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유연근무제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여성 관리자를 중심으로

Impact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on the Labor Market Outcomes, Focusing on the Korean Female Manag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초록 (요약문)

본 논문에서는 2기 1~3차 여성관리자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유연근무제 및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의 유무가 기혼 여성 관리자의 일자리 유지 여부와 승진 여부 등 노동시장 성과와 일-가정 양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시차출퇴근제, 탄력근무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 등 시간 유연근무제가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연령, 학력, 자녀 연령대, 산업 및 기업 규모에 따라 유연근무제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또 시차출퇴근제, 재택/원격근무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가 있을 때 일-가정 양립 만족도의 일부 지표가 감소하였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paper is an empirical study on how flexible work arrangements affect the labor market outcomes specifically job turnover and promotion, and work & family balance of married wom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sing the second cycle of the Korean Women Manager Panel. The study showed that flexible work arrangements such as staggered commuting systems, flexible working hours, and shortened working periods for parents raising children under eight positively impacted labor market outcomes. Age, level of education, child’s age, industry, and corporate size showed varied outcomes to flexible work arrangements. It was also notable that certain work & family balance indicators declined when married female managers were offered staggered commuting systems, options to work remotely, and shortened working hours if their children were under eight.

more

목차

제 1장 서론 1
제 2장 배경 및 선행연구 4
제 1절 유연근무제의 법적, 제도적 변화 4
제 2절 선행연구 9
제 3장 자료 및 분석 모형 13
제 1절 연구 자료 및 대상 13
제 2절 변수의 정의 및 측정 14
제 3절 분석 모형 18
제 4절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19
제 4장 분석 결과 23
제 1절 기본 결과 23
제 2절 효과의 이질성 26
제 3절 일-가정 양립 변수에 대한 영향 34
제 5장 토의 및 결론 36
참고문헌 4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