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세기 신라의 영역화 과정 연구
A Study of the Territorialization of Silla in 6th Century
- 주제어 (키워드) 신라 , 6세기 , 영역화 , 동해안 , 낙동강 , 남해안 , 금강 , 한강 , 지증왕 , 법흥왕 , 진흥왕 , 진지왕 , 진평왕 , 州 , 軍主; Silla , 6th Century , Territorialization , East coast , South coast , The Nakdonggang River , The Geumgang River , The Hangang River , King Jijeung , King Beopheung , King Jinheung , King Jinji , King Jinpyeong , Province(州) , Military Chiefs(軍主)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조범환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7204
- UCI I804:11029-00000007720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본 논문은 6세기에 신라가 영역화를 진행할 수 있었던 배경과 기반을 살펴보고, 한 세기 동안 영역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원동력을 고찰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국제 역학관계의 변동과 신라의 정국 변화가 6세기 신라의 영역화 과정과 어떻게 연관하며, 전개되었는지를 종합적⋅장기적인 관점에서 탐구한 것이다. 이를 통해 6세기에 신라가 영역화를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외부적으로는 정세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내부적으로는 국가 역량을 구축한 데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6세기 신라의 영역화 과정을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6세기 이후 신라는 국제 역학관계의 변화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영역화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특히 6세기 이후 중국 남북조의 왕조교체와 수⋅당의 통일제국 수립은 중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고구려⋅백제⋅왜의 대외 전략에 영향을 미쳤다. 6세기 신라의 영역화가 전개된 시점은 중국의 정세변화가 신라 주변국의 대외전략에 영향을 미친 것과 맞물려 있다. 둘째, 신라는 영역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군사적⋅경제적 기반을 마련하고, 제도 개편을 시도하였다. 특히 새로 확보한 동해안⋅남해안⋅낙동강 ⋅금강 상류⋅한강 방면 등의 전략적⋅지리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州治를 이동하고, 軍主를 배치하면서 신라 왕경과 지방의 연계를 강화했다. 셋째, 신라가 6세기에 영역화를 지속할 수 있었던 것은 집권세력의 결집을 통한 내부 정국의 안정적인 운영에 기반하였다. 6세기에 국제정세의 복잡한 전개와 함께 신라 정국 운영에도 여러 문제가 제기되었으나 집권세력을 중심으로 국내외 위기를 안정시키고 영역화를 지속하는 전략을 추진하였다. 넷째, 6세기 신라 왕들은 접경지대에 관심을 기울여 巡幸과 親征 등을 통해 지방민과 접촉을 확대하였다. 이 과정에서 지방세력 재편, 포상 정책, 음악 정비, 군사 활동 등 중앙의 지배력을 드러낼 수 있는 여러 통치행위를 시행하였다. 이것은 새로 확보한 지점의 통치 질서 확립과 民의 동원을 통해 영역화를 지속하고, 지배를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신라의 성장과 발전을 中古期 중심으로 살펴보는 기존 관점과는 달리 지증왕부터 진평왕 재위 전반기에 해당하는 6세기와 진덕왕~선덕왕 시기에 해당하는 7세기 중반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따라 6세기에 신라가 시도한 영역화가 7세기 이후 중국의 통일제국 등장과 고구려⋅백제⋅왜의 견제 심화라는 상황에서 중단되고, 방어적인 영역 유지 정책으로 전환되는 세기별 특징을 도출하였다. 신라가 6세기 동안 영역화를 진행하면서 구축한 내부 역량과 대외 교섭의 경험은 신라의 국가체제를 강고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기반을 바탕으로 7세기 신라가 추진한 외교정책과 영역 유지 정책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정리하면, 본 논문은 6세기 신라의 영역화 과정을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정치⋅군사⋅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내적인 기반이 상호 간 영향을 끼치며 이루어졌음을 규명하였다. 동시에 6세기 신라의 영역화는 동해안⋅남해안⋅낙동강 ⋅금강 상류⋅한강 방면 등이 가지는 자연지리적⋅역사지리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진행하였음을 도출하였다. 이것은 6세기 신라와 주변국의 관계를 동아시아 관점으로 확장하고, 특정한 공간에서 이루어진 통치행위를 장기적인 시각으로 조명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more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foundations and the driving forces that enabled the territorialization of Silla in the 6th centur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erritorialization of Silla in the 6th century was related to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dynamics and political situation of Silla from a comprehensive and long-term perspective. This showed that the success of the territorialization of Silla in the 6th century was based on its ability to respond flexibly to changing circumstances externally and build state capacity internally. The territorialization of Silla in the 6th centur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om the 6th century onward, Silla took advantage of changes in international dynamics to sequentially advance its territorialization. In particular, the change of dynasties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of China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unified Chinese empires such as Sui(隨) and Tang(唐) dynasties after the 6th century affected the foreign policy strategies of the Goguryeo, Baekje, and Japan(倭), which had intimate relations with China. Therefore, the territorialization of Silla in the 6th century was closely in line with the changes in China’s political situation, which affected the foreign policy strategies of Silla on neighboring countries. Second, to successfully carry out