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정치인의 유튜브 활동이 유권자의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정치인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olitician’s YouTube activities on voter’s political particip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quasi-social interaction and politician image

초록

본 연구는 정치인의 유튜브 메시지 속성(정책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행정 능력), 정보서비스 품질(적시성, 신뢰성, 유희성), 준사회적 상호작용(정서적 상호작용, 인지적 상호작용, 행위적 상호작용), 정치인 이미지(도덕성, 신뢰성, 리더십), 사회·정치적 참여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성인들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 자료 500부를 최종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설 검증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인의 유튜브 메시지 속성인 정책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행정능력은 모두 정치인과 유권자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치인의 유튜브 메시지 속성인 정책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행정능력은 모두 정치인 이미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인의 유튜브 메시지 속성인 정책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행정능력은 모두 유권자 사회·정치적 참여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치인의 유튜브 정보서비스 품질인 신뢰성, 유희성은 정치인과 유권자 간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정치인의 유튜브 정보서비스 품질인 신뢰성, 유희성은 정치인 이미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정치인의 유튜브 정보서비스 품질인 유희성만 유권자의 사회·정치적 참여 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정치인과 유권자 간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인 인지적 상호작용, 행위적 상호작용은 유권자의 사회·정치적 참여 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정치인 이미지인 도덕성, 신뢰성, 리더십 요인은 모두 유권자의 사회·정치적 참여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정치인의 유튜브 메시지 속성인 정책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행정 능력과 유권자의 사회·정치적 참여 의도 간의 관계에서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열째, 정치인의 유튜브 메시지 속성인 정책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행정 능력과 유권자의 사회·정치적 참여 의도 간의 관계에서 정치인 이미지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열한째, 정치인의 유튜브 정보서비스 품질인 적시성, 신뢰성, 유희성과 유권자의 사회·정치적 참여 의도 간의 관계에서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열두째, 정치인의 유튜브 정보서비스 품질인 적시성, 신뢰성, 유희성과 유권자의 사회·정치적 참여 의도 간의 관계에서 정치인 이미지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유튜브를 통한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정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re

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olitician's YouTube message attributes (policy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dministrative ability), YouTube information service quality (timeliness, reliability, entertainment), quasi-social interaction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interaction), politician image (morality, trustworthiness, leadership), and socio-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 For this purpose, valid survey data from 500 adults liv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were used for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The key findings from the hypothesis test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attributes of a politician's YouTube messages, such as policy cap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administrative ability, a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quasi-social interaction between politicians and voters. Secondly, the attributes of a politician's YouTube messages, including policy cap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administrative ability, all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 the image of the politician. Thirdly, the attributes of a politician's YouTube messages, namely policy cap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administrative ability,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voters'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s. Fourthly, the quality of a politician's YouTube information service, including reliability and entertainment,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s the quasi-social interaction between politicians and voters. Fifthly, the quality of a politician's YouTube information service, including reliability and entertainment,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s the image of the politician. Sixthly, only the entertainment aspect of a politician's YouTube information service quality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s the voters'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s. Seventhly, cognitive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in the quasi-social interaction between politicians and voters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 the voters'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s. Eighthly, the aspects of a politician's image, such as morality, trustworthiness, and leadership,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voters'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s. Ninthly, a mediating effect of quasi-social interact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politician's YouTube message attributes (policy cap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dministrative ability) and voters'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s. Tenthly, a mediating effect of the politician's image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politician's YouTube message attributes (policy cap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dministrative ability) and voters'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s. Eleventhly, a mediating effect of quasi-social interact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a politician's YouTube information service (timeliness, reliability, entertainment) and voters'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s. Twelfthly, a mediating effect of the politician's image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a politician's YouTube information service (timeliness, reliability, entertainment) and voters'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s. This study significantly elucidates the impact of political communication through YouTube, thereby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political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media era.

more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9
제2장 이론적 배경 11
제1절 유튜브 채널과 정치적 속성 11
1. 유튜브와 정치 커뮤니케이션 11
2. 유튜브의 정치적 역할 15
제2절 메시지 속성 19
1. 메시지 속성의 개념 및 구성 요인 19
2. 유튜브 메시지의 속성 및 구성 요인 23
1) 정책 능력 25
2) 커뮤니케이션 능력 26
3) 행정 능력 26
제3절 유튜브 정보서비스의 품질 27
1. 정보서비스 품질의 개념 27
2. 정보서비스 품질의 구성 요인 30
1) 적시성 32
2) 신뢰성 33
3) 유희성 34
제4절 준사회적 상호작용 35
1.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개념 35
2.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구성 요인 38
3.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선행 연구 41
제5절 정치인의 이미지 44
1. 정치인 이미지의 개념 44
2. 정치인 이미지의 구성 요인 48
제6절 사회·정치적 참여 의도 51
1. 사회·정치적 참여 의도의 개념 51
2. 사회·정치적 참여 의도의 영향 요인 56
1) 보상 이론(General incentive theory) 57
2) 인지 이론(Cognitive engagement theory) 59
3) 자원 이론(Resource theory) 60
4) 사회자본 이론(Social capital theory) 63
제3장 연구 방법 66
제1절 조사 대상 66
1. 조사 대상 및 방법 66
제2절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67
1. 연구모형 설계 67
2. 가설의 설정 68
제3절 측정 도구 및 변수의 조작적 정의 73
1. 정치인의 유튜브 메시지 속성 73
2. 유튜브 정보서비스 품질 75
3. 준사회적 상호작용 77
4. 정치인의 이미지 78
5. 사회·정치적 참여 의도 79
제4절 분석 방법 80
제4장 연구 결과 81
제1절 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81
제2절 측정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85
제3절 조사 대상자의 특성별 차이 검증 88
1. 정치인의 유튜브 메시지 속성 차이 88
2. 유튜브의 정보서비스 품질 차이 94
3.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차이 100
4. 정치인 이미지의 차이 106
5. 사회·정치적 참여 의도의 차이 112
제4절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114
제5절 측정모형의 검증 120
제6절 연구가설 검증 129
1. 가설 1의 검증 131
2. 가설 2의 검증 132
3. 가설 3의 검증 133
4. 가설 4의 검증 134
5. 가설 5의 검증 135
6. 가설 6의 검증 136
7. 가설 7의 검증 137
8. 가설 8의 검증 138
9. 가설 9의 검증 139
10. 가설 10의 검증 140
11. 가설 11의 검증 141
12. 가설 12의 검증 142
제5장 결론 및 논의 147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논의 147
제2절 시사점 및 제언 162
참고문헌 17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