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지위 불안에 의한 노동시장 성차별 선호 형성 : 집단 간 지위 위협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How Outsiderness Shapes Gendered Backlash: Stalling and Reactionary Mechanisms in Dualized Labor Markets
- 주제어 (키워드) 성평등 선호 , 내부자-외부자 역학 , 집단 간 지위 위협 , 지위 불안 , 위계적선형회귀분석; Categorical Discrimination , Insider-outisder Dynamics , Intergroup Threat ,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이철승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7265
- UCI I804:11029-00000007726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노동시장 외부자성은 개인의 노동시장 성평등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세계 가치 조사 자료에 위계적선형회귀모형을 적용하여 OECD 국가에 거주하는 개인의 고용 안정성이 노동시장 성평등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노동시장 외부자성이 커질수록 노동시장에서 성평등 선호가 감소하는 ‘정체’가 나타나는 동시에, 내부자와 외부자 사이의 경계에서는 성평등 선호가 유의하게 최소화되는 U자형의 ‘반발’이 함께 나타났다. 이러한 비선형 효과는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1989년부터 2021년까지 성평등 태도의 평균은 꾸준히 상승한 반면, 내부노동시장 경계 부근에서 성평등 태도를 감소시키는 비선형적인 역학의 유의성과 효과 크기는 함께 점진적으로 증가해온 관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직종 내에서 경쟁하는 성별-세대 집단에 의한 지위 위협 강도가 커질수록 개인의 성평등 태도가 평균적으로 개선되는 한편, 내부노동시장 경계 부근에서는 외부자성에 의해 나타나는 비선형 효과의 크기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노동시장 이중화가 진전함에 따라 성별-세대 집단 간의 경쟁이 증가하며 성평등 태도가 개선되었지만, 동시에 고용지위의 불확실성이 큰 경계에서는 성평등에 대한 반발이 커졌음을 확인했다.
more초록
How labor market outsiderness shapes personal attitudes toward workplace gender equality? Employing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on World Values Survey data, this study reveals compelling findings. First, low preferences for gender equality are associated with high labor market outsiderness, attributed to a 'stalling' effect. Simultaneously, a U-shaped 'reactionary' effect emerges at insider-outsider boundaries, considerably reducing gender equality preferences among males. Second, despite a consistent increase in average gender equality attitudes from 1989 to 2021, non-linear dynamics near internal labor market boundaries progressively amplify attitude reduction. Lastly, increased intergroup threat within occupations enhances attitudes on average, while outsiderness amplifies its negative impact near internal labor market boundaries due to the heightened intergroup threat. In conclusion, while labor market dualization fosters improved gender equality attitudes amid competition, resistance to gender equality intensifies near the boundary of the internal labor market.
more목차
I. 서론 5
II. 이론적 틀 8
1. 전제 8
2. 정체 메커니즘 12
3. 반발 메커니즘 15
4. 집단 간 지위 위협 22
5. 기회 구조 27
III. 연구 방법 31
1. 자료 31
2. 측정 32
3. 분석 모형 42
IV. 연구 결과 45
1. 데이터 탐색 45
2. 회귀 분석 결과 51
V. 결론 59
1. 요약 59
2. 논의 61
VI. 참고 문헌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