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가상 인플루언서의 감정표현이 수용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Virtual Influencers' Emotional Expressions on User: Focused on Instagram Influencer

초록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have become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media in daily life, and the emergence of Social Media Influencers has been notable. With the normalization of remote interaction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Virtual Influencers are expanding their activity areas, resembling those of real-world Influencer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s, a novel form of information source, and their communication effects. This experimental research investigates the impact of Influencer Types (Human Influencer vs. Virtual Influencer)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Emotional Expression in Influencers (Emotional Expression vs. No Emotional Expression) on users' emotions (positive vs. negative), social presence, and mimicry motivation. Two types of Influencer (Human and Virtual) and two types of Influencer Emotional Expression (with emotional expression and without emotional expression) were created for the experiment. Content was delivered through Instagram, and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on emotions, social presence, and mimicry motivation after viewing the Influencers' conten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both Influencer Type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Emotional Expression significantly influenced users' emotions, social presence, and mimicry motivation. Influencers expressing emotions generated higher levels of positive emotions, social presence, and mimicry motivation compared to those without emotional expression. Human Influencers elicited higher levels of positive emotions, social presence, and mimicry motivation than Virtual Influencer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Influencers' content strategies and enhancing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more

초록

사회관계망서비스(SNS)는 일상 속에서 가장 자주 이용하는 매체 중 하나가 되었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등장으로 인플루언서 유형이 등장하였다. 비대면의 일상화, 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해 가상 인플루언서가 실제 인플루언서와 같은 활동 영역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정보원으로 활용되고 있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과 그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인플루언서 유형(인간 인플루언서 vs. 가상인간 인플루언서)과 인플루언서의 감정표현 유무(감정표현 유 vs. 감정표현 무)가 수용자들의 감정(긍정적 vs. 부정적), 사회적 현존감, 모방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 연구이다. 이를 위해 인플루언서 유형 2종류 × 인플루언서의 감정표현 유무 2종류의 실험물을 제작하고, 인스타그램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실험 참여자들은 인플루언서의 콘텐츠를 보고, 감정, 사회적 현존감, 모방욕구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플루언서 유형과 감정표현 유무는 수용자들의 감정, 사회적 현존감, 모방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감정표현이 있는 인플루언서 유형이 감정표현이 없는 인플루언서 유형보다 더 높은 수준의 긍정적 감정, 사회적 현존감, 모방욕구를 유발하였다. 그리고 인간 인플루언서가 가상인간 인플루언서보다 더 높은 수준의 긍정적 감정, 사회적 현존감, 모방욕구를 유발하였다. 이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전략을 개선하고, 수용자들의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이는 데 이론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제2절 논문의 구성 6
제2장 문헌연구 8
제1절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서 인스타그램 8
제2절 인플루언서의 등장12
제3절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의 감정전이 23
제4절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사회적 현존감 26
제5절 인플루언서에 대한 모방욕구29
제3장 연구문제 및 모형 32
제1절 연구문제 및 모형 32
제4장 연구방법 35
제1절 연구설계 및 대상 35
제2절 주요 변인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39
제3절 분석방법42
제5장 연구결과 43
제1절 조사대상자의 특성43
제2절 연구문제 검증결과47
제6장 결론 및 논의 55
제1절 연구결과 요약 및 함의 55
제2절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 58
참고문헌 6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