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시대 청소년 대상 PBL 기반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비판적 이해 역량과 참여 역량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PBL-based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cusing on Critical Understanding Competency and Participatory Competency
- 주제어 (키워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 문제중심학습 (PBL) , 청소년 , 비판적 이해 , 사회적 소통 , 창의적 생산 , 디지털 시민성 , 참여 문화; Media literacy education , Problem-Based Learning (PBL) , adolescents , critical understanding , social communication , creative production , digital citizenship , participatory cultur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조재희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7166
- UCI I804:11029-00000007716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디어 환경이 크게 변화함에 따라 시대에 부합하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재개념화 및 교육 형태에 대한 심층적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PBL) 기반의 청소년 대상 사회문제 토론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청소년이 미디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시민성을 발현하는지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토대로 문제중심학습(PBL)이 미디어 리터러시 배양을 위한 적절한 교육방법인지 그 경험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 대상 ‘PBL 기반의 사회문제 토론 중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미디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시민성이 발현되는지 검증하고자 참여관찰과 심층 인터뷰, 수업 결과물, 사전ㆍ사후 미디어 리터러시를 분석하는데 질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서울특별시교육청 노원평생학습관의 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개설ㆍ모집공고를 하여 서울지역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학년 7명과 중학교 2학년 1명, 총 8명을 대상으로 주 1회 2시간씩 4회(8차시) 온라인 줌 (ZOOM)을 통한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참여관찰과 심층인터뷰, 수업 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PBL 기반의 미디어교육은 비판적 이해, 사회적 소통, 창의적 생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사전ㆍ사후 미디어 리터러시 각 하위 역량 지수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에 따른 디지털 시민성에 대해 인지적, 태도적, 행동적 영역을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창의적 생산 영역에서 리터러시 제작 교육을 접목하여 민주적이고 숙의적인 시민성 발현이 가능하였으며, 인공지능 숏폼과 카드뉴스 콘텐츠를 제작 및 비교ㆍ분석함으로써 미디어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할 줄 아는 비판적 리터러시를 구현하였다. 결론적으로 PBL 기반의 미디어교육은 비판적 이해, 사회적 소통, 창의적 생산이 상호작용하여 디지털 시민성 발현의 토대를 마련하고, 참여 문화를 형성하는데 적합한 교육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인공지능 시대 청소년 대상 PBL 기반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이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되기 위하여 교육 여건 및 교육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more초록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edia environment has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Consequently, there is an ongoing and in-depth discussion about redefining media literacy in a way that aligns with the current era and exploring new forms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ign a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focusing on discussions about social issues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PBL). The goal is to explore whether adolescents express media literacy and digital citizenship. Using this as a foundation, the study aims to provide experiential evidence regarding whether PBL is a suitable educational approach for fostering media literacy. This research designed a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centered around discussions on social issues and based on PBL. To verify the manifestation of media literacy and digital citizenship, the study employ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alysis of class outcomes, and pre-and post-media literacy assessments.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opened and advertised the recruitment for adolescents media literacy program at the Nowon Lifelong Learning Center. This program was designed for a total of 8 participants, including first-grade students (7 individuals) and second-grade student(1 individuals) of the middle school. It consisted of four sessions(8 hours), held once a week, each lasting 2 hours, and conducted as online Zoom classes. The analysis of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class outcomes revealed that the PBL-based media educ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critical understanding, social communication, and creative production. Additionally,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each sub-competency index of pre-and post-media literacy assessments. The analysis of cognitive, attitudinal, and behavioral aspects of digital citizenship related to media literacy showed significant effects. Particularly noteworthy was the incorporation of a critical literacy creation education in the creative production domain, enabling the express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Furthermore, through the creation and comparison/analysis of content on short-form content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card news, students demonstrated a critical literacy, understanding, and effective utilization of media.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PBL-based media education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the expression of digital citizenship and is suitable for shaping a culture of participation. This is achiev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critical understanding, social communication, and creative production. Additionally, this research anticipates ongoing studies on educational conditions and methods for the application of PBL-based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more목차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제 2 절 논문의 구성 8
제 2 장 이론적 논의 9
제 1 절 미디어 환경의 변화 9
1. 인공지능 챗 GPT의 등장과 미래 핵심 역량 9
2. 인공지능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청소년 미디어 문화 15
제 2 절 미디어 리터러시의 이해 20
1.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목표 20
2. 미디어 리터러시의 구성요소 23
3.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연구동향과 교육형태의 한계점 26
제 3 절 인공지능 시대의 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32
1. 참여문화와 AI 리터러시 32
2. 미디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시민성 38
3.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42
1) 문제중심학습(PBL)의 의의와 필요성 42
2) 문제중심학습(PBL)의 원리와 효과 47
3) 문제중심학습(PBL)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49
제 3 장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51
제 1 절 연구문제 51
제 2 절 연구방법 52
1. 연구 참여자 구성 52
2. 연구과정 53
3.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54
제 3 절 PBL 기반의 사회문제 토론 중심 미디어교육 설계 57
1. 수업 설계의 원칙 57
2. 비판적 사고를 위한 핵심원리 61
제 4 장 연구결과 64
제 1 절 PBL 기반의 미디어교육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 64
1. 비판적 이해 역량 64
2. 사회적 소통 역량 72
3. 창의적 생산 역량 75
4. 미디어 리터러시 사전 사후 비교 측정 81
제 2 절 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한 시민성 발현 88
1. 인지적 영역 89
2. 태도적 영역 91
3. 행동적 영역 93
제 5 장 결론 97
제 1 절 요약 및 시사점 97
제 2 절 논의 및 제언 100
참고문헌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