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에 대항하는 청년주체 :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 논의를 중심으로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균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7212
- UCI I804:11029-00000007721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목차
제1장 들어가며 1
제2장 환경커뮤니케이션과 청년 기후운동의 교차점 5
제1절 기후운동과 환경커뮤니케이션 5
제2절 국내 기후운동의 역사적 변화 7
제3절 한국 청년의 사회운동과 당사자성 9
제4절 국제사회의 청년 기후운동 11
제3장 선행연구 및 기존 논의 12
제1절 사회과학 분야의 환경 및 기후변화 관련 선행연구 12
제2절 청년의 사회운동과 기후운동 관련 선행연구 14
제4장 이론적 논의 및 분석틀: 벡의 위험사회 이론과 기후운동 17
제1절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 18
제2절 성찰적 근대성 21
제3절 개인화 27
제4절 세계시민주의 30
제5절 하위정치 34
제6절 소결: 벡의 위험사회 논의의 이론적 유용성 36
제5장 연구절차 41
제1절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1
제2절 연구대상 43
제6장 벡의 논의를 통한 국내 청년의 기후운동 재구성 46
제1절 기후위기와 성찰적 시민사회, 청년의 등장 46
1. 성찰성 발현의 내재적 요인 46
2. 성찰성 발현의 외재적 요인 50
제2절 일상 속 기후운동, 개인의 실천과 방식 52
1. 해방의 차원 53
2. 각성의 차원 56
3. 재통합의 차원 59
제3절 지구적 위기, 연대하는 세계의 청년 61
1. 세계시민성의 발현 62
2. 미디어가 연결하는 글로벌 청년의 활동 66
3. 국내 세계시민주의의 현실 68
제4절 아래로부터 저항의 가능성: 청년 주체의 기후운동 73
1. ‘나’로부터 출발한 정체성 73
(1) 당사자성 73
(2) 제도 차원으로의 확장 78
2. 연대하는 청년들 82
(1) 함께하는 기후위기 대응 82
(2) 다른 운동과의 연계 85
제7장 나가며 91
참고문헌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