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적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b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mong Early Adults
- 주제어 (키워드) 정서적 자기효능감 , 대인관계 문제 , 거부민감성 , 정서표현 양가성 , 초기 성인기;emotional self-efficacy , interpersonal problems , rejection sensitivity ,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 early adult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지향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7177
- UCI I804:11029-00000007717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20대에서 30대 사이의 남녀를 대상으로 정서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으로 정서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문제 사이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강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를 받아[승인번호 SGUIRB-A-2311-46]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2023년 11월 7일부터 13일까지 약 5일에 걸쳐 총 283명의 연구참여자로부터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3.5 및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문제는 직접적인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정서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은 단일매개효과로 유의했던 반면, 정서표현 양가성은 단일매개효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는 유의했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more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sequentially mediated by rejection sensit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mong early adults in ages 20s and 30s in Korea. For this purpose, with a IRB approval by Sogang University [#SGUIRB-A-2311-46],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a total of 283 participants from November 7 to 13, 2023,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rograms of SPSS 3.5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self-efficacy was not direct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rejection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found to be a single-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wherea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dual-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rejection sensit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clin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more목차
Ⅰ. 서론 1
Ⅱ . 이론적 배경 7
1. 정서적 자기효능감 7
(1) 자기효능감 7
(2) 정서적 자기효능감 8
2. 대인관계 문제 10
(1) 대인관계 10
(2) 대인관계 문제 11
(2) 정서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문제 15
3. 거부민감성 17
(1) 거부민감성 17
(2)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 문제 19
(3) 정서적 자기효능감과 거부민감성 20
4. 정서표현 양가성 22
(1) 정서표현 양가성 22
(2) 정서적 자기효능감과 정서표현 양가성 25
(3)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 26
(4) 정서표현 양가성과 대인관계 문제 27
Ⅲ. 연구방법 30
1. 연구문제 및 가설 30
2. 연구모형 32
3.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절차 33
4. 측정도구 35
(1) 정서적 자기효능감 척도 35
(2) 대인관계 문제 원형 척도 36
(3) 거부민감성 38
(4) 정서표현 양가성 39
5. 분석 방법 41
Ⅳ. 연구 결과 42
1. 사전 분석 42
(1) 인구통계학적 특성 42
(2) 대인관계 수준 및 주관적 만족도 48
2.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 및 상관분석 56
3. 매개효과 분석 59
(1) 정서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문제 사이에서의 순차적 매개효과 분석 59
(2) 정서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문제 하위영역 간 순차적 매개효과 분석 64
Ⅴ. 논의 및 제언 77
1. 결과 및 논의 77
2. 연구의 의의 및 임상적 함의 82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84
참고문헌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