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빌리빌리(bilibili) 탄막(弹幕) 동영상 플랫폼 참여행위가 중국 Z세대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articipation Behavior in Bilibili Bullet Screen Video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ina's Generation Z

초록

전통 미디어 시대에 사람들은 주로 텔레비전 및 기타 채널을 통해 일방적으로 정보를 얻는다. web2.0 시대에 들어서면서 정보가 퍼지면서 '시청자'에서 ' 이용자'로 신분 전환이 이뤄졌다. 다양한 매체, 특히 소셜 미디어는 중국 청소 년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사람들의 인식과 행동에 잠식적인 영향 을 미치고 있다. 참여 문화의 맥락에서 최근 몇 년 동안 이용자의 참여행위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했다. 소셜 미디어의 주요 이용자인 중국의 Z세대 그룹 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참여행위도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 빌리빌리 탄막 동영상 플랫폼은 중국 최대 청소년 네트워크 서브컬처 커뮤 니티로서 참여 문화의 개념을 다양한 측면에서 구현한다. 이용자는 플랫폼에 서 관심 있는 동영상을 검색하고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이용자와 댓글과 탄막을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고, 스스로 동영상을 제작하여 업로드할 수도 있다. 현재까지 학자들의 참여행위에 대한 연구는 주로 틱톡과 같은 짧은 동 영상 플랫폼에 집중되어 있으며 빌리빌리 플랫폼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다. 또한참여행위에 대한 관련 연구는 주로 다양한 유형의 이용자 참여 행위 및 성능에 중점을 둔고 참여 행위와 이용자 간의 관계와 영향에 대한 연 구는 부족하다. 최근 몇 년 동안 미디어의 사용과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연구가 계속 증가 함에 따라 짧은 비디오 미디어의 사용이 노인 등 특정 그룹의 주관적 안녕감 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현재 인터넷 매체 사용이 청소년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상황에서 빌리빌리 플 랫폼 사용이 중국 Z세대 집단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는 것 은 뉴미디어 시대 중국 젊은 집단의 정신 건강 상태에 주목하는 핵심 주제이 다. 따라서 빌리빌리 동영상 플랫폼에서 중국 Z세대 집단의 참여행위와 주관 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연구하고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Z세대 이용자의 빌리빌리 플랫폼에서의 다양한 참 여행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Z세대 이용자의 경험 과 정신 건강에 관심을 기울이고 빌리빌리 플랫폼의 기능을 촉진하고 개선하 는 것이다. 문헌 고찰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브라우징, 상호 작용 및 창작의 세 가지 참여 행위를 독립 변수 측정 요소로 사용한다. 삶의 만족도, 긍정 정 서, 부정 정서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주관적 안녕감을 종속변수 측정 요소로 사용하여 연구 설계를 수행했다. 다양한 유형의 참여행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각각 논의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Z세대 이용자를 대 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339명의 유효한 응답을 수집하였다. 가설을 검 증한 결과, 연구에 따르면 빌리빌리 플랫폼의 다양한 참여행위는 중국 Z세대 이용자의 주관적 안녕감에 다양한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단한 동영상 시청 및 검색과 같은 브라우징 행위는 삶의 만족도와 긍정 정서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영상에 댓글을 다는 등 다른 이용자와 상호작용 하는 행위는 삶의 만족도와 긍정 정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동영상을 제작 등 콘텐츠 생성 행위는 부정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more

초록

In the era of traditional media, individuals primarily obtained information unilaterally through television and other channels. Upon entering the web2.0 era,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facilitated the transformation of identity from "audience" to "user." Various media, particularly social media, have become integral to the lives of Chinese teenagers, subtly influencing people's cognition and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cipatory culture, attention to users' participatory behavior has gradually increased in recent years. As the primary users of social media, China's Generation Z group's participation behavior on different platforms also impacts subjective happiness. Bilibili, as China's largest youth-oriented subculture community on the internet, embodies the concept of participatory culture in various aspects. Users on this platform can not only search and watch videos of their interest but also interact with other users through comments and bullet comments, and even create and upload their own videos. Currently, Chinese scholars' research on participation behavior mainly focuses on short video platforms such as Douyin, and there is relatively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Bilibili platform. At the same time, related research on participation behavior mainly focuses on different types of user participation behaviors and performances.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relationship and impact between participation behavior and users.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on media us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recent years, existing studies have shown that the use of short video media can produce some positive experience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specific groups such as the elderly. In the current context where internet media usage is closely linked to the daily lives of adolescents, investigating the impact of Bilibili platform usage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ina's Z generation is a crucial topic in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health of young individuals in the new media era. Therefore, it is highly significant to conduct research and examin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behavior on the Bilibili video platform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Chinese Z 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different participation behaviors of Chinese Generation Z users on the Bilibili platform on subjective well-being, paying attention to the experience and mental health of Generation Z users, and promoting and improving the functions of the Bilibili platform.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uses three different levels of participation behaviors: browsing, interaction, and creation as independent variable measurement factors. The research design was conducted using subjective well-being, which consists of three parts: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as the dependent variable measurement factor. Explore the impact of different types of participation behaviors on subjective well-being. This article selects Chinese Generation Z users as the research object, conducts research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collects and organizes 339 valid online questionnaires. By testing the hypothesis, the study found that various participation behaviors on the Bilibili platform have varying degrees of impa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inese Generation Z users. Browsing behaviors such as simply watching and searching for videos have a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s. The behavior of interacting with other users, such as leaving video messages,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s. On the other hand, content creation behaviors, like producing and uploading videos, have a positive impact on negative emotions.

more

목차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 배경 1
제 2 절 연구목적 및 의의 4
1. 연구목적 4
2. 연구의의 5
제 2 장 문헌 고찰 7
제 1 절 참여행위 7
1. 참여행위와 참여문화 연구 현황 7
2. 참여행위의 정의 및 분류 12
제 2 절 중국 Z세대 13
1. 소셜미디어와 중국 Z세대 13
2. Z 세대와 미디어 산업의 발전 16
제 3 절 빌리빌리 탄막 동영상 플랫폼 18
1. 빌리빌리 동영상 플랫폼과 Z세대 18
2. 탄막 동영상 20
3. 탄막문화에서의 참여행위 22
제 4 절 주관적 안녕감 25
1. 주관적 안녕감의 정의와 특징 25
2. 미디어 사용과 주관적 안녕감 28
제 3 장 연구 방법 31
제 1 절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 31
1. 연구 모형 31
2. 연구 가설 32
제 2 절 연구 설계 35
1. 설문 설계 35
2. 변수 측도 36
3. 샘플 선택 및 데이터 수집 40
4. 데이터 분석 방법 40
제 4 장 연구 결과 및 가설 검증 43
제 1 절 기술통계 분석 43
제 2 절 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47
1. 신뢰도 47
2. 타당도 48
제 3 절 가설 검증 57
1. 참여행위와 삶의 만족도 58
2. 참여행위와 긍정 정서 60
3. 참여행위와 부정 정서 62
제 5 장 결론 66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66
제 2 절 연구의 한계점 70
참고문헌 7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