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조선 후기 지배층의 『水滸傳』 인식 변화와 그 원인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Suhoj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s Causes

초록 (요약문)

본고는 조선 후기 지배층이 『수호전』을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살핀 연구이다. 그간 『수호전』 수용 관련 연구는 주로 국문학계에서 진행해왔다. 그래서인지 역사학의 핵심인 ‘시간성에 따른 변화’에 초점을 맞추지 않았다. 조선 후기 지배층 전체를 단일한 집단으로 가정하여 『수호전』 인식의 시기 별 변화에 주목하지 못했다. 하지만 『수호전』은 조선 후기에 금서로 지정된 적이 없으며, 많은 혹평을 받았지만 이는 곧 많은 독자층을 확보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배층의 『수호전』 인식을 살필 때 변화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다음의 질문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18세기 중엽 이후 조선 지배층 사이에서 『수호전』 관련 인식이 갑자기 부정적으로 변한 이유는 무엇일까? 둘째, 동시기 청에서는 『수호전』을 여러 차례 금서로 지정하였는데 조선에서는 문인들의 혹평에도 이를 금서로 지정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일까? 첫 번째 질문을 답하기 위해서 시간적 축을 활용하였다. 다양한 사료에 등장하는 『수호전』 관련 인식을 시기 별로 정리하여 18세기 중엽에 큰 변화가 생긴 이유를 추론하였다. 18세기는 조선 사회에서 존주론이 확산한 때이다. 존주론은 주(周)대부터 전해진 중화 문명을 흠모하고 절대시하는 사상이다. 조선은 병자호란과 명의 멸망 이후 생긴 이념적 공백을 메우기 위해 존주론을 정치적 구호로 활용하였다. 한편 해당 시기는 김성탄의 70회본 『수호전』이 다른 판본을 제치고 유행한 때였다. 70회본 『수호전』은 존주론에 기반을 두고 긍정적으로 해석할 만한 후반부 내용을 요참한 판본이기에 이후 문인들이 『수호전』을 비평한 내용을 살피면 김성탄에 대한 비판도 포함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두 번째 질문은 조선과 중국이라는 공간적 축을 활용하여 답을 내렸다. 청은 만주족이 세운 국가였다. 이에 『수호전』을 금서로 지정하며 내린 건륭제와 가경제의 조서를 보면, 『수호전』이 만주족의 풍습을 깔본다는 이유를 공통적으로 들었다. 가경제 때는 『수호전』으로 인해 만주어가 사라진다는 기록도 있다. 청은 『수호전』이 만주족 정체성을 뒤흔들어 결국 국가를 전복시킬 위험한 책이라는 인식을 하여 금서로 지정한 것이다. 조선에서 『수호전』의 일부 내용으로 인해 지배층에게 혹평을 받았지만 체제를 위협할 정도라 판단하지는 않았기에 금서 조치를 취하지 않았던 것이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study examined how the ruling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ceived the Suhojeon(水滸傳). Until now, researchs on the acceptance of the Suhojeon has been mainly conducted in the Korean literature academia. Perhaps that's why the focus was not on 'change over time', which is the core of history. Assuming that the entire ruling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a single group, it failed to pay attention to changes by period of perception of the Suhojeon. However, the Suhojeon was never designated as a forbidden bo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lthough it received a lot of criticism, it means that it has secured a large readershi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change when looking at the ruling class's perception of the Suhojeon. In this paper I developed a discussion focusing on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y has the perception of the Suhojeon suddenly changed to negative among the Joseon ruling class since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Second, during the same period, the Qing(淸) Dynasty designated the Suhojeon as a forbidden book several times, but why did not it be designated as a forbidden book in Joseon despite the harsh criticism of writers? The temporal axis was used to answer the first question. The reason for the major change in the mid-18th century was inferred by organizing the perceptions related to the Suhojeon appearing in various historical sources by period. The 18th century was the time when the theory of esteem China(尊周論) spread in Joseon society. The theory of esteem China is an idea that admires and absolutely values the Chinese civilization that has been handed down since the Zhou dynasty(周). Joseon used the theory of esteem China as a political slogan to fill the ideological void that occurred after the Byeongjahoran(丙子胡亂) and the collapse of the Ming dynasty(明). Meanwhile, this period was when Kim Seong-tan's(金聖嘆) 70 chapter edition of the Suhojeon became popular, overtaking other editions. Since the 70 chapter edition of the Suhojeon was based on the theory of esteem China and referencing the contents of the second half that could be interpreted positively,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criticism of Kim Seong-tan when looking at the criticisms of the Suhojeon by writers afterward. The second question was answered using the spatial axis of Joseon and China. The Qing Dynasty was a state established by the Manchurians(滿洲族). Accordingly, looking at the records of Qianlongje(乾隆帝) and Gagyeongje(嘉慶帝), which were issued by designating the Suhojeon as a forbidden book, the common reason was that the Suhojeon looked down on the customs of the Manchurians. There is also a record that the Manchurian language disappears due to the Suhojeon during the Gagyeong period. The Qing government designated the Suhojeon as a forbidden book because it recognized that it was a dangerous book that would shake the identity of the Manchurian people and eventually overthrow the state. In Joseon, it was criticized by the ruling class for some of the contents of the Suhojeon, but Joseon did not judge that the Suhojeon threatened Joseon's system. Therefore, the Suhojeon was not designated as a forbidden book.

more

목차

Ⅰ. 머리말 1
Ⅱ. 17세기~19세기 『수호전』 인식 변천 4
Ⅲ. 70회본 『수호전』의 유행과 존주론의 확산 14
Ⅳ. 맺음말 26
【참고문헌】 2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