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의 플랫폼 창의 노동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창의 노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f the Experiences of Teenagers with the Platform Creative Labor : Focusing on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Creative Labor
- 주제어 (키워드) 청소년 , 창의 노동 , 플랫폼 노동 , 무임 노동 , 플랫폼 콘텐츠 생산자 , 유튜브 크리에이터; teenager , creative labor , platform labor , Free labor , platform content producers , YouTube creator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조재희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광고홍보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6991
- UCI I804:11029-00000007699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많은 청소년들이 쉽게 플랫폼 창의 노동 시장에 진입하고 있음에도 이들의 활동은 대개 취미나 오락 활동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청소년들의 콘텐츠 생산 활동을 '플랫폼 창의 노동'으로 바라보는 시각에서 출발하며, 이들의 활동을 디지털 창의 노동, 무임⋅자유노동(Free labor), 동기, 자아존중감 등 다양한 관점에서 탐색하여 청소년 플랫폼 콘텐츠 생산자들을 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청소년들의 콘텐츠 생산자들의 노동 환경 및 실태를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생산 동기는 무엇인지, 또 청소년들이 콘텐츠 생산자로서 생산 활동을 어떻게 인식하며, 어떤 태도로 임하는지에 대해 탐색적으로 알아보고 플랫폼 창의 노동이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청소년들의 창의 노동 경험과 과정에서 느끼는 감정, 태도 등을 심도 있게 포착하고자 일대일 심층 인터뷰 방식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미디어 플랫폼에서의 콘텐츠 생산 활동이 노동으로 정의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콘텐츠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게는 일주일이 걸리며, 빈도 또한 주 단위의 규칙적인 생산량을 지키며 직업적 크리에이터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본인 채널만의 정체성과 콘셉트를 구현하고 시청자 유입을 위한 전략을 세우는 과정에서 창의성을 발휘하고 있었다. 또한 콘텐츠 생산 및 구독자와의 약속을 지키고자 하는 책임감이 발현되고, 자기 스스로 노동의 형태를 만들고 관리하는 자기통제적인 모습과 구독자와의 소통 노동을 하는 창의 노동의 특성을 발견하였다. 연구 문제를 통해 알아본 바와 같이 청소년 플랫폼 생산자들에게서도 창의 노동의 자율성, 창의성, 유연성과 같은 좋은 특성과 부담감, 불안감과 같은 나쁜 특성이 동시에 발현되고 있는 것을 확인했으며, 청소년 콘텐츠 생산자들도 직업적 콘텐츠 생산자들과 비슷한 노동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에, 청소년들이 올바르게 미디어를 이용, 생산할 수 있도록 교육 방안을 찾고 연소근로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데 본 연구가 단서가 되길 바란다.
more초록
In today's digital media world, many teenagers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platform creative labor market, but their activities are often viewed as hobbies or entertainment. This study starts from the perspective of youth content production activities as "platform creative labor". It aims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youth platform content producers by exploring their activitie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cluding digital creative labor, free labor, motivation, and self-esteem. This study explores the working environment and actual conditions of youth content producers, examines their motivations for production, how they perceive their production activities as content producers, and their attitudes, and analyzes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platform creative labor on youth.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in-depth, one-on-one interviews to capture teens' feelings and attitudes about their creative work experiences and proce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content creation activities on media platforms hav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defined as labor. The time spent on content production, which can take up to a week, and the frequency of uploads, a regular weekly output, are comparable to those of professional creators. Creators also use their creativity to create an identity and concept for their channel and to develop strategies to attract viewers.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work were found to be self-controlled,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produce content and keep promises to subscribers, self-directed, with the ability to shape and manage their own work, and communicative work with subscribers. As the research questions suggest, the good characteristics of creative labor, such as autonomy, creativity, and flexibility, and the bad characteristics, such as pressure and anxiety, are simultaneously manifested in adolescent platform producer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adolescent content producers engage in work processes similar to those of professional content producers. Therefore, this study is likely to provide clues for finding training programs for adolescents to properly use and produce media, and for establishing mechanisms to protect young workers.
more목차
제 1 장 서론 11
1. 연구 배경 11
2.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5
3. 연구의 구성 17
제 2 장 이론적 배경 19
1. 플랫폼과 플랫폼 노동 19
1) 플랫폼의 개념 19
2) 플랫폼 노동의 종류 20
3) 유튜브와 콘텐츠 생산자들 24
4) Z세대 콘텐츠 제작의 특징 26
2. 플랫폼 창의 노동의 특성 27
1) 디지털 창의 노동 27
2) 무임노동 및 자유노동 (Free Labor) 29
3) 노동의 일상성 (노동과 놀이) 32
4) 디지털 창의 노동의 동기 34
3. 연구 문제 37
제 3 장 연구 방법 38
1. 질적 연구 <심층 인터뷰> 38
2. 연구 절차 39
1) 연구 대상 및 참여자 선정 39
2) 연구 참여자 특성 42
3) 연구데이터 수집 44
4) 자료 분석 및 해석 45
제 4 장 연구 결과 47
1. 청소년 플랫폼 콘텐츠 생산자들의 노동 환경 및 실태 47
1) 작업 환경 49
2) 청소년들의 플랫폼 운영 특성 49
3) 노동시간 및 생산 현황 52
4) 보호자의 역할 56
2. 청소년 플랫폼 콘텐츠 생산자들의 노동 동기 58
3. 청소년들이 플랫폼 창의 노동에 임하는 태도와 인식 62
1) 콘텐츠 생산성과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 62
2) 책임감과 자기통제의 발현 70
3) 구독자와의 관계 형성 및 소통 74
4) 청소년들의 노동과 놀이의 차이에 대한 인식 78
4. 플랫폼 창의 노동이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 84
1) 긍정적 영향과 보상 요인 85
2) 부정적 경험 및 스트레스 요인 92
제 5 장 결론 및 제언 104
1. 연구 결과 요약 104
2. 연구의 함의 109
3.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12
<참고문헌>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