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클로드 모네의 '수련 연못(The Lily Pond)'을 기반으로 한 몰입형 VR 작품 제작 : 인공지능을 활용한 빛과 색을 중심으로

Creating Immersive VR Artworks Based on Claude Monet's 'The Lily Pond': Focusing on Light and Color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초록

Claude Monet, an Impressionist painter, captured the beauty of light and color in his works, which continue to be widely loved. However, examining works and studies related to Monet reveals a deficiency in showcasing examples that focus on the essence of Impressionism in Monet's art—specifically, the interplay between light, color, and impression. Therefore, this research offers a fresh perspective on one of Monet's seminal pieces, 'The Water Lily Pond. Unlike Monet's other works, this series, set against the backdrop of the water lily pond and a Japanese-style bridge, does not explicitly convey elements like time, season, or weather in its title. Consequently, this study employs deep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yle transfer models to predict and incorporate the colors Monet might have envisioned for 'The Water Lily Pond' series under different lighting conditions, i.e., at different times. Moreover, these transformed artworks are recreated in Virtual Reality (VR). Specifically, to replicate Monet's perspective, an immersive VR device, HMD, is utilized, enabling viewers to experience 'The Water Lily Pond' through Monet's eyes. Audience immerse themselves in the artwork's space, exploring and experiencing it firsthand. Through this study, not only does it present a novel interpretation of the color palette for Monet's 'The Water Lily Pond,' but it also extends Monet's light and color-focused works into the realm of virtual reality, offering viewers a unique opportunity to engage with the masterpiece from a first-person perspective.

more

초록

클로드 모네는 인상주의 화가로 빛과 색의 아름다움을 담아낸 그의 작품은 아직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그러나 모네에 관한 작품 및 연구들을 살펴보면 모네 인상주의의 핵심인 빛에 따른 색과 인상을 중심으로 한 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네의 빛과 색에 주목하여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수련 연못(The Water Lily Pond)' 연작을 새롭게 다룬다. 수련 연못과 일본식 다리를 배경으로 하는 이 연작을 살펴보면 모네의 다른 연작들과 달리 제목에서 시간, 계절, 날씨 등의 정보를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네가 기존에 그린 작품들을 기반으로 딥러닝 인공지능 스타일 트랜스퍼(Style Transfer) 모델을 활용하여 원작과는 다른 빛의 조건을 가진, 즉 다른 시간대에 모네가 바라보았던 수련 연못(The Water Lily Pond) 연작의 색채를 예측하고 이를 작품에 활용한다. 더불어 색채가 변환된 작품을 가상현실(VR)로 제작한다. 특히 모네의 시각을 재현하기 위해 몰입형 가상현실 기기인 HMD를 활용하여 관람객이 모네의 눈으로 공간이 된 수련 연못(The Water Lily Pond)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관객은 일인칭으로 모네의 시각을 체험하고 작품의 공간 속으로 들어가 몰입하고 경험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모네의 수련 연못(The Water Lily Pond) 연작의 색채를 새롭게 예측하고 제시할 뿐만 아니라, 빛과 색을 중심으로 한 모네 작품을 가상현실로 확장하여 제작하고 작품을 일인칭으로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more

목차

제 1장 서론 10
1.1 연구 필요성 10
1.2 연구 방법 및 목적 10

제 2장 관련 연구 11
2.1 모네의 빛과 색 11
2.2 모네 전시 및 연구 사례 13

제 3장 가상현실 수련 연못(The Water Lily Pond) 19
3.1 시나리오 19
3.1.1 수련 연못 19
3.1.2 가상현실 25
3.2 빛과 색 연구 28
3.2.1 Prototype 1 - Stable Diffusion 31
3.2.2 Prototype 2 – Style Transfer 38
3.3 가상현실 디자인 및 개발 59
3.3.1 가상현실 제작 59
3.3.1.1 공간 디자인 59
3.3.1.2 텍스처 디자인 65
3.3.2 최종 작품 67

제 4장 평가 70
4.1 평가 기획 70
4.2 평가 진행 71
4.3 평가 결과 분석 72

제 5장 논의 및 결론 85
5.1 논의 85
5.2 결론 및 기대효과 88

참고 문헌 9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