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교육 정책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문제인식, 제약인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대한 비교와 교육 혁신 성공을 위한 정책 PR 제안

Comparison of teachers' and parents' problem recognition, constraint recognition, and communication behavior regarding education policy and Policy PR proposal for success in educational innovation

초록

본 연구는 교육 정책에 대한 교육 혁신 성공을 위한 정책 PR을 위해 현재 정부에서 추진 중인 늘봄학교 정책, 유보통합 정책, 디지털교육전환 정책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 의 문제인식과 제약인식 차이를 사회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으로 나누어 그루닉의 상 황이론을 토대로 분석하고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상황이론은 PR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공중 유형 세분화와 커뮤니케이션 행동 예측 에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상황이론 관련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공중의 상황 인식을 구성하는 요인을 도출하여 교사와 학부모의 문제인식과 제약인식을 사회적차원과 개 인적 차원으로 나누어 상황 인식의 차이를 검증하는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 형에 근거하여 교육 정책별 가설을 설정하고 주요 변수를 조작적으로 정의하였고 이 를 토대로 측정 변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교사와 학부모의 신뢰하는 정보원과 이용하 는 정보원에 대해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교사와 학부모 대상으로 온라인 서 베이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계 수, t-검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에 비해 학부모는 온라인 미디어와 교육정책에 대한 비공식적 정보원 을 신뢰하고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관성 있는 정보보다는 정보의 왜곡, 정보 제공자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정보로 교육 정책의 본질이 흐려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 정책에 있어서 문제인식을 교사는 개인적 차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 며, 학부모는 사회적 차원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있었다. 제약인식에서는 교사가 학부 모보다 사회적 제약인식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교사가 교육 정책에 대한 부정 적인 인식이 형성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커뮤니케이션 행동인 정보처리와 정보추구에서는 교사가 직업적으로 교육 정책에 대한 정보를 많이 듣고 자료를 찾으 려고 노력하는 반면, 학부모는 정보 부족으로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낮을 가능성이 있었다. 교사와 학부모의 문제인식은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제약인 식은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 차원보다는 개인적 차 원인 문제인식과 제약인식이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영향을 미치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교육 혁신 성공을 위한 정책 PR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교육청이 교육 정책에 있어 교사와 학부모가 교육청 홈페이지를 적극 활용하고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쌍방향 홍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일관성 있는 정보와 투명한 정 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청과 학교, 학부모 간의 실시간 정보 공유 및 의 견 교환을 위한 메신저 앱이나 교육통합 플랫폼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와 학부모 간의 교육 정책에 대해 문제인식과 제약인식에 대한 차이를 줄이기 위해 각 정책이 필요한 배경과 공동 목적을 명확하게 전달하여 서로가 공동 목적을 이해하고 공감하여 협력과 의사소통을 강조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교사의 업무 환경 개선과 교사의 자율성을 존중하여 교사들의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개선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와 학부모의 정보처리와 정보추구 행동에서는 교사 가 교육 정책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접하고 찾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부모에게도 교육 정책에 관한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스마트 미디어를 활용하여 대상에 따 른 메시지 차별화가 필요하며, 지속적인 캠페인을 통해 교육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부정확한 정보 전달을 사전에 방지해야 할 것이다.

more

초록

In order to promote policy PR for the success of educational innovation in education poli c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teachers' and parents' problem recognition, con straint recognition the Neulbom School policy, kindergarten integration policy, and digital e ducation conversion policy currently being promoted by the government at the social and p ersonal level. The purpose was to divide it into dimensions, analyze it based on Grunig's situation theory, and examine its impact on communication behavior. In the field of PR communication, situation theory helps predict communication behavior and classify different forms of reliability analysis. The components of situational awareness of reliability analysis were determined by reviewing previous situational theory studies, and a research model was set up to verify the difference in situational awareness by dividing t eachers' and parents' problem recognition and constraint recognition into social and persona l dimensions. Based on the research model, hypotheses for each education policy were set, key variables were operationally defined, and measurement variables were derived based on that. In addition, a questionnaire was created about the information sources trusted and use d by teachers and parent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targeting teachers and parents, an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 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 he hypothe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parents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han teachers t o use and trust unofficial sources and online media for information regarding education pol icy. This shows that the essence of education policy can be obscured by distortion of info rmation rather than consistent information, and biased or incorrect information by the infor mation provider. In education policy, problem recognition was perceived by teachers as a p ersonal dimension, and parents were aware of the problem at a social level. In constraint r ecognition, teachers tended to have higher social constraint awareness than parents. This su ggests that teachers have a negative perception of education policy. In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information seeking, teachers listened to a lot of in formation about education policy and tried to find materials, while parents were likely to have a low understanding of the policy due to a lack of information. Problem recognition by teachers and par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beha vior, and constraint recogni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communication behavior. Moreove r, problem recognition and constraint recognition, which are personal dimensions rather tha n social dimensions, influenced communication behavior. The following are the policy PR proposal for innovative education success, which were d eveloped by combining the research findings. First, in terms of the education policy, the O ffice of Education should provide consistent and transparent information by allowing teache rs and parents to actively use the Office of Education website and establish an interactive promotional system using smart devices. Additionally, a messenger app or integrated educat ion platform will need to be established for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and exchange of opinions between the Office of Education, schools, and parents. Second, to reduce differen ces in problem recognition and constraint recognition regarding education policy between te achers and parents, the background and common purpose of each policy must be communi cated. In addition, a strategy that emphasizes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by understand ing and empathizing with each other's common purpose will be needed. Moreover, policy i mprovemen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eachers' work environment and respect teachers' autonomy to impro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Third, alth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teachers and parents showed that teachers accessed an d sought more information about education policy,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messages according to target audience by using smart media so that parents can easily access inform ation about education policy.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proactively prevent the dissemi nation of false information and to enhance comprehension of the education policy through ongoing initiatives.

more

목차

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4
2장 문헌 고찰 5
제1절 교육 정책과 공중 관계 5
제2절 교육 정책 홍보와 공중의 상황 인식의 중요성 6
제3절 상황이론 8
(1) 문제인식 9
(2) 제약인식 9
(3) 정책 인식의 사회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 13
(4) 정책 수용자의 커뮤니케이션 행동 15
가) 정보처리 행동 15
나) 정보추구 행동 15
제4절 상황 인식별 정보처리와 정보추구 16
제5절 상황 인식과 커뮤니케이션 행동 관계 19
제6절 연구 모형 및 가설 22
3장 연구 방법 25
제1절 변인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25
(1) 독립변인 : 문제인식과 제약인식 25
(2) 종속변인 : 커뮤니케이션 행동 27
제2절 연구 대상 및 조사 절차 28
제3절 자료 분석 방법 30
4장 분석 결과 31
제1절 변인별 신뢰도와 기술통계 31
제2절 상관관계 분석 32
제3절 교사와 학부모의 정보원과 정책 인지도 34
제4절 가설 검증 37
(1) 정책별 교사와 학부모의 문제인식 차이 37
(2) 정책별 교사와 학부모의 제약인식 차이 39
(3) 정책별 교사와 학부모의 커뮤니케이션 행동 차이 41
(4) 정책별 문제인식과 제약인식이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대한 영향 43
가) 늘봄학교 정책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대한 영향 43
나) 유보통합 정책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대한 영향 46
다) 디지털교육전환 정책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대한 영향 48
5장 결론 50
제1절 결과 요약 50
제2절 논의 및 제안 54
제3절 연구의 시사점 57
제4절 연구의 한계 및 연구 방향 59
참고문헌 6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