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의 사회적 낙인과 사회적 지지가 낙인 관리 커뮤니케이션과 환자 역할 행동에 미치는 영향 : 1 형당뇨를 중심으로
Effects of Social Stigma and Social Support on Stigma Management Communication and Patient Role Behavior : Focusing on Type 1 Diabetes
- 주제어 (키워드) 헬스커뮤니케이션 , 1형당뇨 , 낙인 , 질병낙인 , 사회적지지 , 낙인관리커뮤니케이션; Health Communication , Type 1 Diabetes , Stigma , Disease Stigma , Social Support , Stigma Management Communic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유현재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6642
- UCI I804:11029-00000007664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stigma attached to type 1 diabetes in an attempt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its sociological meaning and effects. Although stigma has traditionally been a major topic of research in the field of health communication, there are have been few studies conducted in the field on type 1 diabetes. Therefore, in this study, social stigma, social support, stigma management communication, and patient role behavior in the context of type 1 diabetes were chosen as major variables, and the influence the variables had on each other were examined. A total of 262 people (adolescents: 113, adults: 149) were enrolled with the help of the Korean Society of Type 1 Diabetes, despite the relatively small number of type 1 diabetes patients in Korea. The analysis found the social stigma patients perceived and experienced against type 1 diabetes did not reach the stage of ‘discrimination’ but included negative ‘stereotypes’ and ‘prejudic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ype 1 diabetes had the greatest impact on 'identity problems' in which patients were reluctant to disclose the disease or had difficulty in managing it and administering treatment in public environments. The intensity of social stigm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dults than in adolesc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ore active interest and support for adult type 1 diabetics are needed in a situation where type 1 diabetes is called ‘juvenile diabetes' and is mistakenly considered to only affect children. Contrary to what is generally believed, the positive effects from social stigma and negative effects from social support were also identified in this study. In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quality of support should be prioritized over just providing social support itself.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stigma management communication strategies, this study identified that type 1 diabetics mainly used a new type of communication strategy, called 'positive acceptance', to cope with social stigma, and this strateg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health behavio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cial stigma and social support in type 1 diabetes and found a new type of stigma management communication strategy.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makers will be able to establish effective policies to reduce the social stigma against type 1 diabetics.
more초록
환자는 사회 전반적으로 특정 질병에 가해지는 고유의 낙인(stigma)을 경험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는 반대로 사회적 지지 역시 존재하며, 이들은 모두 환자의 인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질병이 가지는 사회학적 의미와 그 영향 등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파악하려는 시도로 1형당뇨의 질병낙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낙인은 전통적으로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연구 주제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1 형당뇨는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진행된 연구가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낙인, 사회적 지지, 낙인 관리 커뮤니케이션, 환자 역할 행동을 주요 변수로 설정하고 변수들 간의 영향을 살펴 보았다. 1 형당뇨인은 그 수가 적어 접근 자체가 용이하지 않았음에도 환우회의 도움을 받아 총 262 명(청소년: 113, 성인: 149)의 유효 설문을 수집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 1 형당뇨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차별’의 단계까지 가지는 않았지만 질병에 대한 부정적 ‘고정 관념’과 ‘편견’에 노출되어 있었다. 특히 1 형당뇨인이 질병 공개를 꺼리거나, 관리 및 치료 행동을 공개적으로 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정체성 문제’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낙인의 강도는 청소년보다 성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1 형당뇨가 ‘소아당뇨’로 어린이에게만 걸리는 것으로 잘못 인식되고 있는 상황에서 성인 1 형당뇨인의 사회적 낙인이 더 높다는 것은 성인에 대한 더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의 필요성을 확인 시켜 준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사회적 낙인의 긍정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부정 영향의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이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지지의 질적인 측면이 고려되어야 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1 형당뇨인은 사회적 낙인에 대해 도전적 커뮤니케이션보다는 ‘긍정적 수용’이라는 수용적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해당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건강 행동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낙인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적 중재수단으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낙인에 대처하는 새로운 유형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확인함과 동시에, 1 형당뇨인들의 낙인을 줄이기 위한 사회적, 정책적 지원을 위한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more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의의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과 의의 3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고찰 5
1. 질병낙인과 1 형당뇨 5
1) 낙인 5
2) 질병낙인 7
3) 질병낙인과 1 형당뇨 9
3-1) 당뇨병과 1 형당뇨 9
3-2) 1 형당뇨와 질병낙인 11
3-3) 한국 1 형당뇨병환우회 14
2. 낙인 커뮤니케이션과 낙인 관리 커뮤니케이션 16
1) 낙인 커뮤니케이션 16
2) 낙인 관리 커뮤니케이션 18
3. 사회적 지지 25
1) 사회적 지지의 개념 25
2) 사회적 지지의 건강 영향 27
4. 환자 역할 행동과 당뇨의 자가 관리 29
Ⅲ. 연구방법 33
1.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의 설정 33
1) 변수의 설정 33
2) 연구질문 및 연구가설 33
3) 연구모형 37
2. 설문지 척도의 구성 38
1) 1 형당뇨에 대한 사회적 낙인 38
2) 1 형당뇨에 대한 사회적 지지 40
3) 낙인 관리 커뮤니케이션 41
4) 환자 역할 행동(자가 관리) 43
3. 표본 및 자료의 수집과 분석 43
1) 조사 대상자 및 표본 추출 43
2) 자료의 수집 44
3) 자료의 분석 45
4) 윤리적 고려 45
Ⅳ. 연구 결과 47
1. 조사대상자의 일반현황 47
2. 주요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48
3.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 51
4.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53
5. 가설 검증 55
1) 전체 표본 모형 55
2) 성인 표본 모형 58
3) 청소년 표본 모형 61
Ⅴ. 논의 및 함의 67
1. 청소년보다 심각한 성인 1 형당뇨인의 사회적 낙인 67
2. 긍정적 낙인과 문제적 지지의 역설 72
3. 긍정적 수용 전략의 커뮤니케이션적 가치 76
Ⅵ.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 80
참고문헌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