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환경 커뮤니케이션과 자연과의 상징적 접촉 : 자연과의 유대감, 가상 인플루언서와의 상호작용, 어울림의 필요(the need to belong)를 중심으로

Environmental communication and the symbolic contact with nature: Focused on the connectedness to nature, interaction with a virtual influencer, and the need to belong

초록

Environmental communication encompasses pragmatic viewpoints which solutions for environmental issues and constitutive representations of nature through media. It examining the impact of media-mediated interactions with nature from an environmental communication standpoint is essential, because communication concerning nature influences human perspectives and behaviors toward the environment. This study explore how depictions of nature in media can lead to a sense of presence, or unmediated interaction with nature, thereby enhancing connectedness to nature which related to human-nature relationships. Three concepts ─ the symbolic contact to nature, presence, and connectedness to nature ─ are applied to this discussion. This study assumes that symbolic contact, resembling human interaction with/about nature in the real world, leads to the connectedness to nature. Following this assume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ymbolic contact with nature in videos, along with message interaction, affects the connectedness to nature. Moreover, the study extends this inquiry to include virtual influencers, examining that interactions with nature-themed videos and messages featuring virtual influencers can foster a stronger connectedness to nature.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 effects of individual condition between symbolic contact with nature, including video depicted nature and message interaction, and connectedness to nature. Connectedness to nature is a belief in an intimate relationship or connec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is associated with humanistic values that assign relational status to nature and include it into the human co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explore the possibil ty that the impact of symbolic contact with nature might be different for people who pay attention to relational value cues. Relatedly,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the need to belong, which is the tendency to sensitively response and process cues related to acceptance or rejection in order to navigate social environments. Fi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onnectedness to nature, which changed by exposure to symbolic contact, toward environmental beliefs (anthropocentrism and ecocentrism) and environmentalism. Environmental beliefs and environmentalism are individual beliefs and attitudes toward nature.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 ty that communication related to nature or the natural environment affects perceptions of human-nature relationships, and that perceptions of human-nature relationships changed by communication lead to human attitudes or beliefs toward nature. Three studies are desinged including common experimental stimuli and procedures for each study. Study 1 focu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videos depicting nature and message interactions about nature, while Study 2 analyzed the impact of videos depicting nature featuring virtual influencers and message interactions with virtual influencers on connectedness to nature. Finally, Study 3 examined the impact of the change in connectedness to nature from Study 1 and Study 2 on environmental beliefs (anthropocentrism and ecocentrism) and environmentalism. Onlin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 panel of expert survey organizations in November 2023, and 450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online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nine groups: [Study 1] 2 (Depiction-Nature: Presence high vs. low) x 2 (Message interaction-Nature: Presence high vs. low), [Study 2] 2 (Depiction-Nature+VI: Presence high vs. low) x 2 (Message interaction-Nature+VI: Presence high vs. low), and a control group. Results show that symbolic contact, including nature depiction videos and message interactions about nature, increased connectedness to nature. Visual output characteristics in Study 1 and Study 2 manipulated nature depiction videos and message interactions about nature. For Study 1, connectedness to nature is increased after stimuli exposure in all experimental groups. In Study 2, likewise, the connectedness to nature increas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except for one group in which both nature depiction videos featuring virtual influencers and message interactions with virtual influencers were low-presence conditions. In contrast, the connectedness to nature i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not exposed to symbolic contact with nature,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To apply the need to belong to the within-group differences in connection to nature, it conducted paired-sample t-tests for the high and low groups. The connectedness to nature after symbolic contact was increased only in the high group of need to belong. In contrast, the increase in connectedness to nature for the low need to belong and the control group was insignificant. The between-group difference in connectedness to nature by the nature depiction of video and message interaction about nature was not significant in initial tests. That is to say, connectedness to nature after exposure to the experimental stimuli was similar across all groups in Study 1 and Study 2. When added the need to belong as an individual con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presence by depiction nature in video and the need to belong was significant in Study 1. When the need to belong was relatively low, the group exposed to high-presence nature videos reported higher levels of connectedness to nature. However, the low-presence and control groups also reported higher levels of connectedness to nature when the need to belong was relatively high. When considering the need to belong in the analyzing model for Study 2, the main effect of the need to belong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nature depiction videos featuring virtual influencers and message interactions with virtual influencers were significant. It indicates that the interaction effect of presence on nature depiction videos featuring virtual influencers and message interactions with virtual influencers is significant when considering the individual need to belong. These findings illustrate that the need for belonging operates as an exogenous variable, exerting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the connectedness to nature and the achieved presence through symbolic contact with nature. Study 3 found that exposure to nature videos and message interactions about nature affected environmental beliefs and environmentalism by increasing connectedness to nature. Connectedness to nature has been shown to reduce anthropocentrism and increase ecocentrism in environmental beliefs. Furthermore, results have shown that connectedness to nature increases environmentalism, which prioritizes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when there is a conflict between econom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study also ruled out the possibil ty of experimental group bias, which means the effects of connectedness to nature were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hether the stimuli were nature or nature with the virtual influencer. The implication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of environmental communication were discussed.

