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 수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메신저 의사소통 교육 방안
A study on the Messenger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vanced level international student
- 주제어 (키워드) 한국어 교육 , 고급 수준 외국인 유학생 , 메신저 의사소통 , 설문조사 , 교육 내용; Korean language education , Advanced level foreign students , Messenger communication , Survey , FGI , Educational content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주세형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6661
- UCI I804:11029-00000007666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 증가 등의 이유로 외국인 유학생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한국 사회 진출의 폭이 확대되었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최근 한국에서 온라인 매체와 이를 통한 의사소통이 만연해진 만큼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메신저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외국인 유학생의 이를 위한 교육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메신저 의사소통을 적절하게 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메신저는 의사소통의 수단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말과 글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온라인 매체로 매개된다는 점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구분되고 있다. 메신저 의사소통에서 ‘준구어체’ 또는 ‘준입말’이라는 말이 새롭게 등장하였고, 대화 상대와 직접 보지 않으면서 실시간으로 대화한다는 특징에 따라 다양한 의미 체계가 생성되었다. 따라서 메신저 의사소통은 전통적인 의사소통과 또 다른 차원의 의사소통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외국인 유학생의 사회생활과 일상생활에서도 메신저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먼저 Ⅱ장에서는 모바일 메신저의 개념을 알아보고, 세계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주요 메신저들의 특징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메신저 의사소통 교육이 체계적이고 타당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국내 대학의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교육과정 및 해외의 제2언어 교육과정을 분석하였고, 현행 교육과정에서 논의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과정에서는 메신저 의사소통 관련 내용과 교재에서는 교육과정이 반영된 학습활동과 교육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Ⅳ장에서는 고급 수준 외국인 유학생의 요구에 맞게 메신저 의사소통 교육 내용을 선정하기 위해 고급 수준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FGI를 실시하여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외국인 유학생이 카카오톡 메신저의 특성 이해와 메신저 언어의 형태 추론 및 의미 이해가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FGI를 통해서는 설문조사에 추가로 메신저를 이용하여 다양한 관계의 상대와 의사소통하는 것과 본인의 생각을 조리 있게 말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했다. Ⅴ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재, 설문조사와 FGI를 통해 분석한 메신저 의사소통 교육 내용을 제안하고자 했다. 대상과 대상 수준을 선정하였고, 언어 지식의 영역과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앞서 분석한 것에서 선정한 성취기준과 교육 내용을 연결 지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고급 수준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메신저 의사소통 교육 내용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어 교육과정과 해외 교육과정, 한국어 교재를 살펴보았고, 실제적인 도움이 되기 위해 설문조사와 FGI를 시행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more초록
This study was started from the background that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ha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ing global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which has expanded the scope of their entry into Korean society. As online media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m have become widespread in Korea in recent year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messenger communi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 need for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ducational suggestions on how to properly communicate via messenger. Messengers are like traditional speech and writing in that they are a means of communication, but they are distinguished in a new way because they are mediated by online media. The term 'quasi-colloquial' or 'quasi-spoken' has been coined for messenger communication, and various meaning systems have been created based on the feature of real-time communication without seeing the interlocutor in person. Therefore, messenger communication can be said to be another dimension of communication different from traditional communication. Therefore,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messenger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ocial life and daily life of international students. Next, in Chapter IV, we conducted a survey and an FGI with advanced-level international student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contents that could be of practical and direct help to them in order to select messenger communication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the needs of advanced-level international students. Through the survey, we found that international students ne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akaoTalk Messenger and understand the form and meaning of the messenger language. In addition to the survey, the FGI confirmed the need to use the messenger to communicate with people in various relationships and to express one's thoughts clearly. In Chapter V, we tried to propose instructional contents for messenger communication based on the Korean curriculum and textbooks analyzed above, as well as surveys and FGIs. The targets and target levels were selected, and the areas of language knowledge and teaching methods were presented.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instruction was linked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selected from the previous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d Korean curricula, overseas curricula, and Korean textbooks in order to prepare systematic instructional contents of messenger communication for advanced level international students, and conducted surveys and FGIs for practical help.
more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2. 선행연구 검토 · 3
2.1 메신저에 관한 언어학적 연구 3
2.2 한국어교육에서의 메신저 의사소통 교육 연구 6
2.3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과 현황 9
2.4 고급 수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 12
Ⅱ. 이론적 배경 18
1. 모바일 메신저 18
1.1 모바일 메신저의 개념· 18
1.2 주요 메신저의 특징 비교 19
1.3 메신저 의사소통의 특징 24
2.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분석 28
2.1 한국어 교육과정 분석· 28
2.1.1 국내 한국어 교육과정 분석 · 28
2.1.2 해외 교육과정 비교 분석· 35
2.2 한국어 교재 분석 43
2.2.1 대학 교재 분석 44
2.2.2 비즈니스 교재 분석 46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50
1. 연구 대상 50
2. 연구 방법· 51
2.1 설문조사 방법 54
2.2 초점집단면접법(FGI) 방법 56
Ⅳ. 연구 결과· 59
1. 설문조사 결과 59
1.1 학습자 배경에 관한 결과 · 59
1.2 메신저 사용 경험에 관한 결과 60
1.3 메신저 의사소통 시 겪은 어려움에 관한 결과 64
1.4 메신저 의사소통 학습 요구에 관한 결과 66
2. 초점집단면접법(FGI)의 결과 71
2.1 메신저별 사용의 기준· 71
2.2 한국 사회에서 필수적인 메신저 사용 74
2.3 메신저 사용이 외국인 유학생에게 유리한 점· 76
2.4 메신저 의사소통 교육의 필요성 · 78
Ⅴ. 메신서 의사소통 교육 내용 제안· 86
1. 교육 내용 선정 86
2. 메신저 의사소통 교육 내용 제안· 89
Ⅵ. 결론 94
참고문헌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