쫑카빠의 원측 비판과 그 불교 해석학적 함축 - 『해심밀경』 ‘삼시교판(三時敎判)’과 ‘자상(自相)’ 해석을 중심으로
Tsoṅ kha pa’s Critique of Woncheuk and Its Buddhist Hermeneutical Implications - Focusing on their Views on Three Dharmacakras and Svalakṣaṇa in the Saṃdhinirmocanasūtra
- 주제(키워드) 도움말 원측 , 쫑카빠 , 『해심밀경』의 삼시법륜 , 료의와 불료의 , 여지가 있음 , 더 우월한가르침의 여지가 있음 , 자체적 특징 , 개별적 특징 , 명명의 기반 , 사물 , 두 차원의진리 , 현상의 공성 , 중관과 유식 사상의 단절적 측면 , Woncheuk , Tsoṅ kha pa , Three Dharmacakras in the Saṃdhinirmocanasūtratra , neyārtha and nītārtha , skabs mchis pa , phyis mchog tu ḥgyur ba , svalakṣaṇa , bié xiàng , btags paḥi btags gṣi , dṅos po , Two Levels of Truth , dharmaśūnyatā , Aspect of Discontinuity between Mādhyamikas and Yogācāras Masters
- 발행기관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발행년도 2023
- 총서유형 Journ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