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aving more than stories : Colonial Historical Narratives in South Korea and Perceptions of Japan
이야기이상의 짜임새 : 한국의 식민지 역사서사와 일본의 인식
- 주제어 (키워드) South Korea , Japan , historical narratives , museums , history , collective memor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 지도교수 Kim Hannah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국제대학원 East Asian Studies (including Korean Studies)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7013
- UCI I804:11029-000000077013
- 본문언어 영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From diplomatic squabbles to trade agreements, historical issues, and unsolved territorial disputes, the relations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 have been characterized by numerous tensions and the need to create cooperative links in the East Asian region. This puzzled relation has been tackled from different angles, in which the role of history and identities has been in the main areas of discussion, yet very few have sought to engage in the areas of reproduction of identities, stories, and memories.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historical narratives, along with South Korean national identities, in shaping contemporary views of Japan. This paper contains a mixed-methods approach, including museum analysis, an original survey, and a social experiment to observe how these narratives influence public perceptions of Japan and the impact of history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two main narratives in the exhibits of the national museums, such as Korean resilience, liberalization movements, and democratization. The museums, for the most part, seek to use history educ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a tool to remember the woes and avoid them in the future, while at the same time promoting pride through the stories of those who opposed the colonial regime. The survey and experiment revealed influences in the perception of history and others, particularly when the subjects were confronted with positive perspectives of historical events, which showed a decreased favorability towards Japan when such narratives challenged the existing collective memory of the colonial era. This suggests that the existing collective memory of the colonial era is deeply ingrained in people's perceptions of history and others.
more초록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협력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대한민국과 일본의 관계는 다양한 갈등으로 간주한다. 두 나라 사이에 무역 협정이 많지만 몇몇 역사적인 문제 그리고 국토 분쟁을 여전히 미해결되기 때문에 외교적인 갈등이 계속 된다. 이러한 복잡한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으며 주로 역사와 정체성의 역할에 집중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체성, 그리고 딸려 있는 이야기와 기억은 어떻게 재현하느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 연구는 역사적인 서술과 대한민국 국가 정체성이 최근 일본에 대한 인식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다. 본 연구는 혼합 연구 방법을 사용했으며 특히 박물관 분석, 설문조사, 그리고 간단한 사회 실험으로 이러한 서술은 일본에 대한 대중의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국립 역사 교육은 어떤 결과가 나타는지 관찰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한민국 정부가 국립 박물관 전시물로 한국의 회복력, 자유화 운동 및 민주화를 강조하는 두 가지 서술을 정착하는 데로 나타났다. 대부분 박물관은 일본 식민 지배 시대의 역사 교육을 통해 과거의 고난을 기억시키고 이러한 고난을 앞으로 방지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며 식민 지배에 반대한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민족에 대한 자긍심을 일깨우기도 한다. 설문조사 및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특히 응답자들에게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이나 식민 지배 시대의 집합기억과 다른 서술이 보일 때는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식민 지배 시대의 집합기억은 역사에 대한 인식에 깊게 뿌리내려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more목차
Chapter 1. Introduction 6
1.2 Historical background 7
1.3 Research questions 9
1.4 Contemporary relevance 10
1.5 Predictors for the research question 11
Chapter 2. Theoretical framework 14
2.1 Literature review 14
2.1.1 The puzzle of South Korean-Japanese relations 14
2.1.2 National identity building and history 19
2.2 History and memory 22
2. 2.1 Museums, nation-states, and national identity 26
2.3 Dynamic memory approach and socio-cultural theory 28
Chapter 3. Research design 33
3.1 Variables 33
3.1.1 Hypothesis 34
3.2 Theoretical frame 34
3.3 Data collection methods 36
3.3.1 Content analysis of museums 36
3.3.2 Surveys 38
3.3.3. Experiment of contradicting narratives 39
Chapter 4. Results and analysis 41
4.1 National museums and their stories 41
4.2 The role of the government in history teaching 48
4.3 Survey results 52
4.3.1 Main descriptive results 52
4.3.1.2 National identity in South Korea 52
4.3.1.3 Trust in government and history teaching 54
4.3.1.4 View of Japan among the South Korean participants 55
4.4 Experiment results: Favorability of Japan 55
4.4.1 Acceptability and dominant historical narratives 57
4.4.2 Perceptions of accuracy and sufficiency of information 57
4.5 Regression results 58
Chapter 5. Conclusions 60
5.2 Limitations of the research 62
5.3 Contributions 63
5.4 Future research 64
Bibliography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