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글로벌 공급망 참여 방식이 프렌드쇼어링 주요 산업의 부가가치기준 수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Way of Global Supply Chain Participation on Value-added Exports in the Friend-shoring Key Sectors

초록 (요약문)

This research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untry's position and size in the global value chain and the share of value-added exports in four Friend-Shoring industries from 1995 to 2018. Using the OECD-WTO Trade in Value-Added database, the study finds that higher forward linkages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value-added exports overall. When analyzing the overall industry, it was found that higher forward linkages and being positioned upstream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value-added exports. Similar patterns are observed at the industry level. The pharmaceutical industry show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linkages, while being upstream benefits exports. In the computer,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industry, higher backward linkages are linked to lower value-added exports, while being upstream and having greater forward participation leads to increased export shares. Throughou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untry's participation in global value chains and total value-added exports, more technologically intensive high-value-added industries exhibited greater heterogeneity and wider distribution compared to traditional manufacturing industries

more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18년까지 프렌드쇼어링 4개 산업을 대상으로 수출국의 글로벌 가치사슬 내 위치 및 규모와 부가가치 기준 수출 비중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OECD-WTO Trade in Value Added(TiVA) 데이터베이스(2021)를 활용하여 각 국의 부가가치 수출을 분석했고, 산업별 각 국가의 전∙후방 연결 정도를 주요 설명변수로 사용하였다. 총 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을 때, 전방 연결 정도가 높고 상류에 위치할수록 부가가치 기준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수준에서도 전방 연결이 더 큰 부가가치를 창출했다. 의약 산업은 전∙후방 연결 비중 모두 크게 유의하지 않았으나 상류에 위치할 경우 수출에 유리했다. 컴퓨터∙전자∙통신 산업에서는 모두 후방 연결 정도가 부가가치 수출과 반비례했고, 위치상 상류일수록 수출 비중이 커 역시 전방 참여가 높을수록 부가가치 수출 비중이 상승함을 확인했다. 국가별 가치 사슬 참여 방식과 총 부가가치기준 수출의 관계 분석 전반에 걸쳐 보다 기술 집약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이 전통 제조업에 비해 강한 이질성과 넓은 분포를 나타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