territorialization, Silla laid military and economic foundations and attempted to reorganize domestic institutions. Particularly, Silla moved the provinces(州), deployed Military Chiefs(軍主), and strengthened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royal court(王京) and the provinces, considering the strategic and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newly secured East and South coasts, the Nakdonggang River, the upper Geumgang River, and the Hangang River. Third, another background to continue its territorialization of Silla in the 6th century was based on the stable operation of internal politics through the unity of the ruling power. The complex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6th century posed several problems for the governmental operation of Silla, but the ruling power promoted a strategy to stabilize domestic and foreign crises and was able to continue territorialization. Fourth, Silla kings, who reigned in the 6th century, paid attention to the borderlands and tried to expand contact with the local people. In the process, they implemented various actions, such as reorganizing local forces, reward policies, musical arrangements, military activities, etc. to demonstrate their dominance in the regions. These actions became an important driving force for the territorialization of strengthening a controlling power on the newly secured regions and mobilizing the people. In contrast to the previous view on the Middle Ancient period(中古期) of Silla, this study divided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illa into two periods: (1) the 6th century, from the period of King Jijeung(智證王) to the first half period of King Jinpyeong(眞平王), and (2) the mid-7th century, from the period of King Seondeok(善德王)and King Jindeok(眞德王). Accordingly,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ritorialization of Silla in the 6th century, which was interrupted by the emergence of China’s unified empire in the 7th century and the opposition from Goguryeo, Baekje, and Japan(倭). Consequently, Silla switched its strategy to a defensive direction to maintain its territory. The internal capacity and experience in foreign negotiations that Silla built during the 6th century strengthened its state system. Based on the territorialization, foreign policy, and territorial maintenance policies of Silla in the 7th century successfully continued. In conclusion, this paper found that the territorialization of Silla in the 6th century was a result of both the mutual influence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and various internal foundations such as politics, military,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it was concluded that the territorialization of Silla in the 6th century could be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al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st and South coasts, the Nakdonggang River, the upper Geumgang River, the Hangang River, etc.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relations between Silla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6th century were analyzed from the East Asian perspective and long-term view.
more목차
Ⅰ. 서론 1
1. 선행연구 검토 및 문제 제기 1
2. 연구 방법 및 내용 18
Ⅱ. 지증왕 대 동해안 진출과 실직주・하슬라주 설치 23
1. 소지왕의 동해안 진출 시도와 고구려・말갈의 견제 24
2. 지증왕의 정국 수습과 동해안 진출 준비 37
(1) 지도로 갈문왕의 즉위와 500년대 국제정세 변화 37
(2) 왕경 주변의 분쟁 해소와 동해안 교통로 안정화 45
3. 실직주・하슬라주 설치와 軍主 이사부 파견 52
(1) 동해안 진출 거점확보와 실직주・하슬라주 설치 52
(2) 동해안 방면 지원체계 강화와 이사부의 군사 활동 60
Ⅲ. 법흥왕 대 낙동강 진출과 금관국 병합 72
1. 510~520년대 백제의 세력 확장과 신라의 대외전략 변화 73
2. 南進 기반 구축과 낙동강의 활용 81
(1) 낙동강 중‧상류 지역 방위 강화와 사벌주 설치 81
(2) 낙동강 유역 생산기반 조성과 지원체계 마련 89
3. 이사부의 四村 공격과 낙동강 하류 확보 96
(1) 법흥왕의 南巡과 이사부의 군사 활동 96
(2) 신라의 금관국 병합과 낙동강 하류 진출 103
Ⅳ. 진흥왕 대 四方 진출과 州의 廢置 111
1. 540년대 이사부의 대외전략 조정과 北進 준비 112
2. 영역확장 이후 巡幸과 四方軍主 배치 121
(1) 소백산맥 이북 방면 확보와 낭성 순행 121
(2) 한강 유역 확보와 북한산 순행 125
(3) 금강 상류⋅낙동강 이서 방면 진출과 비사벌 회집 132
3. 560년대 국제관계 변동과 신라의 정세 대응 140
(1) 560년대 전반 가야 방면 확보와 대왜 교섭 140
(2) 560년대 중반 이후 대중국 교섭 시도와 진흥왕의 책봉 147
(3) 568년 연호 개정 이후 동북방 순행과 州治所 이동 151
Ⅴ. 진지왕⋅진평왕 대 영역 유지 정책과 북한산주 재설치 160
1. 진지왕의 확장정책 추진과 백제의 반격 161
2. 진평왕의 정치질서 확립과 통치체제 정비 172
3. 580년대 이후 대외위기 심화와 외교⋅군사적 대응 182
(1) 백제와 왜의 관계 강화와 신라의 대왜 교섭 시도 182
(2) 중국의 정세 변동과 대중국 교섭 준비 185
(3) 兵制 개편과 군사 방비 강화 188
4. 북한산성 親征과 한강 유역 통제력 확보 193
(1) 고구려의 북한산성 침공과 진평왕의 親征 193
(2) 북한산주 재설치와 한강 유역 방위 강화 199
Ⅵ. 결론 211
참고문헌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