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계사의 ‘-ᅀᅡ’, ‘-셔’ 결합형에 대한 역사적 연구

A Historical Study on the Copular Forms Combined with '-za' and '-syeo'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한글 자료에 나타나는 계사의 ‘-ᅀᅡ’, ‘-셔’ 결합형의 문법적 특성을 통시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계사는 일반적으로 활용하여 문장에서 서술어로 쓰이지만, 일부의 계사 활용형은 서술성을 잃고 조사로서의 용법을 보이기도 한다. 후기 중세국어 시기의 문법 요소 ‘-ᅀᅡ’와 ‘-셔’는 조사와 어미의 이중적인 성격을 가져 이질적인 구조의 계사 결합형을 다양하게 형성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들 결합형이 경쟁하며 공존하다가 문법적 변화를 겪는 역동적인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대국어의 ‘이’계 조사 중 ‘-ᅀᅡ’ 또는 ‘-셔’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 곧 ‘-(이)야’, ‘-(이)라야’, ‘-(이)서’, ‘-(이)라서’의 발달을 통시적으로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한글 자료에 나타나는 계사 ‘이-’의 다양한 ‘-ᅀᅡ’, ‘-셔’ 결합형의 공존 양상과 통시적 변화를 살피는 데에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을 논의하였다. 여기서 후기 중세국어 시기 ‘-ᅀᅡ’, ‘-셔’가 조사와 어미의 이중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음을 검토하였다. 또 계사 활용형과 ‘이’계 조사를 구별하기 위한 기준으로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기준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현대국어 ‘이’계 조사 중 계사의 ‘-ᅀᅡ’, ‘-셔’ 결합형이 갖는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특성을 살폈다. 3장과 4장에서는 계사의 ‘-ᅀᅡ’, ‘-셔’ 결합형의 후기 중세국어 시기의 공존 양상과 근대국어부터의 변화를 의미적 측면과 형태적 측면에 주목하여 검토하였다. 이들의 통시적 변화에는 ‘-ᅀᅡ’와 ‘-셔’의 어미로서의 성격 상실, 계사 뒤 환경에서 연결어미 ‘-어’의 쓰임 확대, 그리고 계사 결합형 간의 경쟁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동일한 문법 형태를 공유하는 유사한 ‘이’계 형식들을 함께 살핌으로써, 개별적으로 다루어진 ‘이’계 형식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study explores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pular forms combined with ‘-za’ and ‘-syeo’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While the Korean copula ‘i-’ is typically conjugated with endings so that used as verb in sentences, some copular forms can function as Josa as they lose predicative function. The grammatical elements ‘-za’ and ‘-syeo’ in the late Middle Korean period have a dual nature as Josas and endings, and they form various combinatory copular forms with a different structu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ynamic aspects of competition and coexistence among these combinatory forms and their grammatical changes over time. Additionally,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Josas ‘-(i)ya’, ‘-(i)raya’, ‘-(i)seo’, and ‘-(i)raseo’, which contain copula ‘i-’ and ‘-za’ or ‘-syeo’ in origin, was examined diachronically. In Chapter 2, basic discussion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oexistence and diachronic changes of various copular forms combined with ‘-za’ or ‘-syeo’ in Korean texts. It was discussed that the grammatical forms ‘-za’ or ‘-syeo’ in the late Middle Korean had a dual nature as Josas and endings. Criteria based on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factors were also discussed to distinguish conjugation forms from the Josas. Finally, the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Josas in modern Korean that came from the copular forms with ‘-za’ and ‘-syeo’ were examined. In Chapters 3 and 4, the coexistence patterns of the copular forms combined with ‘-za’ and ‘-syeo’ in the late Middle Korean period and their semantic and morphological changes from the modern Korean era were examined. The diachronic changes involve the loss of characteristic as endings of ‘-za’ and ‘-syeo’, the expansion of the usage of the ending ‘-eo’ instead of ‘-ra’ after copula ‘i-’, and competition among different copular forms combined with ‘-za’ or ‘-syeo’. Through the discussions above,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and analyze the copular forms sharing the same grammatical eleme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