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이주배경청소년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멘토의 경험 연구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 Mentors in a Mentoring Program for Migrant Background Youths

초록

본 연구는 이주배경청소년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멘토가 겪은 경험과 그 의미를 질적 연구를 통해 탐색하고자 한다. 멘토가 겪은 경험을 분석하여 향후 이주배경청소년 멘토링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은 S시에서 진행한 이주배경청소년 멘토링에 참여한 대학생 멘토 6명이다. 연구에 사용한 자료는 멘토 인터뷰, 멘토가 매 회기 작성한 활동보고서와 멘토링 종료 후 작성한 참여소감문이다. 수집된 자료는 에믹코딩을 사용해 기본 코딩과 범주화를 진행했고, 이후 구조코딩을 사용해 핵심 주제어와 핵심 범주를 찾아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배경청소년 멘토링의 멘토들은 시작 단계에서 다양한 참여 동기와 멘토로서의 고민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멘토들은 자신의 영향력과 멘토의 역할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이주배경청소년 멘토링의 멘토들은 멘티들과의 관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멘토링 초기 단계에서 멘티와의 라포 형성을 위해 자신이 맡은 멘티의 특성과 성격, 관심사 등을 먼저 파악한 후 다가가는 모습을 보였다. 멘토링 과정에서 어려움이 발생해도 자신만의 방법을 준비하고 시도하며 해결하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이는 멘토들이 자신의 역할과 자세를 인지하고 행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이주배경청소년 멘토링의 멘토들은 자신이 가진 선입견을 되돌아보고 멘티와의 추억을 회상하며 자신이 갖고 있던 생각을 재정의하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멘토링 과정에서 자신이 인지하지도 못한 편견을 발견하였고 이후 그들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이주배경청소년 멘토링의 멘토들이 발전과 개선을 위해 제안한 사항들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멘토들은 멘티의 관심사를 반영한 활동과 멘티 사전교육 진행을 제안하였다. 추가로 멘토링 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방식 개선 및 멘토의 행정업무 간소화를 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이주배경청소년 멘토링에 참여한 멘토들이 겪은 경험과 그 의미를 파악해 경험 모형과 내실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이주배경청소년 멘토링을 시작하는 멘토들에게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멘토링 프로그램 설계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university student mentors who participated in a mentoring program for migrant youths. By analyzing the mentors' experiences, this study aims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future mentoring programs for migrant youth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six university student mentors who participated in a mentoring program for migrant youths at a large scale city. The data used in the study are mentor interviews, activity reports written by mentors every session, and participant reflections written after the mentoring program ended. Collected data were first coded and categorized using emic coding, and then structural coding was used to identify key themes and catego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ntors of migrant youths had various motivations for participation and concerns as mentors at the beginning. In particular, mentors were concerned about their influence and the burden of being a mentor. Second, mentors in the program made efforts to build relationships with their mentees. In the early stages of mentoring, they tri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personality, and interests of their mentees before approaching them to form a rapport with them. Even when difficulties arised during the mentoring process, they prepared, tried, and resolved them in their own ways. This shows that mentors are aware of their roles and attitudes and act accordingly. Third, mentors redefined their preconceived notions by reflecting on their own preconceptions and recalling memories with their mentees. During the mentoring process, they uncovered biases they were not aware of and subsequently came to understand and accept them. Fourth,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suggestions made by mentors in mentoring migrant youths for development and improvement. Mentors suggested activities that reflect the interests of mentees and pre-training for mentees. In addition, they suggested improving communication with mentoring stakeholders and simplifying administrative tasks for mentors. Through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mentors mentoring migrant youths and recommended an experience model and a plan for intern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mentors who start mentoring migrant youths and as a basis for designing mentoring programs.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Ⅱ. 이론적 배경 4
1. 이주배경청소년의 개념 및 특성 4
가. 이주배경청소년의 개념 4
나. 이주배경청소년의 현황 7
다. 이주배경청소년의 특성 8
2. 멘토링의 개념 및 기능 10
가. 멘토링의 개념 및 유형 10
나. 멘토링의 인적 구성 13
다. 멘토링의 기능 15
라. 멘토의 역할 18
3. 이주배경청소년과 멘토링 20
가. 이주배경청소년 멘토링의 개념 20
나. 이주배경청소년 멘토링의 기능 22
다. 이주배경청소년 멘토링의 현황 23
Ⅲ. 연구방법 26
1. 멘토링 프로그램의 개요 26
2. 연구 참여자 28
3. 자료 수집 방법 29
4. 자료 분석 방법 31
5. 연구의 엄격성과 연구 윤리 33
Ⅳ. 연구결과 36
1. 멘토링 시작 단계 36
가. 다양한 참여동기 36
나. 멘토로서의 고민과 걱정 39
2. 관계 구축 단계 42
가. 멘티와의 라포 형성을 위한 노력 42
나. 멘티의 태도로 인한 고충 45
다.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 47
3. 경험을 통한 재정의 단계 50
가. 성찰을 통한 인식 변화 50
나. 멘토로서 필요한 역량과 태도를 인지 53
다. 멘티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개인적 성장 56
라. 멘토링에 대한 소감과 감사 표현 60
4. 발전을 위한 제안 단계 62
가. 이주배경청소년 멘토링을 위한 제안 62
5. 멘토의 경험 모형 69
Ⅴ. 논의 및 결론 72
1. 논의 및 시사점 72
2. 제언 및 제한점 74
참고문헌 7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