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성인 여성의 우울감 감소효과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Media Educational Programs on Reducing Depression of Female Adults : Based on Medi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마음의 병을 앓고 있는 현대인들이 늘어나고 우울증 환자가 매년 증가하면서 현실적인 대책 마련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치료 선택지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현재 우울증 치료의 선택지는 정신과 진료와 약물 복용, 심리상담이 대표적이다. 예전보다 나아지고는 있지만 정신과 진료에 대한 부담감은 여전히 남아있으며 심리상담은 비교적 높은 비용 때문에 시작하기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 가까이 있는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성인 여성의 우울감 감소 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수도권에 거주하는 20-40대 여성 중 비슷한 우울감을 느끼는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 A는 감정일기 60명, 실험집단 B는 사진테라피 60명, 통제집단 60명으로 나누어 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대한 사전 동의를 얻은 후 실험을 시작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2년 9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주 1회, 회기당 120분씩 총 10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우울감과 자기효능감 척도 검사를 사용하였고,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WIN 25.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사전검사에서 세 집단 간의 우울감, 자기효능감 동질성 검증을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감정일기와 사진테라피가 우울감 감소와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의 우울감 감소 차이에 대한 비교는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교육 프로그램(감정일기, 사진테라피) 참여와 우울감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절차에 따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감정일기 참여자들의 사전·사후 검사의 분석 결과 우울감은 감소하고 자기효능감은 향상한 반면,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사진테라피 참여자들의 사전·사후 검사의 분석 결과 우울감은 감소하고 자기효능감은 향상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감정일기 집단과 사진테라피 집단의 우울감 감소 및 자기효능감 향상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감정일기 쓰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사진 테라피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보다 사전·사후검사에서 우울감 감소와 자기효능감 향상에 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의 우울감 감소 차이에 대한 비교 결과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우울감 감소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감정일기와 사진테라피 참여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우울감을 감소시키는 효과에 대해 분석한 결과 교육 프로그램 참여와 우울감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Partial mediation effect)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감정일기와 사진테라피가 성인 여성의 우울감 감소와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현실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우울감 감소의 치료 선택지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미디어가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 것으로도 의미가 있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study came from problem awareness that we need more optional choices for depression treatment because a growing number of people living in the modern world suffer from depression with the illness of the mind. Typical options for depression treatments are psychiatric services, medications,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Even though things are improving, people feel pressure to see a psychiatrist,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relatively costs a lot. Hence, it is not easy to start the treatment.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dia educational programs around us on reducing depression in female adults and self-efficacy’s mediation effects. The participants were 180 female adults in their twenties or fortie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Metropolitan areas with similar patterns of depression. Group A comprised 60 people who wrote emotional journals, whereas Group B had 60 participants and got photography treatment. Another group of 60 people was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began after obtaining participants’ consent to join the educational programs. Research periods were from September 2022 to December 2022, once a week for 120-minute sessions ten times. Data instruments were used for self-evaluation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WIN 25.0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check whether the three groups are under the same conditions in terms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the researcher conducted a one-way ANOVA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 sample t-test to examine whether writing emotional journals with media educational programs and photography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reducing symptoms of depression and improving self-efficacy. In addition, two-way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reduced levels of depression between the group with higher self-efficacy and the other group with lower self-efficacy. The researcher also administered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ree steps of procedures by Baron and Kenny (1986) to verify self-efficacy’s media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ograms (writing emotional journals, photography therapy) and depression. The findings can be summed up as below. First, analysis of pre-and-post-test results of participants writing emotional journals under the educational program indicates reduced depression and higher self-efficacy.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and-post-test results. Second, analysis of the pre-and-post-test results of participants in the media educational progra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dicating reduced depression and improved self-efficacy. Mean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and-post-test results. Third, analysis of comparisons between the participants writing in emotional journals in the media educational program and those who received photography therapy showed that the group of participants writing emotional journals had more positive results, indicating reduced depression and improved self-efficacy. Fourth, an analysis of comparisons between the group with higher self-efficacy and the group with lower self-efficacy showed that the group with higher self-efficacy reduced depression substantially more than the group with lower self-efficacy. Fifth,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self-efficacy’s mediation effects on the participants writing emotional journals using media and receiving photography therapy indicates that there are partial medi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in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depression. Thus, findings indicate that participation in writing emotional journals using media and photography therapy has effects on reduced depression and improved self-efficacy. The research is valuable because the implications suggest that everyday media can serve a positive role in reducing depression as an approachable, easy way for a depression treatment option.

more