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용서, 자기비난과 분노억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초록

용서, 자기비난과 분노억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본 연구는 용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자기비난과 분노억제의 역할을 탐색하여 대인 간 상처를 입은 개인의 심리내적 과정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국내 만 20~30대 개신교 신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SPSS 27.0와 Process Macro 4.2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변인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사건이 아직도 지속되고 있다고 보고한 집단이 그렇지 않다고 보고한 집단보다 자기비난이 높았다. 또한, 상처 준 사람에 따라서 용서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문제가 있기 전 가해자와 가깝지 않았던 사람이 가해자와 가까웠거나 정말 가까웠던 사람보다 용서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가 자신에게 전혀 심각하지 않았거나 심각하지 않았다고 보고한 사람이 심각했거나 정말 심각했다고 보고한 사람보다 용서가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전혀 심하게 상처받지 않았다고 보고한 사람이 심하게 상처받거나 정말 심하게 상처받았다고 보고한 사람보다 용서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심하게 상처받지 않았다고 보고한 사람이 심하게 상처 받았다고 보고한 사람과 정말 심하게 상처 받았다고 보고한 사람보다 용서가 유의하게 높았고, 심하게 상처받았다고 보고한 사람이 정말 심하게 상처받았다고 보고한 사람보다 용서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용서는 우울과 부적 상관이 있었고, 자기비판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경험억제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자기비난은 분노억제 및 우울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기비판은 분노억제, 경험억제, 표출억제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우울과도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용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자기비 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용서가 자기비판을 거쳐 우울로 가는 직, 간접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용서가 높아질수록 자기비판이 높아지고, 이는 우울을 상승시켰다. 본 연구는 개신교인의 용서와 자기비난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용서, 자기비난, 분노억제, 우울간의 관련성을 탐색하며, 상담 실제에서 적절한 개입을 도모한 것에 함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였고, 학문적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more

초록

The Influence of Forgiveness, Self-Criticism, and Anger Suppression on Depression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forgiveness on depression and investigate the roles of self-blame and anger suppression in this process, providing insights into the psychological processes of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woun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South Korean Protestant Christians aged 20-30,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7.0 and Process Macro 4.2. Differences testing among key variables based on demographic variables revealed that individuals reporting that the event is still ongoing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elf-criticism compared to those who reported that it is not ongoing.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orgiveness based on the person causing the harm. Individuals who were not close to the perpetrator before the issue occurre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forgiveness compared to those who were close or very close to the perpetrator. Individuals who reported that the issue was not serious or not at all seriou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forgiveness compared to those who perceived the issue as serious or very serious. Lastly, individuals who reported not being severely hur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forgiveness compared to those who reported being severely hurt or very severely hurt. Individuals who reported not being severely hur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forgiveness compared to those who reported being severely hurt or very severely hurt. Individuals who reported being severely hur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forgiveness compared to those who reported being very severely hurt. Individuals who reported not being severely hur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orgiveness than those who reported being severely hurt or very severely hurt.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forgiven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blame, a subscale of self-criticism. Additionally, self-blam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nger suppress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forgiveness and anger suppression, as well as anger suppression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subsequent analyses excluded anger suppression, self-attack, and self-reassurance. Then the study validated the impact of forgiveness on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self-blame in this process.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direct path from forgiveness to depression and a significant indirect path through self-blame; as forgiveness increased, self-criticism also increased, leading to an elevation in depression.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n enhancement of the understanding of forgiveness and self-criticism among Protestant Christians,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forgiveness, self-criticism, anger inhibition, and depression, and a facilitation of appropriate interventions in counseling practice. In the final discussion, the study’s results were deliberated upon, addressing academic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more

목차

I. 서론 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
II. 이론적 배경 11
1. 용서 11
2. 우울 14
2.1 우울의 개념 14
2.2 용서와 우울 19
3. 자기비난 22
3.1 자기비난의 개념 22
3.2 용서와 자기비난 26
3.3 자기비난과 우울 28
3.4 용서, 자기비난, 우울 29
4. 분노억제 30
4.1 분노억제의 개념 31
4.2 용서와 분노억제 33
4.3 분노억제와 우울 34
4.4 용서, 분노억제, 우울 36
III. 연구 모형 및 가설 37
IV. 연구방법 39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9
2. 측정도구 42
2.1 용서 척도 (Enright Forgiveness Inventory: EFI) 42
2.2 자기비난방식척도 (Form of Self-Criticism Scale : FSCRS) 43
2.3 분노 억제 척도 44
2.4 우울 척도 (Beck Depression Inventory II) 45
3. 자료처리 및 분석 46
V. 연구결과 47
3. 매개효과 검증 54
4. 연구 가설 검정 55
VI. 논의 및 결론 56
1. 결과 요약 및 논의 56
2. 한계점 및 제언 63
참고문헌 6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