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의인화된 인공지능 협업 시스템에서의 이용자 행위주체감과 귀인 방식 : 이용자 참여수준과 결과물 성패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User's Sense of Agency and Attribution Pattern in Anthropomorphic AI Collaboration System: Focusing on the impact of user participation level and success or failure of results

초록

최근 인공지능 기술은 추천 알고리즘이나 챗봇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됨으로서 인간의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인공지능에 의한 자동화 시스템은 이용자가 경험하는 행위주체성-행위를 수행한 주체라는 주관적인 느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HCI 영역에서 행위주체성 연구는 자율주행 분야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최근 Microsoft의 Copilot이나 OpenAI의 ChatGPT 등으로 문서작업을 하는 상황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의 사용이 행위주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협업 시스템을 이용한 감사 카드를 제작하였을 때 시스템에 대한 이용자의 경험, 결과물에 대한 평가, 감사 카드에 대한 의미 부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인공지능과의 협업 상황에서 결과물 성패에 따라 해당 사건 원인의 귀속이 달라진다는 기본적 귀인 오류 이론에 따라 가설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참여수준: 높은 참여수준 vs. 낮은 참여수준) x 2(결과물 성패: 성공 vs. 실패) 요인 설계하여 온라인 실험을 진행하였고, 참여수준이 시스템에 대한 평가와 귀인 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과업의 성패 여부에 따라 달라짐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과 상호작용이 일상화 된 사회에서 인간의 주체성과 책임감을 잃지 않으면서도 이용성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를 준비하는 기업들에게 추진 방향과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ore

초록

Recently, Artificial Intelligence(AI) technology is increasing human convenience by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recommendation algorithms and chatbot services. Automation systems by artificial intelligence can affect the user's Sense of Agency(SoA) - the subjective feeling of being the subject who performed the action. In the Human-Computer Interaction(HCI) area, SoA research is mainly conducted in the field of autonomous driving, but the need to study the impact of the us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on SoA is increasing in the situation where document work is done with Microsoft's Copilot or OpenAI's ChatG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when an audit card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llaboration system is produced, it affects the user's experience of the system, evaluation of the results, and giving meaning to the audit card. In particular, the hypothesis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Fundamental Attributable Error(FAE) theory that the attribution of the cause of the event varies depending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result in the situation of collaboration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is study, 2 (participation level: high vs. low) x 2 (result: success vs. failure). An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designing factors, and it was shown that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level on the evaluation and attribution of the system depends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task. In a society where interaction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come commonplac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way to expand usability without losing human subjectivity and responsibility,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present directions and specific implications to companies preparing fo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ervices.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제2장 이론적 배경 7
제1절 미디어 발전에 따른 디지털 공간에서의 협업 7
1. 소통과 협업 공간으로서의 가상 7
2. 인공지능 및 가상 인간과 챗봇의 등장 8
3. 인간과 인공지능의 협업 방식에 따른 창작물 생성 10
제2절 인공지능 서비스의 일상화와 그에 따른 책임 소재의 불명확화 12
1. 인공지능 서비스의 일상화 및 편리화 12
2. 책임 소재 불명확화와 인공지능 서비스에 대한 불신 13
제3절 인공지능 서비스 사용자 경험에서의 행위주체감 17
1. 인공지능 기술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경험 17
2. 행위주체감 개념의 등장과 정의 19
3. 물리적 경험을 통한 행위주체감 21
4. 인지적 경험을 통해 발생하는 행위주체감 21
제4절 인공지능 기반 시스템에서의 귀인 방식 22
1. 인간 인공지능 상호작용에 따른 결과 책임 문제 22
2. 귀인 이론과 기본적 귀인 오류 개념의 정의 24
3. 인공지능 시스템 이용자의 귀인 방식 26
제3장 연구가설 28
제4장 연구방법 30
제1절 연구설계 및 연구대상 30
제2절 연구절차 및 실험 처치물 조작 31
제3절 측정문항 36
제5장 연구결과 43
제1절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43
제2절 측정 도구의 신뢰도 및 기술 통계랑 45
제3절 연구가설 검증 47
1. 행위주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 검증 47
2. 귀인 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 검증 49
3. 사용자 경험에 대한 추가 측정 항목 54
제6장 결론 및 논의 62
제1절 연구결과 논의 및 함의점 62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66
[참고문헌] 6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