more

초록

환경 커뮤니케이션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용적 측면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자연 혹은 자연환경의 재현에 주목하는 구성적 측면으로 구분된다. 자연 혹은 자연환 경과 관련된 커뮤니케이션은 인간-자연 간의 관계 인식과 자연을 향한 인간의 태도, 신념, 행동 등을 매개하기 때문에,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자연과의 접촉과 그에 따른 효과 역시 환경 커뮤니케이션 관점으로 논의해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커뮤니케이션이 인간-자연 간의 관계 인식과 자연을 향한 인간의 태도 및 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해보고자 했다. 특히 자연과의 상징적 접촉, 프레즌스, 자연과의 유대감을 적용하여,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자연의 묘사 혹은 표현인 상징적 접촉이 매개되지 않은 환경에서 자연을 바라보거나 자연에 관하여 대화를 나누는 것 같은 프레즌스로 이어지고, 자연과의 상징적 접촉을 통해 발생한 프레즌스가 인간-자연 간의 관계 인식과 관련되어있는 자연과의 유대감을 증가시킬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자연과의 유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과의 상징적 접 촉은 자연을 묘사한 동영상과 자연에 관한 메시지 상호작용에 주목하였다. 또한 해당 논의 를 가상 인플루언서로 확장하여, 가상 인플루언서가 등장하는 자연을 묘사한 동영상과 자 연에 관한 메시지 상호작용 역시 자연과의 유대감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자연을 묘사한 동영상과 자연에 관한 메시지 상호작용이 자연과의 유대감에 미치는 영향이 개인의 특성에 따라 변화할 가능성을 함께 논의해보고자 했다. 자연과의 유 대감은 인간-자연 간의 친밀한 관계 혹은 연결을 향한 믿음이며, 자연에 관계적 지위를 부 여하고 인간의 협력 관계에 포함하는 인본주의 가치와도 관련이 있다. 따라서 관계 가치 단서에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들에게 자연과의 상징적 접촉의 영향도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 을 살펴보고자 했다.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환경을 탐색하는 데 필요한 수용 혹 은 거부와 관련된 단서를 민감하게 감지하고 처리하는 경향인 어울림의 필요(the need to belong)에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자연의 묘사 혹은 표현인 상징적 접촉에 노출된 이후 변화한 자연과의 유대감이 자연을 향한 개인의 신념이자 태도 인 환경신념(인간중심주의, 생태중심주의)과 환경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자연 혹은 자연환경과 관련된 커뮤니케이션이 인간-자연 간의 관계 인 식에 영향을 미치고,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변화한 인간-자연 간의 관계 인식이 자연을 향 한 인간의 태도나 신념로 이어질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밝혀보고자 했다. 연구가설 및 연구 문제 분석을 위해, 총 3개의 연구를 설계하고 각 연구에 적용할 공통 의 실험 자극과 절차를 설정하였다. [연구 1]은 자연을 묘사한 동영상과 자연에 관한 메시 지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었으며, [연구 2]는 가상 인플루언서가 등장하는 자연을 묘사한 동 영상과 가상 인플루언서와의 메시지 상호작용이 자연과의 유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 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3]에서는 [연구 1]과 [연구 2]를 통해 변화한 자연과의 유대감이 환 경신념(인간중심주의, 생태중심주의)과 환경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2023년 11월 전문조사업체 패널 대상 온라인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온라인 실험에는 만 20세 이상 59세 이하 전국 거주 성인 450명이 참여하였다. 실험 참여자들은 [연구 1] 2 (Depiction–Nature: Presence high vs. low) x 2 (Message interaction–Nature: Presence high vs. low), [연구 1] 2 (Depiction–Nature+VI: Presence high vs. low) x 2 (Message interaction–Nature+VI: Presence high vs. low), 통제집단으로 구분된 총 9개 집단에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분석 결과, 이 연구에서 시각적 출력 특성 중심으로 조작한 자연을 묘사한 동영상과 자 연에 관한 메시지 상호작용은 자연과의 유대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1]은 모든 실험 집단의 자연과의 유대감이 증가하였고, [연구 2]의 경우 가상 인플루언서가 등장 하는 자연 묘사 동영상과 가상 인플루언서와의 메시지 상호작용 모두 프레즌스가 낮은 조 건인 집단을 제외한 모든 실험 집단의 자연과의 유대감이 증가하였다. 