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생물심리사회 모형에 기반한 정신건강 증진 집단 프로그램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비적 연구

The Effect of a Mental Health Promotion Group Program Based on the Biopsychosocial Model on Psychological Adaptation: A Preliminary Stud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생물심리사회 모형에 기반한 정신건강 증진 집단 프로그램 “Mood Lifters”(이하 ML)가 우울한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의 20대 대학생 및 대학원생 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으며, 우울 수준이 높고 후속 연구 참여에 동의한 참가자 15명 중 7명을 처치집단에, 8명을 통제집단에 할당하였다. 처치집단에게는 주 2회씩 총 9회기의 ML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게는 별도의 처치를 하지 않았다. ML 프로그램 은 행동, 인지, 정서, 대인관계, 신체건강의 주제에 대한 심리교육, 집단 토의, 그리고 과제의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ML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처치집단 및 통제집단 모두를 대상으로 사전, 사후, 추후 시점에 걸쳐 심리적 적응의 하위요인인 우울, 학교생활 적응, 자존감 및 삶의 의미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추가적으로 ML 프 로그램에서 집중적으로 다루는 다루는 ‘행동’ , ‘대인관계’, ‘정서’ , ‘인지’ 및 ‘신체’의 주제영역에 해당하는 행동활성화, 대인관계, 우울불안스트레스, 정서조 절곤란, 자동적 사고, 수면 및 신체 활동에서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 사후 시점에서 처치집단은 우울, 학교생활적 응, 행동활성화, 우울불안스트레스, 정서조절곤란, 긍정적 자동적 사고, 대인관계 및 자존감 점수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인 반면, 통제집단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측정치와 사후측정치의 차이값에 대한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한 결과, 처치집단은 우울, 자존감, 정서조절곤란, 긍정적 자 동적사고, 대인관계에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more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mental health promotion group program called "Mood Lifters" (ML), based on the biopsychosocial model, o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depressed college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69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in their twenties. Among the participants who had high levels of depression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follow-up study, seven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 and eight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the ML program, consisting of a total of nine sessions conducted twice a week,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specific treatment. The ML program included psychological education, group discussions, and homework on topics related to behavior, cognition, emotion, social relationships, and physical health. To assess the ML program's effectiveness, psychological adaptation measures such as depression, school adaptation, self-esteem, and life meaning were evaluated alongside changes in key areas—behavioral activation, depression anxiety stress,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automatic thoughts, social relationships, sleep, and physical activity—across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periods for both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during the pre-test to post-test period, the treatment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depression, school adaptation, self-esteem, behavioral activation, depression anxiety stress,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positive automatic thoughts, and social relationships,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Additionally, comparing the difference scores between pre- and post-measurements highlighted significant changes in depression, self-esteem,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positive automatic thoughts, and social relationships in the treat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fering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based on these findings.

more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II. 이론적 배경 6
1. 성인진입기의 우울 6
2. 성인진입기의 심리적 적응 7
3. 생물심리사회학 모형에 기반한 우울 관련 심리적 요인과 치료 10
1) 행동적 접근 11
2) 인지적 접근 12
3) 정서적 접근 13
4) 대인관계적 접근 13
5) 신체건강적 접근 14
4. Mood Lifters 프로그램 15
Ⅲ. 연구문제 및 가설 19
Ⅳ. 연구 방법 22
1. 참가자 22
2. 측정도구 25
3. 연구 및 실험 절차 32
1) 연구절차 요약 32
2) Mood Lifters 프로그램 구성 35
가) 리더 훈련 과정 35
나) 한국판 Mood Lifters 프로그램 36
4. 분석 방법 41
Ⅴ. 결과 및 해석 42
1. 종속 변인의 정규분포성 검증 42
2. 처치집단,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 44
3. 집단 간 사후 측정치 비교 45
4. 집단 간 변화량 비교 47
1) 전반적 심리적 적응 지표 49
가) 우울 49
나) 학교생활적응 51
다) 자존감 53
라) 삶의 의미 54
2) 영역별 지표 56
가) 행동 영역 56
나) 정서 영역 58
다) 인지 영역 63
라) 신체 영역 66
마) 대인관계 영역 71
바) 기타 영역 73
5. 피드백 설문지 문항 결과 75
6. 추후 측정치 분석 76
VI. 논의 78
참고 문헌 9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