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타살의 신학적 드라마에 나타난 정치 신학적 함의
Politisch-theologische Implikationen in Balthasars theologischer Dramatik
- 주제어 (키워드) 신학적 미학 , 테오드라마 , 신학적 드라마 , 정치신학 , 신학의 탈사사화 , 해방신학 , 계시 , 이데올로기 , 합리주의 , 거룩함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 구원론 , 종말론 , 그리스도 , 하느님나라 , 삼위일체 , 실천; theological aesthetics , theodrama , theological drama , political theology , desacralization of theology , revelation , ideology , holiness , Second Vatican Council , soteriology , eschatology , kingdom of God , Christ , rationalism , Trinity , good , action , practice , justic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지도교수 이규성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신학대학원 신학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6687
- UCI I804:11029-00000007668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발타살의 신학적 드라마에 나타난 정치 신학적 함의 이 논문은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의 신학적 드라마에 나타난 정치 신학적 함의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오랜 기간 신학적 미학의 연구자로 평가받아온 발타살이 ‘영 광’을 추구하는 신학적 미학에서 신학적 드라마로 전환하기까지에 대한 이해는 불충 분하다. 따라서 발타살이 미학적 범주에서 극적(劇的) 범주로의 전환에 대해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왜 신학이 극적으로 되길 원했는지 본 논문은 주목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그의 신학에서 드라마틱한 전개를 통해 시대의 역사적 억압 · 고통 · 해방 의 장소를 탐구함으로써 신학적 비전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다음 내용을 다 룬다. 1. 미학은 하느님 계시를 드러내기에 불충분함으로 그리스도의 삶과 선교의 중 심적인 측면을 나타내고 인간 존재의 사회적 정치적 차원의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발 타살은 테오드라마를 의도했다. 2. 테오드라마는 관객 역시 행동의 참여자가 되어 자 신의 존재성을 밝힌다는 주장에 새로운 의미가 부여된다. 3. 정치신학은 신학을 사적 영역으로 제한하려는 의도에서 벗어나 ‘신학의 탈사사화’를 목표로 한다. 그리스도 인은 개인적, 사회적, 정치적인 의미를 지니며, 구원의 드라마에서 어떤 역할을 한다 는 것은 이러한 여러 측면을 포괄한다. 4. 발타살의 신학은 고통과 억압에 맞선 테오 드라마적 투쟁이란 전망을 통해 현대 세계의 이념들을 비판하였다. 그는 그리스도교 탄생 이후 각 시대의 이념과 권력의 역할을 깊이 고찰하고 죄가 어떻게 진화론적 이 념을 초래했는지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념의 오남용은 ‘거룩함’의 추구로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 테오드라마의 요지이다. 테오드라마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보편적 거룩함의 소명'이란 제2차 바티칸 공 의회의 핵심 가르침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전개하였다. 발타살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의 핵심 가르침인 성덕에 대한 보편적 소명에 관심을 기울이고 이를 정치신학에 연결 시켰다. 공의회 이후의 신학은 이러한 도전을 충족시켜야 하며 이미 신학과 삶의 통 합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정치신학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테오드라마는 신학 안에서 정치신학이 보다 중심적인 위치가 됨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날 가톨릭 신학 내에서 발타살 신학이 함의한 가치와 영향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발타살의 정치신학은 정치적인 차원과 종말론적 차원, 이 두 차원 사이에서 극적인 긴장을 제공한다. 발타살은 테오드라마에서 구원론의 측면과 동시에 복음 실 천의 사회적 측면에서 드라마적 이론을 제안하고 있다. 발타살 신학은 그리스도를 따 르는 사람들에게 세상 속으로 들어가라고 요청하며 세상에 대한 강력한 비판을 제시 하고 있다. 그런데 세상을 변화시키도록 부름받은 그리스도인은 삶에 있어서 이러한 비전을 갖고 있는가? 이 논문은 현대 사회에서 그리스도인 삶의 정치신학적 요구는 무엇인지 묻고 있다. 정치신학이 세속화되어 하느님의 척도를 인간의 이데올로기적 척도로 대체하는 합리주의적 유혹에 따르게 된다면 삼위일체 거룩한 삶을 지향하는 드라마는 세속적 드라마로 대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현대 사회 진보와 기술의 발전 은 더 나은 미래를 바라보며 더욱 세속화를 가속화시킨다. 발타살은 기술에 대한 무 분별한 신뢰와 인류가 미래를 창조할 수 있다는 프로메테우스적 비전이 하느님의 피 조물인 인간의 진리를 왜곡하고 궁극적으로 인간의 자유와 복지를 희생시킨다고 경고 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발타살은 종말론적 역사관을 채택하고 있다. 역사는 세상과 존엄 성이 짓밟히는 사람들을 대신하여 ‘선’을 위해 투쟁하는 극적인 행동의 무대이다. 종말론적 관점은 그리스도교 희망의 수직적 차원을 보존하는 동시에 하느님 나라의 충만함에 반대하는 세력으로 가득 찬 세상에서의 긴급한 행동을 촉구한다. 고통과 억 압에 대한 테오드라마적 투쟁의 비전 안에서 그의 신학은 현대 세계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들에게 세상 속으로 들어 가라고 요청하고 있다. 발타살의 주장대로 우리는 불의와 빈곤의 현실과 세상에서 ‘정의’를 추구하기 위해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결국 발타살이 테오드라마를 통해 말하려는 가장 근본적인 관심사는 일관되게 세상 안에서 그리스도인의 ‘행동’이라는 주제일 것이다. 그리스도인에게 끊임없이 제기 되는 소명은 종말론적 희망 속에서 ‘지금’, ‘여기’에서 하느님 나라를 이루고 세 상을 변화시키려는 일임을 제안하는 것이다.