반면, 자연과의 상징 적 접촉에 노출되지 않은 통제집단의 자연과의 유대감 변화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자연과 의 유대감의 집단 내 차이에 어울림의 필요를 적용하기 위해, 고·저집단으로 구분한 집단별 대응표본 T-검정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자연과의 상징적 접촉 이후 자연과의 유대감이 증가하는 경향은 어울림의 필요 고집단에서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어울림의 필 요 저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연과의 유대감 변화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초 분석에서 자연을 묘사한 동영상과 메시지 상호작용에 의한 자연과의 유대감의 집단 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실험 자극 노출 이후의 자연과의 유대감은 [연구 1]과 [연구 2]의 모든 집단에서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개인적 특성인 어울림의 필요를 추가하였을 때, [연구 1]에서는 자연을 묘사한 동영상의 프레즌스와 어울림의 필요 간 상호 작용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어울림의 필요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을 때는 높은 프레즌스의 자연 묘사 동영상에 노출된 집단의 자연과의 유대감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어울림의 필요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을 때는 실험 집단의 자연과의 유대감이 프레즌스 조 건과 무관하게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 2]에서는 어울림의 필요의 주효과, 그리고 가상 인플루언서가 등장하는 자연 묘사 동영상과 가상 인플루언서와의 메시지 상호 작용 간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즉, 가상 인플루언서가 등장하는 자연 묘사 동영상 과 가상 인플루언서와의 메시지 상호작용의 프레즌스에 의한 상호작용효과는 어울림의 필 요라는 개인적 특성을 고려할 때 유의미하고, 어울림의 필요는 실험 자극을 향한 프레즌스 와 자연과의 유대감에 정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외생변인으로 작동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3] 분석 결과, 자연 묘사 동영상과 자연에 관한 메시지 상호작용에 노출된 이후 변 화한 자연과의 유대감은 환경신념과 환경주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자연과의 유대감은 환경신념 가운데 인간중심주의를 감소시키고 생태중심주의를 높이며, 경제 개발 과 환경 보호가 충돌하는 상황에서 환경 보호를 우선시하는 환경주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 자극 노출 이후 변화한 자연과의 유대감을 투입하였을 때 유의미하였으며, [연구 1]과 [연구 2] 실험 집단의 편향 가능성 역시 기각되었다. 각 연구의 소결과 종합 결론을 토대로, 환경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1
제2절 연구목적 및 내용 7
제2장 이론적 배경 9
제1절 환경 커뮤니케이션과 자연과의 상징적 접촉 9
1. 환경 커뮤니케이션 9
2. 자연과의 상징적 접촉 16
제2절 자연을 묘사한 동영상 혹은 메시지 상호작용 형태의 상징적 접촉과 자연과의 유대감 21
1. 자연과의 상징적 접촉이 자연과의 유대감에 미치는 영향 21
2. 자연과의 상징적 접촉에 의한 프레즌스(presence) 28
3. 자연을 묘사한 동영상 혹은 메시지 상호작용 형태의 상징적 접촉 36
4. 가상 인플루언서가 등장하는 상징적 접촉에 따른 자연과의 유대감 45
제3절 어울림의 필요(the need to belong)에 따른 자연과의 유대감 변화 51
제4절 자연과의 유대감이 환경신념과 환경주의에 미치는 영향 60
제3장 연구 및 실험설계 66
제1절 연구설계 66
제2절 실험 자극과 절차 69
1. 실험 자극의 형식 69
2. 실험 절차 72
제4장 연구방법 및 결과 74
제1절 [연구 1] 자연을 묘사한 동영상과 메시지 상호작용 74
1. 실험설계 74
2. 실험 자극 74
3. 실험 참여자와 실험 절차 81
4. 측정 문항 82
5. 연구결과 86
6. 소결 95
제2절 [연구 2] 가상 인플루언서가 등장하는 동영상과 메시지 상호작용 99
1. 실험설계 99
2. 실험 자극 99
3. 실험 참여자와 실험 절차 105
4. 측정 문항 105
5. 연구결과 107
6. 소결 118
제3절 [연구 3] 상징적 접촉 이후 변화한 자연과의 유대감의 효과 123
1. 조사설계 및 참여자 123
2. 측정 문항 123
3. 연구결과 126
4. 소결 130
제5장 결론 132
제1절 주요 결과 요약 및 종합논의 132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한계 143
참고문헌 15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