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작용, 영상품질, 학습동기가 K-MOOC 수강자들의 학습효과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Effects and Satisfaction of K-MOOC Participants: A Study on Interaction, Video Quality, and Learning Motivation
- 주제어 (키워드) K-MOOC , 콘텐츠 품질 , 상호작용 , 학습동기 , 학습효과 , 학습만족도; content quality , interaction , learning motivation , learning effects , learning satisfac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현대원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6863
- UCI I804:11029-00000007686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19 상황으로 인하여 빠른 변화를 하고 있는 모든 분야 중 교육 분야에서 기존의 면대면으로 진행된 한정된 장소에서 하는 오프라인 수업이 아닌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 비대면 온라인 원격수업이 대체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비대면 온라인 원격수업으로는 우리나라의 K-MOOC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수준이 높은 양질의 콘텐츠를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K-MOOC를 이용하는 학습자들의 학습효과와 학습만족도를 확인하는 것이고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이루는 다양한 요소들 가운데 학습자의 상호작용, 영상 콘텐츠의 품질, 학습동기 세 가지 요인의 기술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학습효과와 학습만족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K-MOOC의 학습효과, 학습만족도에서 학습자의 상호작용, 영상품질, 학습동기 요인 중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2. K-MOOC의 요인 중 상호작용, 영상품질, 학습동기 사이에 조절효과는 발생하는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K-MOOC에서 개설된 K-MOOC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301개의 응답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한 뒤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기술통계 및 요인분석을 한 뒤,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K-MOOC 학습자들의 영상 콘텐츠의 품질이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얼마나 채워주는지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 회귀분석 방법을 실시했다. 학습자들은 서비스품질과 정보품질이 높은 교육 영상 콘텐츠를 보며 학습 효과와 학습 흥미 유발 부분에서 유의미하게 예측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MOOC 학습자들의 학습동기가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얼마나 채워주는지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 회귀분석 방법을 실시했다. 학습자들은 학습동기 중 내적가치와 외적가치가 높을 때 학습 효과가 높고 학습 흥미 유발 부분에서 유의미하게 예측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MOOC 학습자들의 학습자 상호작용이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얼마나 채워주는지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 회귀분석 방법을 실시했다. 학습자들은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내용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때 자기주도적인 학습 부분에서 유의미하게 예측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K-MOOC 학습자들은 영상콘텐츠의 품질과 학습동기 위 두 가지의 조절변인이 학습자의 상호작용으로 들어갈 때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얼마나 채워주는지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 방법을 실시했다. 학습자들은 영상 자체의 높은 정보품질이 중요하고 학습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학습동기 중 외적가치 의식감, 상징성, 소속감을 느낄 때 학습효과가 일어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온라인 원격수업 K-MOOC의 학습만족도는 품질 높은 영상콘텐츠, 가치 있는 학습동기,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내용간의 상호작용이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된다.
more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interaction, video quality, and learning motivation on the learning effects and satisfaction of K-MOOC participants. In the rapidly evolving landscape of education, driven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hallenges posed by the COVID-19 pandemic, there is a growing shift towards non-face-to-face online remote learning that transcends the limitations of time and location, as opposed to traditional offline classes conducted in confined spaces. K-MOOC, as a prominent platform for non-face-to-face online remote learning in South Korea, offers the advantage of easy accessibility to high-quality content for learn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arning effects and satisfaction of K-MOOC users, focusing on the technological analysis of three factors: learner interaction, video content quality, and learning motiva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1. What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mong learner interaction, video quality, and learning motivation in influencing learning effects and satisfaction in K-MOOC? 2. Does a moderating effect occur among learner interaction, video quality, and learning motivation within the factors of K-MOOC? To address thes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K-MOOC courses, and the data from 301 responses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validate th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s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Video content quality significantly predicts learner satisfaction, with learners demonstrating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the effectiveness and interest evoked during learning. 2. Learning motivation, particularly intrinsic and extrinsic values, positively influences learning effects and interest induction. 3. Learner interaction, specifically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and between learners and content, significantly predicts autonomous learning. 4. When video content quality and learning motivation act as moderating variables, high information quality in videos and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along with external value consciousness, symbolism, and a sense of belonging in learning motivation, positively impact learning effects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outcomes, it is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of K-MOOC learners in non-face-to-face online remote learning is greatly influenced by high-quality video content, valuable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actions among learners and between learners and content.
more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1
B. 연구목적 6
Ⅱ. 이론적 배경 7
A. 영상콘텐츠 7
(1) 교육영상 콘텐츠의 정의 7
(2) 영상품질의 정의 8
(3) 영상품질의 구성요소 9
B. 상호작용 11
(1) 상호작용의 정의 11
(가) 학습자와 콘텐츠간의 상호작용 11
(나) 학습자와 교수자간의 상호작용 11
(다) 학습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12
C. 학습효과요인 13
(1) 학습효과 13
(2) 학습동기 14
(2) 학습만족도 14
D. 비대면 영상 교육 16
(1) 원격수업의 정의 16
(2) K-MOOC의 정의 17
(3) K-MOOC의 현황 17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9
A. 연구문제 19
B. 연구대상 20
C. 연구방법 21
(1) 영상품질 22
(2) 상호작용 24
(3) 학습동기 26
(4) 학습효과 27
(5) 학습만족도 28
D. 연구문제검증 30
Ⅳ. 연구결과 31
A. 학습자의 상호작용과 영상품질이 학습효과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1
(1) 학습효과1 (학습기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1
(2) 학습효과2 (학습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3
(3)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5
B. 학습자의 상호작용과 학습동기가 학습효과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7
(1) 학습효과1 (학습기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7
(2) 학습효과2 (학습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9
(3)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1
C. 학습자의 상호작용과 영상품질, 학습동기가 학습효과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3
(1) 학습효과1 (학습기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3
(2) 학습효과2 (학습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5
(3)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8
Ⅴ. 논의 및 결론 50
A.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50
B. 제한점 및 제언 56
참고문헌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