주제어 (키워드) 부모의 심리적 통제 , 내면화된 수치심 , 사회부과 완벽주의 , 사회비교경향성 , 진로정체감 ,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 internalized shame ,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 career identit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한기백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8902
- UCI I804:11029-00000007890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비교경향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비교경향성, 진로정체감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345부의 자료를 SPSS 29.0과 The PROCESS macro 4.2를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경험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비교경향성은 각각 단일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비교경향성,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비교경향성은 각각 이중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비교경향성의 순차적 삼중 매개효과가 유의하며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수준을 높게 지각하는 대학생일수록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고,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수록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높으며,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사회비교경향성이 높고, 높은 사회비교경향성은 낮은 진로정체감을 예측함을 보여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임상적 함의,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구체적으로 논의되었다.
more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elf-report questionnaires 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ternalized sham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career identity scales were conducted on 345 college students. As an analyzing tool, SPSS 29.0 and The PROCESS macro 4.2. were us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each showed a mediation effec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howed double mediation effect,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lso showed double mediation effec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internalized sham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howed not only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s, but also a complete mediation effe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higher level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can feel more internalized shame, and subsequently, a belief that they should be perfect in order to get acknowledged could be developed. This belief can increas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mong college students, and finally this orientation could predict low career identity. At the last part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he significance, clin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more목차
Ⅰ. 서론 11
Ⅱ. 이론적 배경 19
1. 부모의 심리적 통제 19
1) 부모의 심리적 통제의 개념 19
2) 부모의 심리적 통제의 영향 20
2. 내면화된 수치심 22
1) 내면화된 수치심의 개념 22
2)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 23
3. 사회부과 완벽주의 24
1)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개념 24
2)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관계 26
3)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관계 28
4. 사회비교경향성 29
1) 사회비교경향성의 개념 29
2)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비교경향성의 관계 32
3)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비교경향성의 관계 33
4)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비교경향성의 관계 34
5. 진로정체감 36
1) 진로정체감의 개념 36
2)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 40
3) 내면화된 수치심과 진로정체감의 관계 41
4)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정체감의 관계 43
5) 사회비교경향성과 진로정체감의 관계 45
6.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비교 경향성, 진로정체감의 관계 47
1)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면화된 수치심, 진로정체감의 관계 47
2) 부모의 심리적 통제, 사회부과 완벽주의, 진로정체감 48
3) 부모의 심리적 통제, 사회비교경향성, 진로정체감의 관계 49
4)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부과 완벽주의, 진로정체감의 관계 51
5)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비교경향성, 진로정체감 52
6) 부모의 심리적 통제,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비교경향성, 진로정체감 54
7)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비교경향성, 진로정체감 55
Ⅲ. 연구문제 및 방법 57
1. 연구문제 및 가설 57
2. 연구모형 58
3. 연구방법 59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절차 59
2) 측정도구 60
(1) 부모의 심리적 통제 60
(2) 내면화된 수치심 62
(3) 사회부과 완벽주의 63
(4) 사회비교경향성 64
(5) 진로정체감 65
4. 분석방법 67
Ⅳ. 연구결과 68
1. 인구통계학적 특성 68
2.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72
3. 매개효과 분석 74
Ⅴ. 논의 및 제언 80
1. 논의 및 결론 80
2. 연구의 의의 및 임상적 함의 86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90
참 고 문 헌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