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Bot Chatting : 챗봇 이용 동기와 다중 상호작용이 신뢰감, 친밀감, 과부하, 인지된 즐거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Multi-Bot Chatting: The effect of Chatbot usage motivation and multi-interaction system on trust, intimacy, overload, perceived enjoyment, and intention to use
- 주제어 (키워드) 챗봇 , 대화형 에이전트 , 다중 상호작용 , 신뢰감 , 친밀감 , 과부하 , 인지된 즐거움 , 사용의도; Chatbot , conversational agent , multi-interaction , polyadic interaction , trust , intimacy , overload , perceived enjoyment , intention to us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메타버스전문대학원
- 지도교수 김수연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메타버스전문대학원 메타버스비즈니스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7077
- UCI I804:11029-00000007707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본 연구는 총 세 대의 챗봇과 사용자가 교류하는 다중 상호작용 환경에서의 이용자 경험이 단일 챗봇을 사용하는 이중 상호작용과 비교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당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집단 간 요인 설계 2(상호작용 유형: 이중 상호작용 vs. 다중 상호작용) x 2(챗봇 이용 동기: 정보검색 및 습득 vs. 재미(즐거움))로 실험을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사용자의 이용 동기에 따라 챗봇에 대한 신뢰도, 친밀감, 인지된 즐거움, 과부하, 사용 의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실험은 총 3일의 기간에 걸쳐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미국 거주자 중 20대 남녀 24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챗봇 상호작용 유형의 주 효과에서는 신뢰도, 친밀감, 과부하 요인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단일 챗봇을 이용하는 이중 상호작용에서는 신뢰도가 더 높게, 다중 챗봇 시스템에서는 친밀도와 과부하가 더 높게 확인되었다. 챗봇 이용 동기의 주 효과에서는 신뢰도, 친밀감, 사용의도 요인이 유의미했으며 세 변인 모두 정보 검색 및 습득의 동기에서 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챗봇 상호작용 유형과 이용 동기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에는 신뢰도, 인지된 즐거움, 과부하에 대해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신뢰도의 경우 정보검색 및 습득의 동기와 다중 챗봇 시스템이 함께 적용되었을 때 오히려 수치가 감소하는 반면에 재미(즐거움)의 동기에서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인지된 즐거움은 상호작용 효과에서만 검출이 되었으며 특히 재미(즐거움)의 시나리오에서 다중 챗봇 시스템을 사용할 때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대신 정보검색 및 습득의 시나리오에서 다중 챗봇을 사용했을 때에는 반대로 그 수준이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과부하는 두 동기에서 모두 챗봇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그 수준이 증가하였다. 다만, 정보검색 및 습득의 동기에서의 과부하 수준의 상승의 폭이 훨씬 가파르게 측정되었다. 한 가지 주의 깊게 살필 것은, 인지된 즐거움의 수준이 재미(즐거움)의 동기에서 여러 챗봇과 상호작용할 때 그 평균치가 더 높게 측정된 사실이다. 이는 앞으로 새로운 챗봇의 개발 혹은 대화형 에이전트 관련 사업 구상에 있어 만약 그 용도가 엔터테인먼트 혹은 게임에 주력되는 경우라면 다수의 챗봇과 한 명의 유저가 상호작용하는 환경이 더 유의미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는데 있어 의미를 지닌다.
more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variance in user experiences between a multi-interaction setting involving engagement with three chatbots and a dual-interaction scenario using a single chatbot. Employing a between-subjects experimental design, the study utilized a 2 (interaction type: dual vs. multi) x 2 (chatbot usage motivation: information retrieval vs. entertainment/enjoyment) factorial design, resulting in four independent groups. With a sample size of 240 adults, the research investigated potential disparities in users' levels of trust, intimacy, perceived enjoyment, overload, and intention to use the chatbots based on their usage motivations. Over a span of three days, the experiment targeted 240 male and female English-speaking individuals in their twenties. The primary effects of chatbot interaction types showed significant findings in trust, intimacy, and overload factors. In single-chatbot interactions, trustworthiness was notably heightened, while multi-chatbot systems saw increased emphasis on intimacy and overload. Regarding the primary drivers for using chatbots, trust, intimacy, and intention to use emerged as significant factors. These factors garnered positive evaluations, particularly in contexts related to information retrieval and acquisition motivations. Upon examining the interplay between chatbot interaction types and user motivations, significant insights surfaced regarding the three variables: trust, perceived enjoyment, and overload. Regarding trust, a decrease in ratings was evident in instances where multiple chatbot systems were employed for information retrieval and acquisition motivation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otivations related to enjoyment. Perceived enjoyment was exclusively discernible within the context of interaction effects, particularly drawing a positive trend when multiple chatbot systems were engaged in scenarios associated with entertainment. Conversely, employing multiple chatbots in scenarios focused on information retrieval and acquisition showed a decline in perceived enjoyment levels. Moreover, overload increased with an escalation in the number of chatbots in both user motivations, with a steeper rise observed in overload levels within the information retrieval and acquisition scenario. Moreover, it was evident that perceived enjoyment had a more favorable impact on interactions involving multiple chatbots within the motivation associated with entertainment. This suggests that environments where multiple chatbots interact with one user could hold greater significance, particularly in instances focused on entertainment or gaming, a meaningful insight for the development of new chatbots or ventures involving conversational agents.
more목차
제 1 장 서론 1
제 2 장 이론적 고찰 4
제 1절 대화형 에이전트와 챗봇 상호작용 유형 4
1. 대화형 에이전트 4
2. 이중 상호작용 6
3. 다중 상호작용 8
제 2절 이용과 충족 이론과 챗봇 이용 동기 12
1. 이용과 충족 이론 12
2. 정보 검색 및 습득 동기 15
3. 재미(즐거움) 동기 17
제 3절 신뢰도, 친밀감, 인지된 즐거움, 과부하와 사용의도 18
1. 신뢰도 18
2. 친밀감 20
3. 인지된 즐거움 22
4. 과부하 23
5. 사용의도 25
제 3 장 연구 문제 27
제 4 장 연구 방법 29
제 1절 연구 설계 29
1. 시나리오 설계 29
2. 실험 처치물의 선정 30
3. 사전 조사 33
4. 연구 대상 36
5. 본 조사 37
제 2절 측정 도구 38
1. 문항 구성 38
제 5 장 연구 결과 41
제 1절 응답자의 특성 41
제 2절 조작적 점검과 신뢰도 45
1. 실험처치물의 조작적 점검 45
2. 종속변인의 신뢰도 검증 46
제 3절 연구문제의 검증 47
1. 챗봇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종속변인 수준의 차이 47
2. 챗봇 이용 동기에 따른 종속변인 수준의 차이 48
3. 챗봇 상호작용 유형과 이용 동기에 따른 종속변인 수준의 차이 52
제 6 장 결론 57
제 1절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57
제 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제언 62
참고문헌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