more초록
This paper sought to study the political theological implications of Hans Urs von Balthasar's theological drama. There is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how Baltasar, who has long been evaluated as a researcher of theological aesthetics, transitioned from theological aesthetics pursuing ‘glory’ to theological drama.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how Balthasar explains the transition from the aesthetic category to the dramatic category and why he wanted theology to become dramatic. This paper covers the following: 1. As aesthetics are insufficient to reveal the revelation of God, Balthasar intended theological drama to reveal the central aspects of Christ's life and mission and to realize justice on the social and political dimensions of human existence. 2. Theodrama gives new meaning to the claim that the observer also becomes a participant in the action and illuminates existence. 3. Political theology aims at ‘de-socializing theology.’ Being a Christian has personal, soci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nd playing a role in the drama of salvation involves each of these dimensions. 4. Within the vision of a new dramatic struggle against suffering and oppression, his theology carried out a critique of the ideology of the modern world. He went into depth about the role of ideology and power in the post-Christian era and showed how sin gave rise to evolutionary ideology. This is why ‘holiness’ must be pursued as an overcoming of ideology. Theo-drama systematically developed the meaning of the core teachings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on the universal calling to divinity (holiness). It shows that Balthasar paid attention to the universal calling to holiness, a core teaching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connected it to political theology. Post-conciliar theology must meet this challenge, and this is especially true in the case of political theology, which already recognizes the need for integration of theology and lif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New Drama shows that political theology has become more central within theology. In that sense, the value and influence of Balthasar theology within Catholic theology today can be said to be great. Meanwhile, Balthasar's political theology provides a dramatic tension between the two dimensions, the political and the eschatological. In the Theodrama, Balthasar proposes a dramatic theory in terms of soteriology and at the same time the social aspect of gospel practice. This paper seeks to propose a theological vision by exploring the places of historical oppression, suffering, and liberation of the era through dramatic developments in his theology. This paper asks what the political and theological demands of Christian life are in modern society. Balthasar theology asks followers of Christ to enter the world and presents a strong critique of the world. But do Christians who are called to change the world have this vision in their lives? If political theology becomes secular and follows the rationalist temptation of replacing God's measure with human's ideological measure, the drama that pursues the holy life of the Trinity may be replaced by a secular drama. Modern social progres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accelerate secularization with a view to a better future. Baltasar warns that reckless trust in technology and the Promethean vision that humanity can create the future distort the truth of humans as God's creatures and ultimately sacrifice human freedom and welfare. In contrast, Balthasar adopts an eschatological view of history. History is a stage of dramatic action to fight for ‘good’ on behalf of the world and those whose dignity is trampled upon. The eschatological perspective preserves the vertical dimension of Christian hope while calling for urgent action in a world filled with forces opposed to the fullness of God's kingdom. Within the vision of a new dramatic struggle against suffering and oppression, his theology carries out a critique of the ideology of the modern world. And he is asking Christ's followers to go into the world. As Baltasar argues,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and make efforts to pursue ‘justice’ in the reality and world of injustice and poverty. In the end, the most fundamental concern that Baltasar tries to express through the theodrama is consistently the theme of Christian ‘action’ in the world. It is suggested that the calling constantly raised for Christians is to achieve the kingdom of God and change the world ‘here and now’ in eschatological hope.
