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시장에서 제3자 배정 유상증자의 목적 별 주가 반응과 강세장 및 약세장에서의 비교 분석
The Effects of Announcements on Market Conditions and the Purpose of Seasoned Equity Offerings: An Event Study Approach
- 주제어 (키워드) 코스닥 , 유상증자 , 자금조달 , 이벤트 스터디 , 제3자 배정 , 주가 반응; KOSDAQ , Seasoned Equity Offering , Fundraising , Event Study , Third-Party Allotment , Stock Price Reac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도성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7010
- UCI I804:11029-00000007701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ird-party allotment seasoned equity offerings (SEOs) in the KOSDAQ market, based on their purposes and varying market conditions. Focusing on 1,174 SEO cases of KOSDAQ-listed companies from January 2015 to December 2022, the goal is to empirically explore the differences in stock price reac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EOs. By applying event study methodology, the study calculates average abnormal returns (AAR) and cumulative average abnormal returns (CAAR) around the announcement dates and differentiates market conditions based on a 200-day moving average to compare price volatility. The analysis of the SEO data used i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abnormal returns around the announcement date were 1.177% in bull markets and 0.771% in bear markets, clearly indicating different reactions depending on market conditions. When examining the excess returns by purpose, SEOs aimed at raising funds for facilities and operations showed positive AARs, indicating that the announcement day coincides with the highest stock price increase. The stock price reactions in bull markets were more positive, while in bear markets, significant positive reactions were sporadically observed only on the announcement day. This study confirms that SEOs trigger different stock price reactions depending on market conditions, suggesting that capital raising in bull markets is advantageous for companies, while a more cautious approach is required in bear markets.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e SEOs also emerged 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stock price reactions. These findings can help investors understand the impact of SEO announcements on stock prices and utilize this information in their investment strategies.
more초록
이벤트 스터디를 이용한 시장 상황 및 유상증자 목적 별 공시 효과 본 연구는 코스닥 시장에서 시행된 제3자 배정 방식 유상증자의 목적이 시장 상 황 별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2015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들의 1,174건 유상증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상증자의 목적에 따른 주가 반응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벤트 스터디 방법론을 적용 하여 공시일 주변의 평균초과수익률과 누적평균초과수익률을 산출하고, 200일 이동 평균선을 기반으로 시장 상황을 구분하여 주가 변동성을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상증자 데이터 분석 결과, 공시일 주변에서의 초과수익률 은 강세장에서 평균 1.177%, 약세장에서 평균 0.771%로 나타나, 시장 상황에 따른 반응의 차이가 명확히 드러났다. 목적 별 초과수익률을 살펴보면, 시설자금과 운영자 금조달 목적 증자에서 긍정적 AAR을 기록하며, 이는 공시 당일이 주가 상승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시점임을 보여준다. 강세장에서의 주가 반응은 더욱 긍정적이었으며, 약세장에는 공시일 당일에만 유의한 긍정적 반응이 간헐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상증자가 시장 상황에 따라 다른 주가 반응을 유발한다는 것을 확인 함으로써, 강세장에서의 자본 조달이 기업에 유리하고, 약세장에서는 더 신중한 접근 이 요구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유상증자의 목적이 주가 반응에 미치는 영향도 중요한 요소로 드러났다. 이러한 발견을 통해 투자자는 유상증자 공시가 주가에 미치 는 영향을 인지하고,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데 이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more목차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효율적 시장 가설 3
2. 정보 비대칭성 4
Ⅲ. 선행연구 및 가설 설정 6
Ⅳ. 표본 구성 및 방법론 10
1. 표본 선정 및 데이터 수집 10
2. 시장 상황 및 목적 분류 11
3. 연구방법론 15
3.1. 이벤트 스터디 방법론 15
3.2. 평균초과수익률과 누적평균초과수익률 15
Ⅴ. 실증분석 17
1. 시장 상황에 따른 유상증자 공시의 영향 17
2. 시장 상황과 자금조달 목적에 따른 유상증자 공시의 영향 20
3. 사전∙사후기간 차이 검정 27
Ⅵ. 추가분석 30
1. 제 3 자 배정 유상증자에서의 사전기간 내부자거래 가능성 30
Ⅶ. 요약 및 결론 33
참고문헌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