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비자살적 자해의 대인관계 특성 : 경계선 성격 유무에 따른 사회적 행동의 구조분석(SASB)

The Analysi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ttern of Nonsuicidal self-Injury with and without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 Structural Analysis of Social Behavior(SASB)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ttern of nonsuicidal self-injury, and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onsuicidal self-injury with and without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by using Structural Analysis of Social Behavior(SASB). A sample of 312 adults in their 20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which consists of Deliberate Self-Harm Inventory,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Borderline Features Scale and SASB Intrex.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in the focus of others, when compared to non-self-injury group, general self-injury group showed lower level of emancipation and protection of others, while borderline personality self-injury group showed lower level of emancipation, affirmation, active love, protection, and higher level of blame, attack and ignorance of others. The best fit profile of each group in this surface was “Affirm, Protect & Control” for non-self-injury group, “loving but freeing” for general self-injury group, “Controlling vs Letting Go” for borderline personality self-injury group. Second, in the focus of self in this relationship, both self-injury groups had lower levels of separation, disclosure, active love, trust, and submission than non-self-injury group, and higher levels of sulking and walling off from others. Compared to the general self-injury group, borderline personality self-injury group had even lower levels of disclosure and trust, and more hostile response tendencies, with higher levels of sulking, recoiling, and walling off from others. The best fit profile of each group in this surface was “Loving” for non-self-injury group, “Submissive vs Separate” for general self-injury group, “Recoiling” for borderline personality self-injury group. Third, in terms of introjection, both self-injury groups had lower levels of self-affirmation, self-love, and self-protection than non-self-injury group, and higher levels of self-criticism, self-attack, and self-neglect. Compared to the general self-injury group, the borderline personality self-injury group had higher levels of self-emancipation, self-attack and self-neglect. The best fit profile of each group in this surface was “Love Self” for non-self-injury group, “Attack Self” for both self-injury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t only there are discriminatory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patterns between the self-injury and non-self-injury, but also within the self-injury group depending on the tendenc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more

초록 (요약문)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자살적 자해 집단과 비자해 집단, 그리고 경계선 성격을 갖는 자해 집단과 그렇지 않은 일반 자해 집단을 구분해 보고, 각 집단의 대인관계적 특성을 사회적 행동의 구조분석(Structural Analysis of Social Behavior, SASB)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20대 성인 312명을 대상으로 자해 행동 척도, 경계선 성격 특성 척도, SASB Intrex를 온라인 설문으로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타인측면에서 비자해 집단과 비교했을 때 일반 자해 집단은 해방과 보호가 낮았으며, 경계선 성격 자해 집단은 해방, 긍정, 사랑, 보호는 낮고 비난, 공격, 무시가 높은 더 적대적인 행동 경향성을 나타냈다. 타인 측면에서 각 집단의 대표 프로파일은 비자해 집단은 “긍정, 보호와 통제”, 일반 자해 집단은 “사랑하지만 자유를 줌”, 경계선 성격 자해 집단은 “통제 vs 해방”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측면에서 두 자해 집단은 비자해 집단보다 분리, 개방, 사랑, 신뢰, 복종은 모두 낮고 부루퉁과 단절은 높았다. 경계선 성격 자해 집단은 일반 자해 집단보다 개방, 신뢰가 더 낮았고, 부루퉁, 철회, 단절이 더 높은 더 적대적인 반응 경향성을 나타냈다. 자기 측면에서 각 집단의 대표적 프로파일은 비자해 집단은 “사랑”, 일반 자해 집단은 “복종 vs 분리”, 경계선 성격 자해 집단은 “철회”로 나타났다. 셋째, 내사측면에서 두 자해 집단은 비자해 집단과 비교해 우호성의 자기긍정, 자기사랑, 자기보호는 낮고 적대성의 자기비난, 자기공격, 자기무시는 높았다. 경계선 성격 자해 집단은 일반 자해 집단에 비해 자기해방이 높았고 자기공격과 자기무시가 더 강한 경향성을 나타냈다. 타인 측면에서 각 집단의 대표적 프로파일은 비자해 집단은 “자기사랑”, 일반 자해 집단과 경계선 성격 자해 집단은 “자기공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해와 비자해, 그리고 자해 중에서도 경계성 성격장애 경향성에 따라 대인관계 패턴의 차별적인 특징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 집단의 이질적인 대인관계 특성을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