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Who Has Received Aid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초록 (요약문)

Notwithstanding past uncertainty surrounding its existence, it is evident that climate change is a current reality that is evolving into a crisis. Despite the doubt surrounding climate change, the international society has attempted to address this issue by providi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to conduct climate change-related development projects. Focusing on aid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we attempt to understand which countries have received more aid in this regard. This paper hypothesizes that environmental factors like water scarcity and the small size of forests, and anthropogenic factors like the level of urbanization and CO2 emission, could influence the amount of aid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received by developing countries. With the empirical analysis derived from the panel data of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period 2009–2018, the results show that countries with less water and higher levels of urbanization have received higher amounts of aid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effort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in fighting against climate change.

more

초록 (요약문)

긴 시간동안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의구심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는 기후변화의 속도를 늦추기 위해 여러 국제적인 노력을 이어왔다. 특히 기후변화 관련한 개발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적개발원조를 제공하면서 기후 변화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지속되었다. 최근 국제사회는 기후변화 적응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원국이 직접 기후변화 문제를 대처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원조의 방향이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기후변화 적응 원조를 중심으로 어느 국가에 원조가 집중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취약성이 기후변화 적응 원조 배분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개발도상국에 전달되는 기후변화 적응원조 금액에 담수나 산림 부족과 같은 환경적 요인과 도시화 정도, CO2 배출과 같은 인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것이다. 2009년부터 2018년까지 OECD DAC 국가로부터 원조를 받은 개발도상국들의 패널 데이터를 회귀분석한 결과 담수가 부족하고 도시화 정도가 높은 국가일수록 기후변화 적응원조를 더 많이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그 동안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기후변화 적응 목적의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중요한 요인을 확인할 수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