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기 부부의 자기침묵과 결혼만족도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검증
The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of Self-Silencing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Newlywed Couples : Actor and Partner Effects
- 주제어 (키워드) 신혼기 부부 , 자기침묵 , 결혼만족도 , 지각된 배우자 지지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매개모형(APIMeM) , 자기효과 , 상대방효과 , newlywed couples , self-silencing , marital satisfaction , perceived marital support ,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APIMeM) , actor effect , partner effet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장재홍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6432
- UCI I804:11029-00000007643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신혼기 부부 관계에서 남편과 아내의 자기침묵이 지각된 배우자 지지를 매개로 결혼만족도에 이르는 경로를 확인하고,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157쌍의 신혼기 부부를 대상으로 APIMeM 모형을 적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고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아내 자기침묵과 남편 결혼만족도를 제외한 모든 변인 간 관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남편의 자기침묵이 아내의 자기침묵보다 유의하게 높아 성별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자기침묵이 지각된 배우자 지지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남편과 아내 모두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는 남편과 아내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상대방효과는 아내만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섯째, 남편의 자기침묵이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에서 남편과 아내의 지각된 배우자 지지는 모두 매개하였고, 아내의 자기침묵이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에서는 아내의 지각된 배우자 지지만 매개하였다. 여섯째, 남편의 자기침묵이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에서 아내의 지각된 배우자 지지만 매개하였고, 아내의 자기침묵이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에서는 남편과 아내의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모두 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논하였다.
more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aths of newlywed couples’ self-silencing to marital satisfaction and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For this purpose, 157 newlywed Korean couples were recruited. As for the data analysis,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APIeM), and the Bootstrapping test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variables except for the wife’s self-silencing and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Second, the husband’s self-silenc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wife’s self-silencing. Third, the Actor and Partner effect of self-silencing on perceived marital support was negatively significant in the husband and the wife. Fourth, the Actor effect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was positively significant in the husband and the wife. The Partner effect was positively significant only in the wife. Fifth, the perceived marital support of the husband and the wife mediated the Actor effect of the husband’s self-silencing on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perceived marital support of the wife mediated the actor effect of the wife’s self-silencing on the wife’s satisfaction. Sixth, the wife’s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d the partner effect of the husband’s self-silencing on the wife’s marital satisfaction, and both the husband’s and the wife’s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d the partner effect of the wife’s self-silencing on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