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자기이해와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긍정심리자본기반 글쓰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A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A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Based Writing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ement of University Students' Self-Understand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주제어 (키워드) 자기이해 , 심리적 안녕감 , 긍정심리자본 , 글쓰기치료 , 집단상담 , 대학생 , self-understanding , psychological well-being ,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writing therapy , group counseling program ,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한기백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6415
- UCI I804:11029-00000007641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글쓰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이해와 심리적 안녕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성을 예측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긍정심리자본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총 8회기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험집단 대학생 8명과 통제집단 대학생 8명 총 16명을 배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통제집단에게는 아무 처치를 하지 않았고, 실험집단 대학생 8명에게는 회기당 120분의 글쓰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효과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과 질적 연구을 통합적으로 사용하여 효과성 검증의 타당도를 높이려 하였다. 양적 연구의 경우에는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모두 동일하게 자기이해와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종료 3주 후 추수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 방식은 SPSS-WIN25를 사용하여 통계처리하고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의 경우에는 근거이론 방식을 채택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회기별 글쓰기 결과물, 성찰록, 녹취록을 분석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 글쓰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참여자들의 전체 자기이해와 심리적 안녕감 변화 수준이 통제집단에 비해 상승되었다. 자기이해의 하위영역 중 안정성과 자기주장을 촉진하였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자아수용, 자율성, 삶의 목적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분석으로 개방 코딩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171개의 개념, 54개의 하위범주, 24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했다. 그리고 ‘글쓰기를 매개로 자신을 이해하고 돌보며 성장하는 시간’이 핵심범주로 요약되어 글쓰기치료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이해와 심리적 안녕감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에 따라 연구의 의의와 교육적·임상적 함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more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writing therapy program in enhancing self-understand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is,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 eight-sess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The study was conducted by assigning a total of 16 participants, eight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eight in the control group each others.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120-minute writing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per session.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this study integra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both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used self-understand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s for pre-test and post-test assessments. The experimental group also underwent a follow-up assessment three weeks after program completi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WIN25 for statistical processing. In the qualitative research, an evidence-based approach was adopted to analyze the participants' writing outcomes, reflections, and transcripts for each session.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overall levels of self-understand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nts who engaged in the writing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facilitated the subdomains of stability and self-assertion in self-understanding, as well as the subfactors of self-acceptance, autonomy, and life purpose i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through open coding analysis, a total of 171 concepts, 54 subcategories, and 24 higher-level categories were derived. The core category was summarized as‘A time to understand and nurture oneself through writing and grow.’ indicating that the writing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university students’ self-understand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above research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