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쫑카빠의 원측 비판과 그 불교 해석학적 함축 - 『해심밀경』 ‘삼시교판(三時敎判)’과 ‘자상(自相)’ 해석을 중심으로

Tsoṅ kha pa’s Critique of Woncheuk and Its Buddhist Hermeneutical Implications - Focusing on their Views on Three Dharmacakras and Svalakṣaṇa in the Saṃdhinirmocanasū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