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자살시도 환자의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이 자살사고 및 반복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 :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Transdiagnostic Internalizing Disorder Factor on Suicidal Ideation and History of Suicide Attempt in patients who attempted suicid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Hyperactivity-Impulsivity

초록

본 연구는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과 자살사고 및 반복 자살시도 간의 관계에서 과잉행동-충동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018 년 1 월부터 2022 년 12 월까지 자살을 시도하여 순천향대학교 부천 병원 응급센터에 입원한 699 명의 환자의 평가기록을 분석한 후향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PHQ-9, BAI, ASRS, SSI 척도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은 PHQ-9 과 BAI 척도의 2차 요인분석을 통해 모델링 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와 Mplus 7.0 의 구조 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 수준이 증가할수록 자살사고가 증가하였으며, 과잉행동-충동성 역시 자살사고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과 과잉행동-충동성의 상호작용은 자살사고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구체적으로, 과잉행동-충동성이 낮은 경우에는 내재화 장애 수준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과잉행동-충동성이 높은 경우에는 내재화 장애 요인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과잉행동-충동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과잉행동-충동성은 반복 자살시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반면, 내재화 장애 요인 및 내재화 장애 요인과 과잉행동-충동성의 상호작용은 반복 자살시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살 고위험 환자를 선별하기 위해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을 평가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여러 기분 및 불안장애에 대한 범진단적 취약성(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과 과잉행동-충동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자살 예방을 위한 하나의 치료적 방향임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hyperactivity-impuls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diagnostic internalizing disorder factor and suicidal ideation, as well as repeated suicide attempt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assessment records of 699 patients admitted to the emergency center of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for suicide attempts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22.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HQ-9, BAI, ASRS, SSI scales, and the transdiagnostic internalizing disorder factor was modeled through second-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PHQ-9 and BAI scal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PSS and Mplus 7.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level of transdiagnostic internalizing disorder factor increased, so did suicidal ideation, and hyperactivity-impulsivity was found to positively predict suicidal ideation. The interaction between hyperactivity-impulsivity and internalizing disorder factors significantly predicted suicidal ideation. In particular, the effect of internalizing disorder factor on suicidal ide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hyperactivity-impulsivity was low. Second, hyperactivity-impulsiv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peated suicide attempts. However, the internalizing disorder factor and their interaction with hyperactivity-impulsiv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peated suicide attempt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transdiagnostic internalizing disorder factor beyond individual internalizing disorders in high-risk suicide patients. Additionally, considering transdiagnostic internalizing disorder factor and hyperactivity-impulsivity together may serve as an important clinical target for suicide prevention. Finally, the study discusses i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more

목차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Ⅱ. 이론적 배경 5
1. 자살사고 6
2. 반복 자살시도 7
3.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 8
1) 내재화 장애 및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 8
2) 개별 내재화 장애와 자살과의 관계 10
3)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와 자살 11
4.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과 자살사고 및 반복 자살시도 간의 관계에서 과잉행동-충동성의 조절효과 13
Ⅲ. 연구 문제 및 가설 18
Ⅳ. 연구 방법 및 절차 19
1. 참가자 19
2. 측정도구 21
1) 자살사고: 자살사고 척도 SSI 21
2) 반복 자살시도: 과거 자살시도 유무 21
3)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 22
(1) 우울 척도 PHQ-9 22
(2) 불안 척도 BAI 22
(3)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 23
(4) 과잉행동-충동성 척도 ASRS-SF 24
3. 분석방법 25
Ⅴ. 연구결과 27
1. 기초 통계 분석 27
1) 기초 통계 27
2) 결측치 분석과 문항 묶음을 통한 자살사고 잠재변인 구성 28
3)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 모델링 30
2. 구조방정식 모형 측정 33
1) 모형1 -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과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과잉행동-충동성의 조절효과 33
(1) 측정 모형 분석 33
(2) 구조 모형 분석 37
2) 모형2 -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과 반복 자살시도의 관계에서 과잉행동-충동성의 조절효과 43
(1) 측정 모형 분석 43
(2) 구조 모형 분석 45
Ⅵ. 논의 및 결론 50
1.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과잉행동-충동성의 조절효과 50
1)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과 자살사고의 관계 50
2) 과잉행동-충동성과 자살사고의 관계 54
3)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의 자살사고에 대한 예측에서 과잉행동-충동성의 조절효과 58
2.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과 반복 자살시도 간의 관계에서 과잉행동-충동성의 조절효과 62
1)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과 반복 자살시도의 관계 62
2) 과잉행동-충동성과 반복 자살시도의 관계 64
3) 초진단적 내재화 장애 요인의 반복 자살시도에 대한 예측에서 과잉행동-충동성의 조절효과 67
3. 임상적 시사점 68
4. 한계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72
참고문헌 7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