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이용자의 마음 지각에 따른 의인화된 인공지능 직원 평가 : AI 직원의 시각화와 맥락 효과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Anthropomorphized Artificial Intelligence Employees Based on Users' Perception of Mind : Focusing on the Visualization and Contextual Effects of AI Employees

초록

This research investigated how interaction with AI workers affects perceived warmth, competence, and satisfaction. It considered mind perception and examined factors like visibility of AI, the context of its use, and users' predispositions of warmth, competence, and satisfaction, integrating mind perception into the analysis. It focused on the multi-dimensional factors of design, context, and user predisposition, such as AI visibility, social context (hiring interview vs. grievance counseling), and pre-existing preferences. The study, conducted online with 442 participants, used linear regression in R and Hayes' Process model for analysis. Key findings revealed that neither the social context nor the visibility of AI employees significantly impacted user evaluations, challenging hypotheses H1 and H2. Contrarily, hypothesis H3 was supported, showing that users with a favorable predisposition towards AI rated AI employees more positively. A notable finding was the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AI visibility and intention perception in low predisposition users, particularly in grievance counseling scenarios. This indicates that visible AI employees are perceived as more intentional and satisfactory, but this effect does not extend to job interview contexts or influence perceived competence. The study found that users' ability to discern intentions and cognition in AI employees positively affects their evaluations, aligning with hypotheses H7 and H8, but the impact of emotional perception was non-significant (H9). In summary, the study suggests that while AI visibility and social context don't significantly affect evaluations in a main effect sense, their interaction with user predisposition can influence perceptions of warmth and satisfaction in certain contexts. Th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user predisposition, especially among those with initially low favorability towards AI, in designing AI employees' visual and interaction strategies to enhance user experience and acceptance.

more

초록

본 연구는 인공지능(AI) 직원과의 상호작용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인지된 따뜻함, 유능함, 그리고 만족감에 미치는 다차원적 요인들의 영향을 조사했다. 연구는 AI의 시각화, 사회적 맥락(고충 상담 대비 채용 면접), 그리고 사용자의 사전 호감도 등이 사용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연구는 442명의 참가자가 참여한 온라인 실험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R 패키지를 사용한 선형회귀분석과 Hayes의 Process 모델(2013)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맥락이나 AI 직원의 시각화가 독립적으로 사용자의 인지된 따뜻함, 유능함, 또는 만족감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사용자의 사전 호감도는 AI 직원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보였다. 사전 호감도가 낮은 사용자의 경우, 고충 상담 상황에서 시각화된 AI 직원에 대한 인지된 따뜻함과 만족감 평가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각화된 AI가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채용 면접 상황에서 시각화된 AI 직원의 영향은 경계선상의 유의성을 보여, 상황에 따라 AI 직원의 평가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AI 직원의 인지된 유능함에 대한 평가와 관련하여 사회적 맥락, 시각화, 사전 호감도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AI 직원의 유능함에 대한 인식이 이들 변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음을 의미한다. 사전 호감도가 낮을 때 시각화된 AI 직원에 대한 의도지각이 더 높게 관찰되었으며, 이는 사용자가 AI 직원의 행동 뒤에 있는 의도를 이해하고 그 행동이 합리적이라고 인지할 때, AI와의 상호작용에서 더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용자의 AI 직원에 대한 인지된 따뜻함, 유능함, 만족감 평가가 사전 호감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특정 상황에서 시각화된 AI 직원이 더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AI 직원의 시각적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 설계 시, 사전 호감도가 낮은 사용자들을 특별히 고려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more

목차

제 1장 서론 7
제 2장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12
제 1절 직장 내 AI의 진화와 영향 12
제 2절 인공지능의 시각화에 따른 이용자의 반응 16
1. 시각화의 개념 16
2. 의인화가 인간-인공지능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18
3. 의인화가 인지된 따뜻함과 유능함에 미치는 영향 23
4. 의인화가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25
제 3절 직장에서의 사회적 맥락 효과 27
1. 사회적 맥락에서의 AI 역할 이해 27
2. AI 채용 면접 30
3. AI 고충 상담 32
4. 마음지각 34
5. 인지된 따뜻함과 유능함 36
6. 만족감 37
제 4절 사전 호감도 39
1. AI 수용의 이해: 사전 호감도와 이론적 모델의 역할 39
2. 사전 호감도의 영향력: 마음인식 40
3. 사전 호감도의 영향력: 인지된 따뜻함과 유능함 43
4. 사전 호감도의 영향력: 만족감 45
제 5절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 47
제 3장 연구설계 51
제 1절 연구 설계 및 실험 참여자 51
제 2절 실험 절차 및 자극물 52
제 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문항 54
1. 시각화 여부(Visualization) 54
2. 사회적 맥락(Social Context) 54
3. 사전 호감도 55
4. 마음 지각(Mind attribution) 56
5. 인지된 따뜻함과 인지된 유능함 57
6. 만족도(Satisfaction) 58
제 4장 분석 결과 59
제 1절 분석 방법과 실험참여자 특성 59
1. 분석 방법 59
2. 표본의 기초통계량 분석 61
제 2절 신뢰도 분석 64
제 3절 연구문제의 검증 65
1. 실험 집단 간 평균 및 표준 편차 65
2. 가설 검증 67
2-a 세 개의 요인이 마음지각에 미치는 영향 67
2-b 세 개의 요인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 73
2-c 마음 지각이 종속 변수에 미치는 영향 80
3. 조절효과 모형 효과 검증 82
제 5장 결론 및 논의 101
제 1 절 연구 결과의 요약 및 논의 101
제 2 절 한계점 및 후속 연구 제안 108
참고문헌 11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