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책임감 척도의 타당화 연구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Responsibility Questionnaire
- 주제어 (키워드) 책임감 , 실존적 책임감 , 사회적 책임감 , 개인적 책임감 , Responsibility , Existential responsibility , Social responsibility , Personal responsibilit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장재홍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6483
- UCI I804:11029-00000007648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실존주의 긍정심리학을 바탕으로 Arslan과 Wong(2022)이 개발한 ‘책임감 척도(Responsibility Questionnaire; RQ)’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타당화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원척도 개발에 사용되었던 예비문항 18문항을 원저자로부터 전달받아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을 거쳐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만 19세 이상의 성인 420명(남 127명, 여 291명, 기타 2명)을 대상으로 2023년 4월 12일부터 5월 22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무선 할당 방식을 통해 표본 1, 2로 구분하였다. 표본 1(N=210)을 대상으로 문항 분석을 실시하여 변별력과 신뢰도가 낮은 문항을 삭제하고, 한국판 책임감 척도(K-RQ)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회적 책임감(3문항), 개인적 책임감(5문항)의 2요인 구조가 도출되었다. 표본 2(N=210)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K-RQ의 2요인 구조가 적절한 모형 적합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요인 8개 문항이 최종 척도로 선정되었다. K-RQ는 사회적 책임감 척도, 표준화 성격진단검사 중 긍정적 책임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어 수렴 타당도가 확인되었고, 자율성 척도, 통제부위신념검사와는 낮은-중간 정도의 상관을 나타났으나, 통제부위신념검사의 하위요인 중 외적통제와의 변별 타당도만이 확인되었다. 삶의 의미 척도, 실존적 안녕감, 주관적 안녕감과는 높은 정적 상관이, 상태분노, 우울과는 낮은 정도의 부적 상관을 나타내어 공인타당도 역시 확인되었다. 신뢰도 분석 결과 K-RQ의 내적 합치도는 .723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의의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translate and validate the 'Responsibility Questionaire(RQ)' developed by Arslan and Wong(2022) based on existentialist positive psychology. The initial items of the Korean version of RQ were provided by Arslan, the main author, with 18 preliminary questions used to develop the original scale. The preliminary questions were constructed through a translation and reverse translation proces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420 adults(127 males, 291 females and 2 non-binary) from May 12th to June 22th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classified into samples 1 and 2 through the random assignment. As a result of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Sample 1 (N=210), 10 items judged to have reliability problems were deleted, and 2-factor structures of social responsibility(3 items), personal responsibility(5 items) were derived for the remaining 8 items.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Sample 2 (N=210), it was found that the 2-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sponsibility Questionnaire had an good model-model fit, and 8 items of 2 factors were selected as the final scale. The convergent validity of K-RQ was confirmed by showing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responsibility scale and positive responsibility factor of standardized personality diagnosis test. And K-RQ was confirmed by showing a low-to-medium correlation with the autonomy scale and locus of control questionnaire. The concurrent validity was also confirmed by showing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eaning of life scale, existenti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a low negative correlation with state anger and unfairness. As a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the internal agreement of the final K-RQ was .723.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