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칸트의 상상력에 대하여 : 칸트 미학과 인식론의 연관을 중심으로

Kant on Imagination: Concerning the Connection between Kant's Aesthetics and Epistemology

초록

본 논문은 칸트 미학에서의 상상력이 인식론에서의 상상력과 연속적이라는 점을 밝히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데카르트에서부터 바움가르텐까지 아름다움은 감각의 영역이었고, 감각적 표상은 상상력의 작용으로부터 생겨난다고 여겨졌다. 이러한 전통 아래 있는 칸트도 아름다움을 감각적인 것의 영역, 곧 상상력의 효과에서 찾았다. 그런데 칸트의 상상력 개념이 특히 중요한 이유는 그가 아름다움을 대상의 성질에서 찾지 않고 주관 내의 마음 상태, 즉 지성과 상상력의 유희에서 찾았으며 이 중 상상력은 인식의 두 원천인 지성과 감성을 매개하는 능력으로 제시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칸트의 상상력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어렵다. 칸트는 상상력에 수많은 기능을 할당하고 있을뿐더러, 특히 그의 미학에 등장하는 상상력은 새로운 기능을 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지금까지 칸트의 상상력 이론은 대부분 각 비판서에서 개별적으로 다뤄졌으며, 칸트 미학에서의 상상력은 인식론에서의 상상력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해석되어 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칸트의 상상력 개념을 총체적으로 이해해 보려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먼저 칸트의 상상력 개념을 정리한다. Ⅱ장에서는 전비판기 칸트의 상상력에 관한 생각을 바움가르텐의 『형이상학』을 기초로 한 칸트의 메모와 강의록에서 확인하고, 『순수이성비판』 초판의 상상력을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칸트가 성숙기에 개진한 그의 독자적인 상상력 개념을 『순수이성비판』(재판), 『판단력비판』,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을 통해 도표화 하여 규명한다. Ⅳ장에서는 칸트 미학에서의 상상력, 즉 『판단력비판』 1부 <미감적 판단력 비판>에 나타나는 상상력의 ‘자유로움’과 ‘창조성’을 연구하고, 『순수이성비판』의 도식-도상의 구도를 『판단력비판』에 적용해 본다. 그리고 칸트 미학에서 주요한 개념이지만 잘 다뤄지지 않았던 ‘미감적 이념’ 또한 도식론과의 관련 속에서 분석한다. 이후 Ⅴ장에서는 상상력과 지성의 부합에 의해 생겨나는 인식판단과 취미판단 간의 남아 있는 차이를 탐구한다. 마지막으로 Ⅵ장에서는 Ⅱ~Ⅴ장까지 지성과의 관계에서 고찰되었던 상상력을 이성과의 관계에서 살펴보며, 『판단력비판』에 등장하는 숭고에서의 상상력을 다룬다.

more

초록

This paper aims to highlight the continuity between imagination in Kantian aesthetics and epistemology. From Descartes to Baumgarten, beauty was considered within the realm of sensation, and sensory representation was thought to arise from the activity of imagination. Kant, following this tradition, also located beauty in the domain of the sensation, that is in the effects of imagination. What makes Kant's concept of imagination particularly significant is that he found beauty not in the properties of the object but in the subjective states of the mind, namely the play of understanding and imagination. Moreover, Kant argues that the imagination is the faculty mediating between the two sources of cognition, understanding and sensibility. However, to comprehend Kant's concept of imagination is challenging because he attributes numerous functions to imagination, and especially in his aesthetics, imagination seems to perform new functions. As a result, Kant's theory of imagination has been mostly treated individually in each ‘critiques’, and his imagination in aesthetics has been studied with a focus on the differences from imagination in epistemology. With this background, this paper aim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Kant's concept of imagination. To achieve this, the paper first organizes Kant's concept of imagination. In Chapter II, I examine Kant's early thoughts on imagination in his notes and lectures, based on Baumgarten's Metaphysics, and investigates the imagination in the first edition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In Chapter III, I clarify Kant's distinctive concept of the imagination matured in his later years through the analysis of his works such as the second edition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the Critique of Judgment, and the Anthropology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Chapter IV explores the imagination in Kantian aesthetics, particularly the 'freedom' and 'creativity' of imagination which appears in the first section of the Critique of Judgment, 'Critique of Aesthetic Judgment', and applies the structure of the schema-image (Schema-Bild) from his epistemology to his aesthetics. Additionally, it analyzes the concept of 'aesthetic ideas,' a significant but often overlooked concept in Kant's aesthetics, within the framework of schematism. Subsequently, in Chapter V, I investigate the remaining differences between cognitive judgments and judgments of taste, which both arise from the harmony between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Finally, Chapter VI examines the role of imagination in relation to reason, exploring the sublime in the Critique of Judgment.

more

목차

Ⅰ. 서론 1
Ⅱ. 칸트의 상상력; 예비적 작업 5
1. 비판기 이전의 상상력 6
2. 전비판기에서 비판기로 11
Ⅲ. 칸트 상상력의 통합적 이해 21
Ⅳ. 칸트 미학에서의 상상력 43
1. 상상력의 자유 도식론과의 연관 43
1.1. 상상력의 도식화 - 인식판단에서 도식; 순수이성비판 45
1.2. 상상력의 자유 - '개념 없이' 도식화; 판단력비판 50
2. 상상력의 창조와 미감적 이념 60
3. 도식과 미감적 이념 63
Ⅴ. 취미판단과 인식판단에서 상상력 70
1. 인식판단에서 상상력 74
2. 취미판단에서 상상력 76
Ⅵ. 숭고에서 상상력 82
1. 수학적 숭고에서 상상력 83
2. 역학적 숭고에서 상상력 88
3. 지성과 관계하는 상상력과 이성과 관계하는 상상력의 동이성 89
Ⅶ. 결론 93
참고문헌 9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