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미디어 모니터링 활동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효성 연구 : 방송 심의 사례 활용을 중심으로
Through video media monitoring activities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 Focusing on the use of broadcasting deliberation cases
- 주제어 (키워드) 리터러시 , 미디어 리터러시 , 미디어 교육 , 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 방송심의 ,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 모니터링 , 방송 모니터 , 언론 모니터링; literacy , media literacy , media education ,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adolescents , broadcasting deliberation , Regulations on Broadcasting Deliberation , monitoring , broadcasting monitoring , press monitoring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조재희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7251
- UCI I804:11029-00000007725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video content-based monitoring activities for adolescents, testing their effectiveness as a continuous media literacy education activity along with the educational effects of media literacy and proposing a direction for effective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s fit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adolescent generation.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provided education to 27 adolescents and selected 20 as the final subjects. An education program was organized as a six-session curriculum designed to cultivate the practical competencies of democratic citizenship as well as the basics of media literacy competencies. A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changes to media literacy competenc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al effects of a media literacy program. Video monitoring lessons were provided with along media literacy ones. After the six lessons, an in-depth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he findings show that adolescents increased their understanding of networks, public participation, protection of user rights, analysis and evaluation of information, analysis of media representation, and influence of media industry regulations after media literacy education, which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ir critical thinking. The in-depth interview results foun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mpac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creased concern and interest in media literacy,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comprehensive literacy competencies,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activities among the school subjects, growing social interest and promotion of will for social participation, and influence of an alternative to the old NIE(Newspaper In Educa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developed an interest in monitoring activities with broadcasting deliberation cases mainly due to "presence" and "materiality." They showed very positive reactions to monitoring activities that were provided along with lessons on the basic media literacy theories to assess a monitoring education program. There were the consistent effect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the possibilities of inducing their will for social participate in media-related social issues. Their video monitoring experiences showed the possibilitie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with continuity in life and verified the continuous educational effects of the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video monitoring activities can serve as part of a curriculum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most of all, an effective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and social participation program that any adolescent can implement in real life easily and consistently. Even though monitoring activities strongly attract adolescents to social participation, however, the research participants most pointed out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m into realistic social participation due to great time limits from their study, the current short-term media literacy lessons, "shallow" lesson content, and the scarcity of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in which they could participate. The study thus raises a need to develop systematic and profound curriculums and programs that will ensure periodic and long-term progress so that a media literacy program based on video monitoring can be developed to connect the school subjects to school life and spread to many more institutions in addition to school and home.
more초록
영상 미디어 모니터링 활동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효성 연구 - 방송 심의 사례 활용을 중심으로 - 연구자 : 이윤진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전공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영상 콘텐츠를 이용한 모니터링 활동을 통 해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 효과 및 지속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동 으로서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현대 청소년 세대의 특징에 부합하는 효과적 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 구를 위해 청소년 27명을 대상으로 해당 교육을 시행하였으며, 이중 최종 연구 대상은 20명을 대상으로 결정되었다. 교육 프로그램은 미디어 리터러 시 역량의 기본적인 함양은 물론 민주적 시민성을 위한 실천 역량 함양을 목표로 총 6회기의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 발 및 교육 효과와 관련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시행했고, 미디어 리터러시와 영상 모니터링 수업을 병행하였 으며, 6회기 수업을 마친 후 그룹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후 네트워크, 공적 참여, 이용자 권리 보호, 정보에 대한 분석과 평가, 미디어 재현에 대한 분석, 미디어 산업규 제의 영향력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였으며, 비판적 사고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심층 면접 결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의 효 과,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도・흥미도 상승효과, 종합적 리터러시 역량의 신장 가능성, 학교 교과목의 통합적 활동 가능성, 사회적 관심사의 상승과 사회 참여 의사의 증진, 기존 NIE(Newspaper In Education) 교육의 대체 효과 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이 방송심의 사례를 활용한 모니터링 활동에 흥미를 가지 게 된 것은 ‘실재감’과 ‘구체성’으로 요약된다. 모니터링 교육 프로그 램에 대한 평가로 기본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이론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병행한 모니터링 활동에 대한 참여자들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지속 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효과도 나타났고, 미디어와 관련된 사회 문제에 대하여 사회 참여 의지로의 유인 가능성도 드러났다. 영상 모니터링의 경 험은 생활 속에서 연속성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가능성을 보여주었 으며, 지속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으로써의 교육 효과를 확인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상 모니터링 활동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커리큘럼으로 사용 가능하며, 무엇보다 청소년 누구나 용이하게 실생활에 서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이 면서 동시에 사회 참여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다만, 모니터링 활동이 사회 참여로의 유인성은 강하나 청소년들이 학업으로 인 한 시간적 제약이 커서 현실적인 사회 참여로 이어가기 어렵다는 점, 단기 간으로 시행하는 현행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시수, ‘얕은’ 수업 내용, 청소년이 참여할 수 있는 사회 참여 프로그램의 희소성 등을 가장 많이 지 적하였다. 그러므로 추후 영상 모니터링을 활용한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 램이 학교 교과목 및 학교생활과 연계한 프로그램으로 개발되고, 학교와 가정, 학교 외 여러 기관에 확산될 수 있도록 주기적이며 장기간에 걸쳐 진행하는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교육 과정과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more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문제 및 연구 내용 4
Ⅱ. 이론적 배경 6
A.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6
(1)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 및 등장 배경 6
(2)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목적 10
(3)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국내외 동향 13
B.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23
(1) 청소년 세대의 특징 및 미디어 이용 현황 23
(2) 청소년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25
(3) 청소년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사례 29
C. 모니터링과 미디어 리터러시 37
(1) 모니터링의 개념 및 관련 활동 37
(2) 영상 미디어 모니터링 활동의 청소년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적용 시 기대 효과 41
D. 선행 연구 45
Ⅲ. 연구방법 49
A. 연구 대상 및 교육 프로그램 내용 49
(1) 연구 대상 49
(2) 교육 프로그램 내용 50
B. 연구 절차 및 연구 도구 51
(1) 연구 절차 51
(2) 연구 도구 51
(a) 설문조사지 51
(b) 교육 프로그램 52
(c) 심층면접 질문지 55
C. 자료 처리 57
Ⅳ. 연구결과 58
A. 설문 조사 분석 결과 58
(1) 사전사후 신뢰도 검증 58
(2) 대응표본 t-test 사전사후 비교 59
B. 심층 면접 결과 61
(1)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이해 61
(2) 모니터링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66
(a)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도흥미도 상승효과 66
(b) 종합적 리터러시 역량의 증진 가능 70
(c) 지속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효과 75
(d) NIE(Newspaper In Education) 교육 효과 80
(3) 사회적 관심도 향상과 사회 참여 유도의 효과 81
Ⅴ. 결론 및 논의 90
VI. 참고문헌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