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재원의 심리적 계약에 관한 연구
A study of how Korean expatriates experience and respond to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 주제어 (키워드) 주재원의 심리적 계약 , 심리적 계약위반 , 심리적 계약의 위반 감정 , 질적연구 , 주재원과 자원보존이론 , 주재원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 , expatriate , international assignment , psychological contract ,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violation , qualitative research , resource conservation theory , coping strategy theor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조봉순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6481
- UCI I804:11029-00000007648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심리적 계약이론에 기반하여 한국 기업 주재원의 심리적 계약 내용을 확인하고 조직의 심리적 계약위반이 초래하는 부적인 영향의 구체적인 매커니즘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과제들을 수행하였다. 첫째, 심리적 계약의 개념을 정의, 하위차원, 측정 관점에서 구분하고 2020년까지의 심리적 계약에 관한 국내 연구들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심리적 계약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해외 연구들과 비교 논의하였다. 둘째, 주재원의 심리적 계약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확인하여 기존 연구의 보완점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주재원의 역할과 업무특성을 감안해 선행연구에서 적용된 이론을 확장하고 주재원의 심리적 계약이행과 위반 측정에 관한 정합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재원이 인지한 조직의 심리적 계약위반 사건과 원인을 이해하고 측정시점을 분리해 심리적 계약위반의 부적 영향을 엄밀하게 관찰할 필요가 있었다. 셋째, 한국 기업에 소속된 주재원의 심리적 계약 내용을 확인하고 주재원들이 위반을 인지하는 대표적인 사건과 그 원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주재원 업무를 수행 중이거나 최근까지 주재원이었던 귀임인력 14명을 심층 인터뷰하고 인터뷰 내용을 지시적 내용분석방법으로 정리하였다(연구 1). 넷째, 기존 주재원의 심리적 계약 연구에서 제기된 한계와 논의를 기반으로 주재원의 업무환경을 자원이 부족하기 쉬운 환경으로 보고 조직의 심리적 계약위반이 초래하는 결과를 자원보존이론과 주재원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으로 설명하였다(연구 2). 본 연구는 질적 접근을 통해 한국기업 주재원들의 심리적 계약 내용을 확인하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특징을 갖는지 개념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주재원이 인지한 심리적 계약의 위반감정이 초래한 부적 영향을 자원보존이론과 스트레스 대처 전략으로 설명함으로써 사회교환이론으로 설명이 제한적이었던 부분을 보완하였다. 또한, 주재원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 사용이라는 특정 상황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사회적 지지가 어떻게 주재원의 업무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구체화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주재원의 심리적 계약 위반 사건을 청취하고 원인별로 분류함으로써 실질적인 조직의 개입방향을 제안하고 주재원의 심리적 계약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현실적인 고민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조직의 인재관리 차원에서 주목도가 높은 주재원을 심리적 계약이론과 자원보존이론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주재원 관리에 대안적인 프레임을 제안하였다.
more초록 (요약문)
This study applies psychological contract theory to identify the content of Korean expatriates' psychological contracts and to examine the specific mechanisms through which perceived breaches of the organization's psychological contract negatively affect expatriates. The research tasks we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definition, dimensions, and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contracts was conducted, including a review of domestic studies on psychological contracts through 2020. Thi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existing research on psychological contracts was then compared to international studies. Secondly, previous research on expatriate psychological contracts was reviewed, taking into account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rom existing studies. It was concluded that there is a need to broaden the application of theories, taking into account the unique roles and work characteristics of expatriates, and to improve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contract fulfillment and breach. In addition, the study revealed a need to examine the incidence and causes of perceived breaches and violations of the organizational psychological contract, as well as a need to longitudinally examine the negative effects of such violations using multiple measurement points. Third, Study 1 used in-depth interviews with 14 current or former expatriates to explore their psychological contracts in Korean companies and to identify typical events and causes of perceived breaches. Directed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organize the interview data. Fourth, Study 2 built on the contract content identified in Study 1 and addressed the limitations and discussions from previous research. An empirical research model was proposed and validated through a survey of Korean expatriates. Recognizing the resource-poor nature of the expatriate work environment, the study explained the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s by applying resource conservation theory and examining expatriates'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expatriates' psychological contracts by identifying their contents and confirming their fit in the Korean context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By explaining the negative effects of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s in terms of resource conservation theory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this study complements existing social exchange theory. Furthermore, the study specifies how social support from various stakeholders can influence expatriates' stress coping strategies in specific situations. On a practical level, this study suggests organizational interventions and provides guidance for effectively managing expatriates' psychological contracts by examining cases of contract violations and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their causes. The study advances the expatriate management literature by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of Korean expatriates' psychological contracts, providing a mechanism to explain the negative effects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s, and proposing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expatriate management based on resource conservation theory and coping strategy theor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