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이 지각한 정서적 방임과 또래애착의 관계 :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Neglect perceived by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Peer Attachment: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Clarity
- 주제어 (키워드) 정서적 방임 , 또래애착 , 거부민감성 , 정서인식명확성; emotional neglect , peer attachment , rejection sensitivity , emotional clarit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한기백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7117
- UCI I804:11029-00000007711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고학년이 지각한 정서적 방임이 또래애착을 예측함에 있어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6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85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9.0과 PROCESS Macro 4.3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방임과 또래애착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정서적 방임과 또래애착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정서적 방임과 또래애착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 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초록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in the end, 385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they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PROCESS Macro 4.3.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neglect and peer attachment was significa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neglect and peer attachment was significant.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neglect and peer attachment was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more목차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7
1. 정서적 방임 7
1) 아동기 방임의 개념 7
2) 정서적 방임의 개념과 영향 9
2. 거부민감성 11
1) 거부민감성의 개념 11
2) 정서적 방임과 거부민감성의 관계 13
3. 정서인식명확성 14
1) 정서인식명확성의 개념 14
2) 정서적 방임과 정서인식명확성의 관계 16
3)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의 관계 17
4. 또래애착 18
1) 또래애착의 개념 18
2) 정서적 방임과 또래애착의 관계 20
3) 거부민감성과 또래애착의 관계 22
4) 정서인식명확성과 또래애착의 관계 24
5. 정서적 방임, 거부민감성, 정서인식명확성, 또래애착의 관계 25
1) 정서적 방임과 또래애착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 역할 25
2) 정서적 방임과 또래애착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 역할 27
3) 정서적 방임과 또래애착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의 순차적 매개 역할 28
III. 연구 문제 및 방법 30
1. 연구 문제 및 가설 30
2. 연구 모형 31
3. 연구 방법 32
1) 연구 대상 및 연구 절차 32
2) 측정 도구 33
(1) 정서적 방임 33
(2) 거부민감성 34
(3) 정서인식명확성 36
(4) 또래애착 37
4. 분석 방법 38
IV. 연구 결과 39
1. 인구통계학적 특성 39
2. 주요 연구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43
3. 매개효과 검증 44
V. 논의 및 제언 47
1. 결과 및 논의 47
2. 연구의 의의 및 교육 임상적 함의 50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3
참고문헌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