more목차
서론 1
1. 연구목적 1
2.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 6
3. 선행연구 7
4. 연구범위 및 방법 15
제1장 발타살 3부작과 테오드라마의 새로운 방향 18
1.1. 신학적 미학에서 신학적 드라마(Theologische Dramatik)로 전환 18
1.1.1. 미학과 드라마의 연관성 및 ‘하나의 드라마’ 신학 19
1.1.2. 미학과 논리학 사이에 놓인 드라마 이론 25
1.2. 구원역사로서의 하느님의 드라마 29
1.2.1. 단 하나의 드라마에 관한 성경의 증언 30
1.2.2. 드라마의 규범으로서 예수 그리스도 31
1.2.3. 삼위일체의 드라마적 구원론 관점 35
1.2.4. 발타살의 극 이론 해석의 신학적 비전 38
1.3. 드라마의 근거와 근대신학 38
1.3.1. 삶의 드라마와 신학의 통합 38
1.3.2. 발타살의 신학적 접근 45
1.3.3. 발타살의 근대신학 비판 48
1.3.4. 신학적 미학의 회복 50
1.4. 신학과 드라마 51
1.4.1. 신학적 드라마의 출발점으로서 헤겔 52
1) 헤겔 예형론의 적용과 신적 드라마 52
2) 헤겔의 드라마 이론에 대한 발타살의 비판적 평가 54
1.4.2. 구속(救贖)의 문제 56
1.4.3. 드라마 범주 체계로서 자연과 은총 사이의 ‘변증법’ 58
1.5. 드라마의 전개 60
1.5.1. 내적 관점(Kein Standort auβerhalb) 61
1.5.2. 테오드라마로의 수렴 66
소결론: 신학적 드라마의 가능성과 과제 71
제2장 테오드라마의 정치신학적 의미 75
2.1. 테오드라마가 함의하는 공공성 75
2.1.1. 신학의 ‘사사화’ 문제와‘신학의 탈사사화’(脫私事化) 76
2.1.2. ‘공동선’의 추구 80
2.1.3. 복음서와 사도행전의 공적 무대 81
2.2. 테오드라마와 정치 및 공공성 83
2.2.1. 테오드라마의 형이상학적 이미지 83
2.2.2. 발타살의 정치에 관한 입장 87
1) 본성과 은총 사이 구별의 필요성 88
2) 사회에서 개인의 중요성과 개인의 성덕(거룩함) 90
3) 발타살의 아우구스티노적 시간성(Temporality) 92
4) 마르크스주의 내재주의에 반대 93
2.2.3. 정치에 대한 신학적 성찰의 한계 96
2.3. 근대성(Modernity)에 대응한 테오드라마 99
2.3.1. 발타살의 사회적 관심 100
2.3.2. 발타살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03
2.3.3. 콘칠리움(Concilium), 코뮤니오(Communio) 106
2.4. 테오드라마와 해방신학 110
2.4.1. 해방의 신학적 차원 110
2.4.2. 해방신학자와의 대화의 장(場) 113
소결론 116
제3장 테오드라마의 연대성(Solidarität) 119
3.1. ‘참여’(Teilnahme)의 문제 119
3.1.1. 교부 시대의 ‘참여’ 개념 120
3.1.2. 스콜라 시대의 ‘타자성’ 개념 126
3.1.3. 발타살의 근대주의 분석 130
3.2. 연대(Solidarität)를 넘어 자기비허(Kenosis)로 134
3.3. 탈사사화한 정치적 그리스도인과 ‘자기비허’ 139
3.3.1. 연대와 참여 안에서 ‘자기비허’ 140
1) 자기비허적 동기(kenotic motif) 141
2) 가난한 이들의 단순한 신앙 142
3) 자비의 사회정치적 성격 144
3.3.2. 단순한 사람들의 믿음 146
3.3.3. 십자가의 성 요한의 영혼의 어둔 밤 149
1) 십자가의 성 요한의 완벽한 모험 150
2) 신비주의 시의 역설 153
3) 가치와 한계· 155
3.3.4. 리지외의 테레사와 작은 길 157
3.3.5. 이냐시오의 영적 전통의 영향 162
소결론 167
제4장 비판과 적용 171
4.1. 발타살의 진보 이데올로기 비판 171
4.1.1. 묵시적 수직성에 관한 분석 172
1) 그리스도교 희망의 형태 173
2) 수직적 차원 176
3) 수평적 희망 180
4) 수평적 차원의 통합 182
4.1.2. 이데올로기의 근간 183
1) 수평적 세계사 183
2) 인류의 수평적 역사의 의미 186
3) 진보의 신기루(Das Trugbild des Fortschritts) 192
4) 그리스도의 묵시적(종말론적) 수직성의 의미 193
4.1.3. 자유와 권력과 악 196
4.2. 발타살의 해방신학 비판과 이에 대한 분석 201
4.2.1. 해방신학에 대한 비판적 접근 201
4.2.2. 비판에 대한 분석 209
4.3. 신학의 정치적 전망 211
소결론 214
결론: 테오드라마 정치신학의 현대적 의의 220
ABBREVIATIONS 228
참고 문헌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